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보신활혈과립 (BHG)이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증 증세에 도움이 됨을 확인

서지사항

Wang HM, Yang MH, Liu Y, Li SD, Li M. Effectiveness of Bushen Huoxue Granule (补肾活血颗粒) on 5-serotonin and norepinephrine in the brain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with depressive state. Chin J Integr Med. 2014 Dec;20(12):944-8.

연구설계

randomised, controlled, single blind

연구목적

파킨슨병 환자들의 정신적 질환 양상 중 하나인 우울 증세에 보신활혈과립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약물을 투여하고 해밀턴 우울 양상 척도 (HAMD)를 측정하여 확인함.

질환 및 연구대상

(1) London Parkinson Disease Association에 근거한 파킨슨병 확진자 중,
(2) 해밀턴 우울 양상 척도가 8점 이상이며,
(3) CT와 MRI상 다른 파킨슨병 양상 (핵상 마비 등)이 없는 성인 64명

시험군중재

일반적인 도파민 치료 (도파민 약물 치료)는 두 군 모두 받았음.
시험군은 20g/bag의 BHG를 하루 두 번, 3개월 동안 복용

대조군중재

일반적인 도파민 치료 (도파민 약물 치료)는 두 군 모두 받았음.
대조군은 플록세틴 캡슐을 하루 20mg, 3달 동안 복용

평가지표

(1) 해밀턴 우울 양상 척도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35점 이상은 심각한 우울, 20-34점은 중증 우울, 8-19점은 경증 우울로 진단
(2) 세로토닌양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양은 9시부터 11시 사이 Encephalofluctuograph (EFG)를 통해 측정함.

주요결과

처치 전엔 유의한 차이가 없던 HAMD에서 3달 뒤 두 군 모두 유의한 감소가 있었음.
그러나 시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더욱 많이 감소한 것을 발견함 (p=0.001).
대조군의 경우 19.39의 HAMD가 15.55 수준으로 떨어졌으나, 시험군의 경우 20.10의 HAMD가 10.45 수준으로 떨어짐.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수치는 치료 전후 차이가 있었으나, 시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더욱 큰 차이를 보임.

저자결론

이 논문을 통해 저자들은 BHG 약물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우울 정신 증상에 대해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는 방법을 통해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결론을 내림. 비록 세부적인 기전에 대해선 밝혀지지 않았지만 추후 연구를 통해 파킨슨병의 정신 증상 치료에 약물이 도움될 것이라 기술함.

KMCRIC 비평

파킨슨병은 유전적,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도파민 신경계통의 장기적인 손상을 가져와 중뇌 신경계의 운동신경 조절, 시각 조절, 감정, 보상 기전 조절들의 장애를 만드는 질환임. 이는 도파민 신경계가 전반적인 대뇌, 중뇌, 뇌간, 척수에까지 이르러 여러 pathway들에 기여하는 중뇌 기저핵 경로의 핵심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임.
그러나 신경전달물질로 사용되는 도파민뿐 아니라, 감정 조절이나 정신 기능에 널리 작용하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물질들도 이 중뇌 기저핵 경로에 크게 관여되고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음. 그뿐만 아니라, 중뇌 기저핵의 신경세포들은 각각의 신경전달물질들의 장애를 대비해 서로 보완할 수 있는 보상 기전들을 갖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세로토닌과 도파민의 수용체 공유들을 들 수 있음. 이 결과로 세로토닌과 도파민이 서로의 역할에 보완, 혹은 질병의 경우 증세가 다른 부분으로까지 확산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음.
본 논문에서 두 군이 모두 처치 받은 일반적 도파민 약물 치료만으로도 우울증 및 수치의 증세가 개선된 것은 이의 발현이라 볼 수 있음. BHG의 처치가 더더욱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는데, 최근 한약물들의 처치로 인한 정신 신경계통의 호전을 많이 보이고 있음. 한의학에서 정신 신경 치료는 신, 혈, 음, 정의 치료를 통해 양적 증상 (흥분, 간질 등), 음적 증상 (우울, 퇴행성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데, 위에 언급한 다양한 신경 정신계통의 상호보완적 몸의 기전을 이용하여 그 기전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 예측됨. 추후 연구들에서 더욱 많은 기전들이 밝혀져 다양한 정신 분야 질병 치료에 한의학이 기여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함.

참고문헌
작성자

미국 뉴욕 코넬의과대학 세포발생생물학과 김승남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