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제목 |
심신중재 (mind-body intervention)가 암 환자의 수면장애 완화에 효과적인가? |
서지사항 |
Chiu HY, Chiang PC, Miao NF, Lin EY, Tsai PS. The effects of mind-body interventions on sleep in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Clin Psychiatry. 2014 Nov;75(11):1215-23. |
연구설계 |
심신중재 (mind-body intervention, MBI)와 관련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
연구목적 |
MBI가 갖는 암 환자의 수면장애 개선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
질환 및 연구대상 |
암 진단을 받은 18세 이상의 성인 |
시험군중재 |
요가, 명상, 최면, 마음챙김명상, 호흡훈련, 기공, 태극권, 음악치료, 바이오피드백 등 MBI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치료법들을 시험군 중재로 이용한 RCT들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
대조군중재 |
대기대조군 (waiting list), 아무 치료도 하지 않음 (no treatment), 일상적인 관리 (usual care) 등의 적극적이지 않은 방법들과 수면교육과 같은 적극적인 방법들을 모두 대조군 중재로 포함하였다. |
평가지표 |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Medical Outcomes Study Sleep Scale, General Sleep Disturbance Scale, Insomnia Severity Index와 같은 도구들이 수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주요결과 |
1) 15례의 RCT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이 중 10례의 RCT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례의 RCT에서 요가가 이용되었고 마음챙김명상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2례, 명상이 2례, 최면이 2례, mind body bridging이 1례, 기공 1례의 RCT에서 이용되었다. 2) Hedge's g로 평균적인 효과 크기 (effect size)를 산출한 결과 MBI가 암 환자의 수면장애에 있어 중등도의 개선을 보였다 (g=-0.43, 95% CI, -0.24 to -0.62). 중재가 종료되고 3개월까지의 사후 효과를 평가한 6례의 RCT를 분석하였으며, 상기의 효과가 지속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0.29, 95% CI, -0.52 to -0.06). 3) 분석에 포함된 RCT들 사이에 유의한 이질성이 존재 (Q=37.057, df=15, P=0.001, I square=59.522)하였으며,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중재의 종류, 피험자의 특성 (암의 종류, 처음에 갖고 있던 수면장애의 정도 등), 대조군의 종류 등에 대하여 추가로 조절변수 (moderator) 분석을 시행하였으나 이질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
저자결론 |
MBI는 최면, 명상, 요가, 바이오피드백, 기공, 태극권, 음악치료 등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하면서도 신체적 또는 정서적 위험이 낮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 암 환자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MBI가 암 환자의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가 지속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MBI가 수면장애를 겪는 암 환자에게 보조적인 치료나 대안적인 치료로 고려될 것이라 기대된다. |
KMCRIC 비평 |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MBI가 암 환자의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 사이에 유의한 이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결과의 해석에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분석에 포함된 RCT들에서 이용한 치료법들이 모두 MBI에 포함될 수 있기는 하나 RCT마다 다양한 치료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또한 환자군이 통일되어있지 않고 중재의 빈도나 강도 등에서도 차이가 있어 이러한 요인들이 연구 간 이질성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moderator analysis를 통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조절 변수를 규명하는 데에는 실패하였으나 상세히 항목을 나누어 분석을 시행한 점은 참고할 만합니다.
MBI에 포함되는 여러 치료법 가운데 한의학의 심신의학과 관련된 방법들도 존재하나 그렇지 않은 치료법들도 혼재해있기 때문에 본 연구가 임상에서 암 환자를 진료하는 한의사에게 큰 도움이 되는 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결론을 도출해나가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수집, 분석 및 평가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 질적 분석에 요구되는 각종 분석들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어 연구방법론적으로 우수한 연구로 보이며, 향후 유사한 주제나 형태의 연구를 계획함에 있어서 도움이 될 만한 연구라고 생각됩니다. |
참고문헌 |
|
작성자 |
홍성군 금마보건지소 공중보건한의사 박형준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