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제목 |
암성통증에 대한 마약성 진통제 적용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변비에 소승기탕합증액탕은 효과 및 안정성 모두를 담보할 수 있는 치료일까? |
서지사항 |
Chen CM, Lin LZ, Zhang EX. Standardized treatment of Chinese medicine decoction for cancer pain patients with opioid-induced constipation: a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hin J Integr Med. 2014 Jul;20(7):496-502. |
연구설계 |
multi-center,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연구목적 |
암으로 인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여 발생한 변비에 대해서 한약(기본방 소승기탕합증액탕에 적열, 기허, 혈허, 양허 변증에 따른 가미)을 투여하여 변비 증상 개선, 삶의 질 지표 개선, 안정성 및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영향을 확인 |
질환 및 연구대상 |
암으로 진단받아 그로 인한 통증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변비 (ROME III상 진단)를 호소하는 18세 이상 성인 406명 |
시험군중재 |
소승기탕합증액탕을 기본방으로 두고 적열 변증 시 포공영 금은화를, 기허 변증 시 황기 당삼을, 혈허 변증 시 하수오 생지황을, 양허 변증 시 육종용 당귀를 가미하여 14일간 회당 100~200mL, 하루 2회 탕약의 형태 복용 |
대조군중재 |
페놀프탈레인 경구약을 1일 3회, 회당 100~200mg을 14일간 복용 |
평가지표 |
Cleveland constipation score (CCS)
Numerical Rating Scale (NRS) of pain
Chinese version of European Organis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30 V3.0 (EORTC QLQ-C30 V3.0)
이 지표들을 이용해서 변비 증상 개선, 암성통증에 대한 효과, 삶의 질 개선을 측정 |
주요결과 |
CCS 점수의 감소 QoL 설문지상 호전반응으로 변비 증상 개선과 삶의 질 지표개선의 유의한 효과 확인 (p<0.05)
전체 효과점수 (각 군을 치료 전후 비교하여 회복, 명백한 효과, 효과, 효과 없음까지 4단계로 나누어 분류한 후 각각의 단계에 속하는 비율을 비교)는 탕약을 적용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게 나옴 (p<0.05).
NRS상에서 통증 지표의 유의한 감소는 발견되지 않음.
부작용 소견 또한 발견되지 않음. |
저자결론 |
탕약은 암성통증에 대한 마약성 진통제 적용으로 발생한 변비에 효과적이며 삶의 질도 개선해주었다. 또한, 변비 치료에 대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마약성 진통제 치료를 방해하지도 않았다. |
KMCRIC 비평 |
암 환자의 75%가량이 통증을 호소하고 이런 통증 중 중등도 이상의 통증의 경우 마약성 진통제가 처방될 수 있다고 WHO에서 권고하고 있다.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으로 변비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우울, 예민, 심혈관계 증상 등이 이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암성통증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받고 있는 환자가 변비를 부작용으로 호소할 경우 한약 처방인 소승기탕합증액탕이 변비 증상의 개선, 삶의 질의개선 및 마약성 진통제 효과와의 상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임상연구이다.
연구 결과상 탕약을 처방받은 군에서 변비 증상의 개선, 삶의 질 지표의 개선이 유의하게 발생하면서 이차적인 부작용이나 마약성 진통제의 효과저하를 유발하지도 않았다. 효과와 안정성 면에서 모두 효과가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적열, 기허, 혈허, 양허에 따라서 약물도 가미하여 개인별 맞춤처방의 효과도 같이 검증해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결론을 내리기에는 연구 과정에서 맹검의 과정이 명확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한약제제를 탕약의 형태가 아니라 정제로 만들어서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 맹검이 충분히 가능했음에도 이를 시도하지 않고 탕약 형태로 실험군에 중재를 적용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또한, 사후관찰기간의 설정도 돼 있지 않은 한계를 보였다. 14일간의 한약제제 투여로 긍정적인 효과가 유도되었다 하더라도 한약제제 중단 이후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나타나는 변화도 관찰하였다면 한약제제로 인한 일시적인 효과와 지속적인 효과를 모두 검증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
|
작성자 |
세종시 보건소 공중보건한의사 선종기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