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으로 보는 한반도 지진의 역사

기상청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은 1978년 9월16일 경상북도 상주 지방의 규모 5.2 강진을 계기로 지진 정보를 공식적으로 계측하고 있다. 2016년 9월13일까지 기록된 지진 정보는 모두 3,263건. 이 중 1991년 이전 북한 지역에서 발생한 진원지 미상 지진 23건, 일본과 중국에서 발생한 지진 2건, 규모 정보가 없는 지진 3건을 제외한 3,235건의 지진 정보를 발생 시기, 발생 위치, 규모별로 골라 볼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그래픽으로 만들었다. 리히터 규모 1이 커지면 지진의 에너지는 32배가량 증가한다. 규모 7 지진의 파괴력은 규모 5 지진의 1,000배가량이다.


지진 01.jpg


진도 5 이상 지진 9차례, 그 가운데 2차례는 1978년에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을 보면, 지난 38년 사이 한국에 리히터 규모 5 이상 지진은 모두 8차례 감지됐다. 여기에 1980년 북한 의주 부근에서 발생한 규모 5.3 지진까지 합치면 모두 9차례가 된다. 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은 이번에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이다. ‘속리산 지진’으로 알려진 1978년 9월16일 경북 상주-충북 보은 일대의 지진과 2004년 5월29일 경북 울진 동해상에서 발생한 규모 5.2 지진은 이번 경주 지진으로 규모 2위로 기록이 변경됐다.


재산피해로 유명한 지진은 1978년 10월7일 충남 홍성군에서 발생한 규모 5의 ‘홍성 지진’이다. 100여채의 건물이 파손되고 1,100여채의 건물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피해가 났다. 이번 경주 지진을 제외하고 가장 최근에 발생한 규모 5 이상 지진은 올해 7월5일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 지진이다.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는 기록되어있지 않지만 지진 정보를 기록하기 시작한 1978년 이후 1980년 1월8일 평안북도 의주 부근에서 규모 5.3 지진이 발생했다. 1952년에는 평양 서쪽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도 있다.


감지 기술 발달하면서 지진 기록 늘어


1987년 9월16일부터 2016년 9월13일까지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기록된 3,263건의 지진 가운데 2,934건은 2000년 이후 발생했다. 이 가운데 2005년 이후 발생한 지진은 2,744건이다. 지진 기록이 갈수록 늘어나는 이유는 감지 기술의 발달로 사람이 느끼기 어려운 규모 2 미만 지진을 기록하는 빈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규모 2 미만의 지진이 기록된 것은 1994년 12월19일 전남 영암에서 발생한 규모 1.9 지진 이후다. 규모 1 미만의 지진 정보는 2005년부터 기록하고 있으며, 2013년에는 안성에서 발생한 지진은 규모 0.1을 기록하기도 했다.


원전서 28㎞ 떨어진 곳에서 규모 5.8 지진


지난 7월5일 울산 동쪽에서 규모 5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진원지와 불과 50~60여㎞ 떨어진 월성원전과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 (방폐장), 고리·신고리원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북 경주에서 시작해 울산 울주, 부산 기장 등 동남쪽으로 이어지는 이 지역은 현재 11기의 원전이 가동되고 있는 ‘세계 최대 원전벨트'다. 60여개의 활성단층이 분포한 지진 다발 지역이기도 하다.


1997년 6월26일에는 월성원전과 불과 18.6㎞가량 떨어진 경주시 동남동쪽 내륙에서 규모 4.2의 지진이 발생한 기록이 있다. 1981년 4월, 1992년 1월과 12월에는 지난 7월5일 지진의 진원지에서 멀지 않은 해저에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1978년 이후 한국에서 관측된 지진 가운데 두 번째 규모인 2004년 5월29일 규모 5.2 지진도 경북 울진 한울원전으로부터 80㎞ 가량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관측 사상 최고 규모’인 2016년 9월12일 경주 지진의 진원지는 월성원전에서 불과 28㎞ 떨어진 내륙 지역이다. 이번 지진을 계기로 지진과 원전 사고의 재앙을 동시에 치른 ‘동일본 대지진’의 공포가 한반도 동남부를 덮치는 것 아니냐는 불안이 커지고 있다.


환경단체와 시민사회단체들은 한반도의 최대 예상 지진 규모가 7.5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원전의 내진 기준은 6.5~6.9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원전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지난 7월 울산 지진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경주 지진 직후에도 “원전의 내진설계 값은 원자로 부지 바로 아래 10㎞에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견딜 수 있는 리히터 규모를 가정한 것”이라며 원전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반복했다. 한수원은 경주 지진 직후 점검을 위해 9월 13일 월성원전 1~4호기의 운전을 수동으로 중단했다.


지진 03.JPG


이 그래픽은 1978년 이후 한국에서 발생한 3235여건의 지진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조작 방법:


1. ‘발생지역' 중 하나를 선택해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모두)'를 선택하면 전국에서 발생한 지진 정보가 표시됩니다.

2. ‘발생년도' 항목의 좌우 화살표를 클릭하면 특정 연도에 발생한 지진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두)'를 선택하면 1978년 이후 발생한 지진 정보가 표시됩니다.

3. ‘규모' 항목의 슬라이드를 움직여 특정 규모 이상 또는 이하의 지진 정보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그래픽 왼쪽 아래 ‘재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정보가 초기화 됩니다.


※데이터 시각화를 큰 화면에서 보시려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링크클릭)



출처: 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