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가 과학기술에 몰려드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20세기 후반까지 대한민국의 발전은 앞서가는 나라들을 열심히 흉내 내면 됐다. 정답이 있는 문제를 잘 풀어보면 유사한 문제가 나오는 대학 입시에 성공하는 것과 유사했다.


21세기 후반 한국이 어떤 나라가 될 것인가에 대해 여러 발전된 모습이 제시되고 있다.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한다. 창의적, 독창적 사고가 어떻게 나오는가에 대해서는 정답이 없다. 혁신의 주역은 자라나고 있는 학생들 중에서 나올 것이다. 따라서 사회를 주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인재들이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갖고 모이는지 살펴보면 그 사회의 미래를 엿볼 수 있다.


지난 50년간 대한민국의 발전은 최고의 인재들이 과학기술 분야에 어릴 때부터 관심을 갖기 시작해 그 분야에서 열심히 일한 결과이다. 이전 세대에서 ‘과학자’는 선망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최근 설문조사를 보면 학생들의 최고 인기 직업은 ‘공무원’이다. 과학자는 10위권에 보이지 않는다. 사회주의 국가가 아니라면 공무원이 국가 발전의 주역일 수는 없다. 반면 일본 다이치생명에서 최근 수행한 일본 학생들의 인식조사에서는 1위에 ‘학자, 과학자’가 올랐다고 한다.


왜 한국 과학자는 일본 과학자에 비해 인기가 없을까. 두 나라의 과학생태계를 보면 답이 보인다.


한국에서는 과학, 기술에 대한 장기 로드맵에 따른 계획이 안 보인다. 또 최고의 인재들이 모일 수 있는 환경이 무엇인지를 잘 모른다. 수십조원에 달하는 연구개발비를 기성 과학기술자들에게 어떻게 나눠 줄지 현재의 기득권자에게 물어 집행하고 있을 뿐, 최고의 인재들이 스스로 몰리는 환경을 어떻게 조성해야 할지 고민이 없다.


사람은 안정적 분야라면 자신의 비용을 투입해서라도 그 분야에 가려고 한다. 의대에 최고의 인재가 몰리고, 정부는 의대 지망생에게는 교육비를 지출하지 않아도 된다.


이를 비춰 볼 때 확실하고 안정적인 목표점을 제시하고 그런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부와 기업이 투자한다면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비용의 투입 없이도 큰 효과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우수한 연구성과가 있는 과학기술계 대학원생도 열악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맞게 되어 있다. 게다가 현재 한국 과학교육 정책은 뒤집혀 있다. 목표점은 불확실한데 과정에만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원생들에게 장학금을 많이 주면 최고의 인재들이 장학금을 바라보고 이후 30년의 불확실한 미래를 향해 갈 것이라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에선 대다수 대학원생들은 장학금 없이 스스로 학비를 내고 다닌다. 장래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투자할 가치가 있으며 최고 인재들이 모인 분야에 포함돼 있다는 자부심도 갖고 있는 것이다.


인재들 중에 과연 누가 혁신적인 인재로 자라날지 미리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충분히 많은 인재들이 자부심을 느끼면서 자유로운 사고를 하고 도전적인 시도를 하며 실패해도 노력하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환경을 조속히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