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암에서 암종류별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의심 증상

소아암, Pediatric Cancer, Childhood cancer


소아암은 우리나라에서 매해 1500여 명이 발생한다. 소아암의 종류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다르지만, 대개 치료가 끝난 후 3~5년 정도 추적관찰을 했을 때 재발이 되지 않으면 완치되었다고 판정한다. 소아암은 성인암과 달리 완치율이 확연히 높다. 물론, 암종별로 완치율은 차이가 많지만, 소아암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소아 급성 백혈병은 과거 1960년대만 하더라도 5년 생존율이 20%에 지나지 않았으나(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2005년에는 5년 생존율이 95%로 치료 성적의 비약적인 발전이 있다.


소아암의 완치율이 성인보다 월등히 높은 이유는, 골수 및 여러 장기와 조직의 복구 능력이 뛰어나 성인에 비해 항암 화학요법을 잘 견디고, 간이나 심장, 골수, 폐 등의 장기의 기능도 성인에 비해 훨씬 우수하기 때문이다. 효과적인 항암, 방사선, 수술, 조혈 모세포 이식술 등의 치료법, 수혈 및 조혈 모세포 촉진제의 적절한 사용, 호중구 감소열에서 항생제 및 항진균제의 신속한 적용 등이 보조적으로 생존율의 향상을 가져왔다.


이제 더 이상 소아암은 불치병이라 부르지 않는다. 항암, 방사선, 수술 및 조혈 모세포 이식술 외에도 최근 활발한 NGS 검사로 이에 따른 표적치료제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아암을 진단받은 환자 및 보호자와 면담을 하다 보면 아이를 임신했을 때 뭔가를 잘못 먹었거나 아이를 키울 때 안 좋은 제품에 노출되어 발병한 건 아닌지 걱정한다. 하지만 이는 오해다.


소아암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소아 백혈병은 물론 유전자의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유전을 통해 부모에게서 전해지는 것이 아니며, 가정의 식습관이나 생활환경의 요인과도 상관이 없다. 만약, 그렇다 하면 같은 가정에서 자란 형제·자매가 같은 소아암에 모두 걸려야 하는데 그런 경우는 없기 때문에 아이의 소아암 진단으로 부모가 죄책감을 가질 이유는 없으며, 오히려 서로를 정서적으로 지지해 주며 격려해 주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이의 소아암 치료에 더 좋은 영향을 준다.


소아암은 심부조직에서부터 발생해서 퍼지는 심부 종양이 많기 때문에 질환이 이미 많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즉, 조기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발현하는 경우가 많아 초기에 대수롭지 않게 다른 감염성 질환이나 성장통으로 치부해 버리기도 한다. 정확하게 진단을 받기까지 약 3개월 이상 지체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소아암의 조기 발견을 돕는 의심 증상들을 알고 있어, 더 진행되기 전에 신속하게 진단받아 효과적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최선이다.


소아는 성인에 비해 치료 종료 후 생존기간이 훨씬 길기 때문에 치료를 마친 후에도 지속적으로 장기 추적관찰을 하며 재발의 유무를 살피고, 내분비와 관련된 후유증이 발생하는지 살펴야 하며 2차 암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소아암에서 암종별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의심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백혈병: 이유 없이 미열 및 고열이 지속되고 자주 아프며, 창백하고, 코피가 자주 나고 온몸에 멍이나 출혈반이 나타난다.


· 뇌종양: 점차 강도와 횟수가 심해지는 두통, 주로 아침에 구역과 구토 동반, 신경마비의 증상이나 경련이 발생하기도 한다.


· 림프종: 목과 겨드랑이, 사타구니 림프절이 줄지 않고 점차 커지며, 발열이나 체중 감소 등의 전신적인 이상이 함께 발생할 수 있다.


· 신경모세포종: 발열 및 전신쇠약, 눈 주위 멍, 복통 및 복부 팽만, 장기간의 낫지 않는 설사 등 비특이적인 증상이 점차 악화되기도 한다.


· 골종양: 키가 크는 사춘기 청소년에 호발하며, 지속적으로 한쪽의 골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반드시 검사가 필요하다. 주물러 주면 통증이 경감되는 경우는 성장통의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