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티언스 - 의식의 발명

의식 연구의 권위자 니컬러스 험프리가 펼쳐 보이는 인간의 지각과 자아의 진화, 그 경이로운 세계


나는 무엇인가? 의식은 어디에서 기원하는가? 비인간 동물은 지각이 있는가? 인공지능은? 지각과 자아라는 어려운 문제에 대해 올해 여든이 넘은 노학자이자 의식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 니컬러스 험프리가 일생에 걸친 연구 여정을 펼쳐 보인다.


어려운 주제지만 시작은 유머러스하다. 시각피질을 제거한 원숭이에서 ‘맹시 (보이지 않는 시각)’를 발견한 이야기에서부터, 괴짜 신비주의자를 만난 이야기, 르완다에서 고릴라를 연구하며 지능의 사회적 기능 이론을 정립한 이야기까지, 실험실과 오지를 종횡무진 누빈 탐구 여정이 재미나게 펼쳐진다. 제각각인 듯 보였던 연구 경험들은 책의 중반부에 이르러 의식의 기원과 현상적 자아의 탄생이라는 커다란 흐름에 본격적으로 합류하고, 마침내 험프리가 오랜 추적 끝에 도달한 독창적이고도 대담한 이론으로 펼쳐진다. 지각은 진화의 과정 속 어떤 특정 시점에 등장한 진화의 ‘숭고한 발명품’이며, 온혈동물 (포유류와 조류)에만 한정적으로 지각이 생겨났다는 것이 그 핵심이다.


어렵고 반직관적인 개념을 탁월하게 설명하면서, 능숙한 필치로 자신의 이론을 설득해 내는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인간의 의식이라는 더없이 흥미로운 주제를 탐구하는 지적 즐거움에 푹 빠질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현상적으로) 느낀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설명하기 어렵지만 매혹적인 연구 분야, 의식

의식 연구의 권위자 니컬러스 험프리가 펼쳐 보이는 인간의 지각과 자아의 진화, 그 경이로운 세계


노벨상을 받고 더 이상 쟁취할 것이 없는 과학자는 흔히 두 길 중 하나를 택한다. 하나는 세계 평화와 기후 위기 해결에 앞장서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의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만큼 의식 연구는 오늘날 가장 뜨겁고 흥미로운 연구 주제 중 하나다. 나는 누구이며, 의식은 어디에서 오는가?


명쾌한 이론은 없지만 고군분투하는 학자는 많다. 신경심리학자 니컬러스 험프리 (Nicholas Humphrey)는 그중 가장 대표적이고 선구적인 학자다. 젊은 시절부터 의식 연구에 깊이 몰두해서 시각피질을 제거한 원숭이에서 ‘보이지 않는 시각’인 ‘맹시 (blindsight)’를 발견할 때도, 르완다에서 고릴라를 연구하며 지능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도 의식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이 책에서 험프리는 일생에 걸친 의식 연구 여정을 펼쳐 보인다. 어려운 주제지만 시작은 유머러스하다. 괴짜 신비주의자를 만나서 인간의 의식이 얼마나 엉뚱할 수 있는지 깨달았던 이야기나, 설익은 연구를 학회에 발표했다가 비판받은 이야기는 마치 가벼운 과학 에세이를 읽는 느낌이 든다. 그러나 이러한 일화야말로 의식 연구가 얼마나 까다로운 것인지를 방증한다.


험프리는 가능한 한 많은 연구 결과를 검토하고, 예상되는 반론에 먼저 반박하며 이론의 타당성을 치밀하게 검증한다. 지각은 왜 그런 방식으로 진화했는가, 왜 온혈동물에만 지각이 나타날 수 있는가, 온혈동물 중 누가 지각이 있는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등 자신의 이론에 생겨날 수 있는 수많은 반론과 의문에 치밀하게 논박하는 과정은 그 자체로 매우 흥미진진하다. 그 연구 과정을 뒤쫓다 보면 의식 연구가 어째서 매혹적이며 수많은 학자를 매료시키는지 조금은 납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간의 지각은, 인간이 삶을 가치 있게 여기도록 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독창적인 주장 앞에서, 의식과 자아를 완전히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게 된다.


안드로이드는 자아의 꿈을 꾸는가? 의식과 자아의 탄생, 그리고 새로운 질문들


지각에 대한 연구가 흥미로운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자아’와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자아의 탄생을 설명하는 부분은 험프리의 이론 중 가장 독창적이고 매혹적인 부분이다. 험프리는 자아 역시 진화적 과정의 산물임을 매우 설득력 있게 주장한다.


자아의 진화에 대한 설명이 끝나고 나면, 더 많은 의문이 생긴다. 이론은 결말이 아니라 시작점이 된다. 인간 두뇌를 모방해 설계된 인공지능 로봇은 자아를 가질 수 있을까? 그렇다면 기계에도 인권을 부여해야 할까? 외계 생명체에게도 지각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의 지각과 비슷할까? 지각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야기하는 다양한 윤리적 질문 또한 뒤따른다. 가령, 지각적 존재인 인간과 비지각적 존재인 문어에 동등한 윤리적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가? 험프리는 이런 논제를 제기하며 섣불리 답을 하는 대신 열린 결말로 끝맺는다. 어쩌면 남은 이야기는 다시 과학을 넘어 문학과 철학, 그리고 현대 사회가 고민할 차례일지 모른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