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약상(藥象)의 수치화(數値化) (2)

 

AMS 12-01.jpg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약 8년 동안 이동원 선생의 약상론에 근거하여 4가지 약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치화하였다. 그리고 수천 개의 중국 약선 처방에 대입한 결과의 의미를 연구하고 해설을 시도하면서 많은 모순점을 발견하였으며, 2009년부터 비로소 부족한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완되어 오늘날의 약선설계를 가능토록 한 정밀한 수치화가 이루어졌다.


본초를 형성하는 맛과 성질이 사람이라는 생명체와 관계를 맺을 때 인체에 끼치는 영향력의 강도나 지속성 등에 따라 다음과 같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약상의 수치화2 표 1.jpg


맛을 진한 맛과 연한 맛 두 등급으로 나누고 성질을 강, 중, 약 셋으로 나누면 본초학에서 표현되는 모든 맛과 성질을 담을 수 있는 분류가 되고, 동시에 수치화를 위한 등급이 마련된다.



약상의 수치화2 표 2.jpg


맛과 성질은 둘인 듯하면서 하나로 작용하고, 하나인 듯하면서 너무 다른 음양의 관계이다. 이 둘은 물론 동일한 수치만 아니면 별개로 취급하여 수치화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였더니 system의 연속성에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가 나타나서 연속적인 수치로 나타낼 필요성이 있었다.


형체를 형성하는 맛은 열전도가 늦어 인체에 들어가서도 장시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존재하지만, 전도가 매우 빠른 성질은 인체 내에 들어가 곳곳의 성질과 쉽게 뒤섞여 버린다. 그래서 본초의 성질은 초기에 인체 조직의 문을 먼저 두드리고 접촉하여 맛이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결국 지속적으로 인체 내부의 불균형한 환경을 개선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형체로 존재하는 본초의 맛이다. 따라서 맛과 성질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력의 누적 강도나 지속성으로 비교하면 아무리 약한 맛도 가장 강한 성질보다 높은 등급이어야 한다.


약상의 수치화2 표 3.jpg

이상을 종합하여 등급을 정하면 다음과 같다.


약상의 수치화2 표 4.jpg

맛과 성질을 수치로 나타내어 약상을 수치화한다는 의미는 결코 진릿값을 계산한다거나 등급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다. 자연계의 속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음식과 인체의 관계에 대한 system을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가장 간단한 정수로 등급의 차이만 연속성이 있게 나타내면 된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맛과 성질의 값은 다음과 같다.


약상의 수치화2 표 5.jpg

약상은 맛과 성질이 결합되어 떠오르는 상(象)이므로, 맛의 값과 성질의 값을 합하여 약상의 값으로 한다. 예컨대 맛이 약간 시고(-mT, -4) 성질이 따뜻한(mN, +2) 본초의 약상치는 -2가 된다.


계절의 순환에 따르는 땅과 대기의 온도 변화는 식물에 싹이 나서 자라고 열매를 맺었다가 가지와 잎은 고사되고 뿌리만 땅속에 남아 생명을 이어가게 한다. 그러다가 온도가 오르면 다시 싹으로 올라와 순환을 거듭하는데 이 과정을 소통→ 변화→ 발생→ 성장→ 발열→ 배출→ 변화→ 성숙→ 저장→ 하강→ (소통→)으로 분류한 것이 약상이다. 우리가 느끼는 사계절은 변화하고 발생하는 것이 봄, 성장하고 발열하다가 배출하는 것이 여름, 다시 변화하고 성숙하는 것이 가을, 저장하여 하강했다가 소통하는 것이 겨울이다. 그리고 그중 두 차례의 변화는 환절기라고 볼 수 있다.



사본 -안문생-약상10분류.jpg


땅의 온도 변화는 식물 뿌리의 생명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을 형성토록 하는데 이 물질들은 독특한 맛으로 구별되고, 대기의 온도 변화는 식물이 그에 적응하면서 동일한 욕구를 지니게 하는데 이 욕구가 인체에 접촉하면 독특한 성질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원리로 지구상의 모든 물질이 맛과 성질을 지니게 된다.


본초서를 보면 본초의 맛은 한 가지로만 형성되지 않고 두 가지 이상도 많으며 그중에는 음성과 양성의 맛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본초의 성질은 음양이 섞이는 법이 없으며 오직 하나로만 표현됨을 알 수 있다.


땅은 조밀하여 열에너지 전달이 늦어 일정한 면적의 땅에 찬 곳과 따뜻한 곳이 공존할 수 있지만, 공기는 한열이 쉽사리 뒤섞여 다른 상태로 변화해서 일정한 부피의 대기 공간에 한열이 공존할 수 없다.


이상의 세 문장을 공통된 부분끼리 연결시키면 본초의 맛과 성질에 대한 기원과 의미가 드러나는데, 이는 약상을 활용하여 논리를 전개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