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약상(藥象)의 수치화(數値化) (3)

 

AMS 13-01.jpg


약상을 한글표현에 얽매이지 않고 의역하여 영어단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약상의 수치화3 표 1.jpg


1. 대기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는 기간의 약상 및 약상치



안문생성질플.jpg



대기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는 기간, 즉 본초의 성질이 +로 나타나는 시기와 대기의 온도가 점점 하강하는 기간, 즉 본초의 성질이 -로 나타나는 시기로 나누어 약상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통은 맛이 -만 있고 발열은 +만 있으나, 발생과 성장은 +, -가 섞여 있다. 이 경우 성질마다 맛은 sT, mT, -mT, -sT가 뒤섞여 있으므로 성질마다 음양의 맛이 섞이는 경우의 수는 4가지이다. 주의할 점은 +맛끼리 혹은 -맛끼리 혼합된 것은 그 중 가장 강한 맛을 대표로 하고 수치도 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맛이 약간 시고(-mT), 약간 쓰고(-mT), 떫으며(-sT) 성질이 따뜻한(+mN) 본초의 약상치는 -sT+mN이므로 -5+2=-3이며, 약상은 소통(m3)이다.


만일 맛이 약간 쓰고(-mT) 달면서(sT) 성질이 약간 따뜻하면(wN) 약상치는 m2+f2=-3+6=+3이고 약상은 발생(sprout)이다. 맛이 시고(-sT) 성질이 따뜻하면(mN) 약상치는 -sT+mN=-5+2=-3이고 약상은 소통(movement)(m3)이다.



2. 대기의 온도가 점점 내려가는 기간의 약상 및 약상치



안문생성질마.jpg



하강은 맛이 -만 있고 배출은 +만 있으나, 성숙과 저장은 +, -가 섞여 있다. 이 경우 성질마다 맛은 sT, mT, -mT, -sT가 뒤섞여 있으므로 성질마다 음양의 맛이 섞이는 경우의 수는 4가지이다. 주의할 점은 +맛끼리 혹은 -맛끼리 혼합된 것은 그중 가장 강한 맛을 대표로 하고 수치도 더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맛이 약간 맵고(mT), 싱겁고(mT), 달며(sT) 성질이 시원한(-mN) 본초의 약상치는 sT-mN이므로 5-2=3이며, 약상은 배출(d4)이다.


맛이 시고(-sT) 성질이 시원하면(-mN) 약상치는 -7이고 약상은 하강(gravitation)(g3)이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