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

나의 전공은 한의학 중에서도 예방 한의학이다.

옛날 사람들의 건강법.
의료 이전에 불로장생, 무병장수를 꿈꾸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서 비롯된 건강문화-양생.
최첨단 의료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이지만 현대인들에게 옛날 사람들이 수천 년 동안 끊임없는 몸 관찰을 통해 알아낸 ‘몸에 대한 이야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몸을 위로하는 방법’이 더더욱 절실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확신으로 바뀌고 있다.

내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한다. 사실 티테라피도 우리의 전통 다도(茶道), 다례(茶禮) 문화와 몸에 좋은 것을 끓여 마시는 우리의 주전자 문화를 현대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철 식재료를 이용한 한국식 약선을 재정리하고 있으며 우리 조상들의 풍류 사상과 조선의 유학자들이 평생을 바쳐 몰두한 수양법 등을 재해석해서 현대인들을 위한 스트레스 케어법으로 만드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학력]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 (한의학)

[경력]
- 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교수
- 현 건강문화연구소 소장
- 전 티테라피(카페+한의원+건강문화교실) 대표이사

[저서]
- 2011 『한의사의 다방』

이상재
이상재

최첨단 의료기술이 발전해가고 있지만, 현대인들에게는 선조들의 끊임없는 관찰로 알아낸 방법을 통해 몸을 위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제가 운영하는 건강문화연구센터에서는 한국전통문화에 내재된 건강지향적 요소를 발굴하고 콘텐츠화하여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감잎차

 
lsj04-01.jpg



    이 계절에 감잎은 좋은 차가 된다


    잎도 꽃처럼 차로 만들기 좋다. 별도의 과정 없이 잘 말리기만 해도 차가 되기 때문이다. 얇고 질이 연해서 잘 우러난다. 덖어서 차를 만들기도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은 너무 덖지 않았으면 한다. 질이 연한 것들을 과하게 덖다 보면 본래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차로 만들기 좋은 잎들이 지천에 있는 때가 오유월 지금이다. 감잎, 뽕잎, 방아잎, 박하잎, 초피잎... 너무 여리지도 않고 너무 자라 억세지도 않다. 잎이 너무 연해도 본래 가진 향이 덜하다.
    개인적으로 감잎차를 좋아한다. 감잎차를 만들어 마시고는 감잎차에 반했다.


    몇 해 전 어느 봄비 내리는 날이었던가. 북한땅이 지척에 보이는 김포에 주말농장 야산에 있는 큰 감나무 잎을 친구와 함께 비를 맞으면 별 생각 없이 땄다. 그리고 별다른 정성 없이 차를 만들었다. 며칠 지나 뜨거운 물에 우렸다. 그리고 마셨다. 그 이후로 감잎차를 자주 마시게 되었다.


    시골 할머니 댁에 가면 집 옆에 큰 감나무 한 그루가 있었다. 떠올려 보면 어린 시절, 시골 동네에는 집집마다 감나무가 있었던 거 같다. 요즘처럼 과일이 흔하지 않던 시절에 감은 참 친숙한 열매였을 것이다. 제사상에도 올랐고 옛이야기에도 자주 등장한다.


    옛사람들은 감나무의 여러 이로운 점을 감나무가 덕을 지녔다고 칭송하기도 했다. 수명이 길고, 잎이 무성해서 여름이면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고, 새가 집을 짓지 않아 깨끗하고, 벌레가 먹지 않고, 가을이 되면 단풍색이 곱고, 좋은 열매가 열리고, 낙엽이 많아 땔감이나 거름으로도 쓰인다. 이를 감나무의 칠덕이라고 한다.


    또 감나무에는 다섯 가지 색이 있다. 나무와 씨는 검정색(黑)이고, 잎은 푸른색(靑), 꽃은 노란색(黃), 열매는 붉은색(赤), 곶감에는 흰 가루(白). 이 다섯 가지 색은 오행(五行)의 색이다.

  • 採茶之候 貴及其時 (채다지후 귀급기시) 차를 따는 것은 그 시기가 중요하다

  • 다신전 첫 구절인데 비단 녹차에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다. 약초도 채취시기가 정해져 있다. 그 약재의 취향에 맞는 자연의 기운을 최대한 머금었을 때가 그 시기다. 일반적으로 잎을 약용부위로 쓰는 것들은 잎이 가장 무성할 때 채취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감잎도 최근에 언급되고 있는 혈압을 내린다던가, 피를 맑게 하여 고지혈증에 좋다던가, 혈당을 낮춘다던가 하는 효과를 바란다면 8월 이후에 진녹색을 뛸 때 혹은 단풍이 든 감잎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차를 만들다 보니 좋은 맛을 낼 수 있는 시기가 언제일까를 고민하기도 한다. 맛이란 것이 개인적인 취향이다 보니 공통점을 찾기 어렵겠지만 개인적으로 감잎차는 어린 감잎으로 만든 것이 좋다. 감꽃이 피기 전의 감잎. 손바닥보다 작은 크기에 연둣빛을 잃지 않은 감잎이 딱 좋다.


    감잎차를 만들면서 알게 된 사실이지만 봄에 가장 늦게 싹을 틔우는 것 중에 하나가 감잎이다. 목련꽃이 다 떨어지고, 개나리가 피고 지고 나서 그제야 감잎이 싹을 틔우기 시작한다.


    감잎차를 마시면서 아 분명 감잎은 내리는 기운이 강하구나 생각했다. 한방에서는 감 꼭지를 약으로 쓰는데 딸꾹질에 주로 쓴다. 홍시가 떨어지고 남은 나뭇가지에 달린 감 꼭지라야 좋다고 했다. 그 감 꼭지는 아래로 떨어지는 홍시의 기운을 간직하고 있어서 딸꾹~ 딸꾹~ 올라오는 달꾹질을 멈추게 한다고 믿었다.


    어린 감잎에게도 그 기운이 전해져서 일까? 어린 감잎차 한잔이 마음을 차분하게 한다. 맛에도 무게가 있다면 이 차의 맛은 무거운 맛. 중후한 맛이다.



    lsj04-02-1.jpg


    1. 손바닥 크기의 감잎을 딴다.
    2. 채썰듯이 썬다.
    3. 그냥 말려도 되고 손바닥으로 여러 번 비벼서 말려도 좋다.
    4. 한여름에 딴 크기도 크고 색도 진녹색을 띄는 감잎이라면 살짝 쪄서 말리면 된다.



    © 이상재 교수의 한국의 건강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