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통합검색
닫기

KMCRIC 챗봇에게

질문하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대기오염은 비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서지사항

An R, Ji M, Yan H, Guan C. Impact of ambient air pollution on obesity: a systematic review. Int J Obes (Lond). 2018 Jun;42(6):1112-26. doi: 10.1038/s41366-018-0089-y. Epub 2018 May 24.

연구설계

대기오염과 체중의 관계를 평가한 종적 연구 및 단면 연구와 같은 관찰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목적

대기오염이 체중의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근거를 고찰하고자 함.

질환 및 연구대상

비만 (과체중 포함)

시험군중재

대기오염 (air pollution) 노출 - PM, NO2, SO2, O3, 전반적인 공기질 지표 등

대조군중재

비노출군, 적은 농도의 대기오염 노출, 없음 등

평가지표

체중, 비만도 (obesity), 비만 유병률 (obesity prevalence) 등

주요결과

16개 연구를 검토한 결과 대기오염과 몸무게 간 66개의 상관성이 보고되었으며, 29개 (44%)에서 양의 상관성, 29개 (44%)에서 비상관성, 8개 (12%)에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성별, 연령대,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저자결론

대기오염이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근거들이 뒤섞여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도상국에서 동질적인 인구집단에 초점을 맞춰 심각한 대기오염이 체중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할 필요가 있고, 공기오염에서 체중에 이르는 생의학적이고 심리사회적인 경로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KMCRIC 비평

대기오염이란 '대기 중에 인위적으로 배출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오염물질이 존재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공중보건상 위해를 끼치고, 동식물 등의 활동에 해를 주어 주민 생활과 재산을 향유할 정당한 권리를 방해받는 상태'를 말한다 [1]. 2014년 기준으로 전세계 인구의 92%가 WHO에서 제시한 대기오염 제한 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기오염은 뇌졸중, 심장 질환, 폐암, 천식을 포함한 급만성 호흡기 질환의 질병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이로 인한 질병 부담도 큰데 2015년 기준 수도권 지역에서 전체 연령을 대상으로 한 PM10 단기 노출로 인한 호흡기계 조기 사망자 수는 747명으로 그에 따른 피해 비용은 7,57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M2.5의 경우 2015년 기준 PM2.5 단기 노출에 의한 65세 이상 인구집단 대상 호흡기계 조기 사망자 수는 1,376명이며 피해 비용은 약 1조 3,955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3]. PM2.5로 인한 조기 사망 기여 위험도는 17,203명으로 산출되었고 원인 질환으로는 뇌경색, 호흡기계 암, 뇌출혈, 허혈성 심질환 순으로 밝혀졌다 [4].
이렇듯 대기오염은 호흡기계 질환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전반적으로 만성 질환을 악화시키며 이로 인한 국가적 비용 부담도 매우 큰 수준이다. 이러한 연구 중에는 대기오염이 건강 상태나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도 존재하는데 이 연구는 그중에서도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한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이 연구의 대략적인 특성을 살펴보자면, 연구 주제 특성상 RCT는 불가능하였고 관찰 연구만 포함하였는데 최종 선정된 16개의 연구 중 단면 연구는 8개, 코호트 연구는 8개였고, 미국에서 진행한 연구가 9개, 중국이 2개, 나머지는 캐나다, 세르비아, 이탈리아, 네덜란드, 한국이 각 1편씩이었다. 연구 대상자 수는 비교적 큰 편이나 150명에서 387,152명으로 다양하여 중위수 3,318명이었다. 연령대도 18세 이상을 포함한 연구가 7개로 연구별로 상이하였다. 주요 오염물질로 분석한 것은 PM, NO2, SO2, O3 등이었다. 이 연구의 필진이 따로 비만의 정의를 내리지 않고 각 연구별로 내린 비만의 정의를 인정하여 그대로 포함시켰는데 11개 연구에서는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그 외 연구에서는 BMI를 산출해서 한 것도 있고 자가 보고 형식인 것도 있었다. 포함된 연구별로 특성이 매우 다양하여 메타 분석은 불가능하였고 다만 포함된 개별 연구가 대기오염과 비만의 상관성에 대해 어떻게 결론을 내리는지를 정리하였는데 16개 연구에 포함된 총 66가지의 상관성에서 29개 (44%)는 양의 상관성이, 29개 (44%)는 비상관성이, 8개 (12%)는 음의 상관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전반적으로는 대기오염에 비만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고 보기에는 부족하나, 이 연구에서는 몇몇 연구를 바탕으로 대기오염이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가설을 도출하였는데 증가된 활성 산소와 지방 조직 감염, 만성 동반 질환에 대한 위험 증가, 그리고 불충분한 신체 활동 등이었다. 필자들은 포함된 연구들에서 비만을 정의내리는 방법이 다양하고 일부 연구에서는 자가보고를 포함한 점, 연구별 특성이 다양하여 연구 대상자도 일치하지 않은 점, 포함된 연구의 반이 단면 연구인 점, 대부분의 연구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수행된 점 등을 연구의 제한점으로 제시하였다. 이 외에 검색 데이터베이스가 PubMed 하나로 제한적인 점, 포함된 연구들에 대한 질 평가를 하였으나 결론에 반영하지 않은 점, 언어를 영어로 제한한 점 등이 아쉬운 부분이다.
이 연구는 대기오염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한 첫 체계적 문헌고찰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와 유사한 주제의 연구로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 미세먼지 (PM2.5)로 인한 일상 건강 사건의 단기간 영향을 본 체계적 문헌고찰이 있으며 PM2.5가 호흡기계 사망률 (RR 1.02)과 및 순환기계 사망률 (RR 1.01)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5]. 이처럼 체계적 문헌고찰은 환경 역학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고, 방법론적으로도 일반적인 체계적 문헌고찰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연구의 특성상 다양한 exposure과 교란 변수로 인한 이질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와 질 평가 문제 등의 몇 가지 이슈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1]
전국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재 편찬위원회. 예방한의학과 공중보건학: 제4편 환경보건과 건강 - 제4장 대기오염. 푸른솔. 2018.

[2]

[3]

[4]

[5]

[6]

작성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장보형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