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학제적 연구가 필요

인류가 처한 전지구적 문제들 특히, 종 다양성 감소, 기후 문제처럼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의 몇 개 분야만이 아니라 인문사회, 기술, 예술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의 입장을 다룰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도 과학과 기술의 문제만이 아닌 법률, 윤리, 정치, 경제, 예술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할 문제들이 너무나도 많다. ‘초학제적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30년 전부터 이런 논의가 많이 돼 왔으나 다른 분야 사람들이 모이면 다른 학문 간의 기본 설정에 대한 몰이해로 평행선을 달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예술가들과 우주론 연구자가 같이 모인다는 것은 처음 시도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서로의 가치에 대한 몰이해 때문에 옴니버스식 결과물만 있게 되는 것이다.


최근 인류에게 제기되는 문제들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한 곳의 문제가 다른 곳의 문제로 확산되는 연결성도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초학제적 연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각자 자신의 분야에 대해 깊은 이해를 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분야와 소통할 의지와 능력이 있는 사람들 말이다.


그러나 우물 안 개구리에 만족하면서 벽 쌓기를 좋아하는 한국의 학계 분위기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 상당한 노력을 해야만 학문 간 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초학제 연구를 위해서는 문제에서 나타난 상관관계의 복잡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과 추상적 개념인 과학이론을 실제 문제로 연결시키는 능력,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가치관 정립이 필요하다고들 이야기한다. 또 정책 입안자들과 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노력을 하는 학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할까 봐, 혹은 죽도 밥도 아닌 결과를 낳을까 우려한다. 그러나 자신의 정체성을 내려놓은 후에야 새로 거듭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