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현황 비교 (홍콩 베이징 서울 도쿄)

홍콩

 

홍콩에서는 이른바 `3차 코로나19 감염 사태’가 7월 초부터 시작됐다. 항공기를 통해 해외 감염자가 입국하거나 선박 선원들 가운데 감염된 이들이 홍콩의 일부 택시 기사들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면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에서는 7월에만 5일부터 23일 사이 총 99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는데 이 중 158명은 해외에서 유입된 사례였고 833명은 현지 감염자였다.

 

홍콩 정부는 이에 단계적으로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8일부터는 항공기나 선박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전원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했으며 10일에는 학생들의 여름 방학이 평소보다 일찍 시작됐다.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15일에 사회적 거리 두기 규칙을 강화했으며 가라오케나 안마시술소 같은 업소들의 영업정지를 지시했다. 20일부터는 공무원들의 재택근무가 허용됐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들에도 바이러스 확산 추세는 꺾이지 않았다. 7월 셋째 주에는 인구 740만 명의 이 도시에서 하루에 110명가량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난주 목요일 홍콩 정부는 마스크 착용 규칙을 강화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규모 검사나 봉쇄 조치가 적용되지는 않고 있다. 홍콩 보건당국은 여전히 증상이 없는 사람들은 검사 자원을 소모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홍콩 정부는 감염자를 '제로'로 만들기보다는 감염률을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전략을 채택했다. 홍콩은 이 전략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의료 자원을 아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사회-경제적 비용이 증가할 것이다.

 

홍콩 정부는 이전에도 일부 감염자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하며 이번 사태를 통제하는 것과 경제 활동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베이징

 

베이징에서는 엄격하면서도 집중적인 비상조치가 효과를 거두고 있다.

7월 6일 공중 보건 비상 단계를 '2'에서 '3'으로 완화했다.

 

그런데 11일 한 남성이 농산물 재래시장에 다녀온 뒤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자 시 당국은 대규모 검사에 나섰다. 그 시장에 있었거나 인근 지역에 있었던 주민들 20만 명을 대상으로 검사가 실시됐고 모든 스포츠 및 문화 활동이 취소됐다.

 

보건 관계자들이 투입되어 길거리에서 사람들의 체온을 측정했으며 모바일 앱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입증한 사람만이 자신의 거주 지역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조치도 내려졌다.

 

16일에는 비상 등급이 다시 '2'로 격상됐다. 술집과 음식점들에는 영업을 일찍 마감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베이징은 이번 바이러스 사태에 대규모 검사 시스템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미 7월 5일 기준으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시민이 1천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전체 베이징 인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이자 전면적인 검사 시행으로 국제 사회의 찬사를 받은 우리나라의 전체 검사 횟수인 약 150만 건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 같은 대응은 효과를 거뒀고 최근 며칠 동안에는 신규 확진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그리고 20일에는 다시 비상 등급이 '3'으로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베이징이 2천 곳 이상의 샘플 채취장을 설치하고 1주일에 백만 건 이상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면서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통제하고 있다고 말한다. 여기에 워낙 검사 횟수가 늘어난 탓에 규모의 경제로 인해 검사 비용이 10.7달러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홍콩만 해도 검사 비용이 약 193.5달러에 달한다.


서울

 

서울은 인구 천만 명의 도시다. 여기에 인천과 경기도를 합치면 한국의 전체 인구 5천1백만 명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서울에서는 현재까지 약 1200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종교 단체 등의 집단 감염이 잦았던 대구의 경우 6800명 수준이다.

 

최근 추이를 보면 일별 신규 확진자 수가 20명 내외로 이는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서울을 비롯해 대한민국 전체로 이번 바이러스 대응과 관련해 세 가지 강점을 꼽는다.

 

첫째는 저렴하고 집중적인 검사 시스템이다. 

두 번째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적극적 접촉 추적 시스템이다. CCTV는 물론이고 신용카드, 이동통신, 대중교통 이용 정보 등이 이를 위해 이용된다. 

세 번째는 코로나19 전문 의료 시설을 이용한 격리 조치와 초기 단계의 치료다.

 

여기에 투명하고 민주적인 접근법이 더해진다. 보건당국은 매일 TV로 브리핑을 하며 지난번 메르스 사태 당시 만들어진 사생활 관련 법률을 통해 적극적인 접촉 추적이 가능해졌다. 뛰어난 시민의식이 더해지면서 서울은 물론이고 전국 어디에서도 봉쇄 조치가 실시되지 않고 있다.

 

마스크 착용은 일상화됐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마스크 착용이 필수다.

이 같은 노력 덕에 최근 박물관과 도서관들이 다시 문을 열었고 일시적으로 금지되었던 종교 모임도 재개됐다.

 

도쿄

 

이번 코로나 사태 초기 발생한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사건으로 홍역을 앓은 일본에서는 이번 달 들어 도쿄가 이번 사태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도쿄는 현재 최고 수준의 질병 경보가 내려져 있으며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베이징이나 서울과는 달리 일본 정부의 정책은 공중 보건 거점들을 이용해 집단 감염 지역을 추적해 바이러스 사태를 관리하면서도 검사는 가능한 자제하면서 보건체계에 미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었다.

 

물론 코로나19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따라야 할 엄격한 절차는 존재한다. 도쿄 시 당국은 자신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판단하는 사람들에게 검사 방법과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서를 발간하고 핫라인도 설치했다.

 

현재까지 도쿄에서 발생한 누적 확진자 수는 1만 700명 정도다.

 

특히 이번 달 초부터 감염자 수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일별 확진자 수는 7월 9일 200명을 돌파한 뒤 이후 부침이 있지만 대체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더구나 확진자 가운데 일부는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두고 유리코 코이케 도쿄 도지사와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다소 엇갈리는 견해를 갖고 있다.

 

코이케 도지사가 도쿄에서의 2차 감염이 확산 여부에 대해 이것이 확실하지 않지만 반드시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한 반면 아베 총리는 현 상황이 반드시 국가 비상사태 재선포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고 말했다.

 

코이케 도지사는 지난 3월부터 줄곧 아베 총리에 비해 훨씬 적극적인 바이러스 대응 정책을 주장해왔다.

 

아베 총리는 4월 15일에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했고 이에 코이케 도지사는 일시적으로나마 완만한 수준의 도쿄 봉쇄 조치를 시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5월 25일에 아베 총리는 국가 비상사태를 해제했고 도쿄의 봉쇄 조치도 종료됐다.

 

도쿄에서 발생한 확진자가 일본 전체 확진자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면서 도쿄는 지난주 일본 전역에서 실시된 자국 내 여행 장려 프로그램에서도 제외됐다.

 

일본 정부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올해 여름 일본 내에서 휴가를 즐기는 내국인들에게 여행 비용의 절반가량을 지원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