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태극권이 파킨슨 환자의 자세불안을 스트레칭이나 resistance-based exercise에 비해 효과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다.

서지사항

Li F, Harmer P, Fitzgerald K, Eckstrom E, Stock R, Galver J, Maddalozzo G, Batya SS. Tai chi and postural stabilit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 Engl J Med. 2012;366(6):511-9.

연구설계

randomized, active controlled, 3arm, parallel group, Comparative effectiveness research

연구목적

파킨슨 환자가 24주간 주 2회 60분의 태극권 운동을 시행하면 Resistance-based exercise나 스트레칭에 비해 자세반사 불안정을 유의하게 호전시킬 수 있는가?

질환 및 연구대상

· 40-85세의 195명의 파킨슨병 환자 Hoehn and Yahr scale 상에서 1-4까지만 해당하는 경우만 연구함 (가장 심한 5등급 환자는 제외).
· 약물 용량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고, 도움 없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보조장치의 도움 없이 혹은 도움을 받아서 자가보행이 가능한 사람을 대상으로 함.

시험군중재

· 6개의 태극권 동작을 8개의 루틴한 형식으로 통합함.
· 피험자에게 균형을 유지하고 대칭적인 대각선 보행을 하게 해서 무게를 지지하거나, 무게중심을 옮기는 동작, 전후좌후 보행, Ankel sway 등을 시행하도록 함.
· 첫 10주에는 각각의 형식을 반복을 통해 익숙해지는 것을 목표로 함.
· 나머지 14주는 반복을 통해 균형감을 높이고 이동 범위를 늘림.

대조군중재

1) 대조군1: Resistance Training
· 균형과 자세, 보행에 중요한 근육들의 근력을 키우는 운동을 시행함.
· 중량 조끼와 발목 주머니를 차서 resistance를 주었으며 처음에는 몸무게의 1%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5%까지 올림. 발목 주머니는 0.45kg에서 시작하여 1.36kg까지 늘림.
· 앞으로 걷기, 옆으로 걷기, 스쿼트, 런지, heel and toe raise를 10-15회 반복하는 것을 1-3세트 시행함.

2) 대조군2: Stretching
· 저강도 운동과 사회적 교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다른 두 군과 달리 중량 운동이나 근력, 균형과 관련된 효과는 없음.
· 상지와 하지의 여러 종류 스트레칭으로 관절의 굴곡 신전과 체간의 회전운동, 복식호흡을 시행함.

평가지표

Maximum excursion과 Directional control을 Balance Master System (NeuroCom)이라는 기계를 이용해 3개월 차, 6개월 차, 연구 종료 후 3개월 차에 측정함.
1) Maximum excursion은 8개의 방향에서 중력에 대항해 넘어지지 않고 무게를 지탱하는 것을 0-100%까지 측정함.
2) Directional Control은 운동의 정확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목표물에 얼마나 정확하게 도달하는가를 0-100%까지 측정함.

주요결과

1) 6개월 차에 태극권 그룹이 Resistance training 그룹에 비해 Maximum excursion은 5.55% (95% CI 1.12 - 9.97) Directional control은 10.45% (95% CI 3.89 - 17.00) 더 호전되었다.
2) 6개월 차에 태극권 그룹이 스트레칭 그룹에 비해 Maximum excursion은 11.98% (95% CI 7.21 - 16.74) Directional control은 11.38% (95% CI 5.50 - 17.27) 더 호전되었다.
3) 6개월 후에 기저치와 비교하면 태극권 그룹은 Maximum excursion이 9.56% 증가하였고, Directional control은 8.02% 증가하였다. Resistance-training은 Maximum excursion만 기저치에 비해 4.02% 증가하였고 Directional control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트레칭 그룹에서는 두 지표 다 6개월 후 기저치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저자결론

24주간 매주 2회 60분간의 태극권 운동을 시행하면 경도-중등도 스트레칭이나 Resistance-training program에 비해 파킨슨병 환자의 자세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다.

KMCRIC 비평

1) 파킨슨병 환자들은 질환이 진행될수록 자세 안정성 (Postural stability)이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떨림 같은 증상과는 달리 Postural instability는 약물치료에 반응이 좋지 않습니다 [1,2]. Resistance-based exercise가 이용되긴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기기에 의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태극권은 Balance-based exercise로서 이전의 연구에서 고령자의 근력과 균형감, 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키고 낙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3-5]. 하지만 파킨슨 환자의 자세 불안정에 대한 RCT는 없었기에 연구진들은 맟춤 태극권 프로그램이 Resistance-based exercise나 low-impact stretching보다 파킨슨 환자의 Postural stability를 호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RCT를 수행하였습니다.
2) 연구 결과 경도-중등도의 파킨슨병 환자가 자세 불안 증상 맞춤 태극권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Resistance-training이나 스트레칭에 비해 효과적으로 자세 불안을 호전시키고 특별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이 효과는 운동을 마치고 3개월 후에도 여전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이 연구 결과는 태극권 운동이 임상적 측면에서 파킨슨 환자가 캐비닛에서 물건을 꺼내기, 앉았다가 일어서기 혹은 일어섰다가 앉기, 낙상 위험 없이 걷기 등의 동작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아직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파킨슨 운동이 Neuromuscular 분야의 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파킨슨 환자의 낙상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은데 태극권이 낙상 방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1]
Schapira AHV, Olanow CW. The role of levodopa and catechol-O-methyltransferase inhibitors. Principles of treatment in Parkinson's disease. Philadelphia; Butterworth-Heinemann Elsevier. 2005:3-24.

[2]
Schapira AHV, Olanow CW. The medical management of Parkinson's disease. Principles of treatment in Parkinson's disease. Philadelphia; Butterworth-Heinemann Elsevier. 2005:119-43.

[3]

[4]

[5]

작성자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의약임상시험센터 임정태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