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제목 |
특발성 파킨슨병에 대한 침과 봉침의 효과 연구 |
서지사항 |
Cho SY, Shim SR, Rhee HY, Park HJ, Jung WS, Moon SK, Park JM, Ko CN, Cho KH, Park SU.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and bee venom acupuncture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12 Sep;18(8):948-52. doi: 10.1016/j.parkreldis.2012.04.030. Epub 2012 May 24. |
연구설계 |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
연구목적 |
특발성 파킨슨병의 보조치료로써 침과 봉침의 효과 연구 |
질환 및 연구대상 |
최소 1개월 이상 항-파킨슨 약물의 복용량이 일정한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 43명 |
시험군중재 |
1. 침 치료군 : 10개의 경혈을 침을 통해 자극, 8주 동안 주 2회의 치료로 총 16세션
* 혈자리 : 풍지 (GB20), 양릉천 (GB34), 곡지 (LI11), 족삼리 (ST36), 태충 (LR3)
2. 봉침군 : 10개의 경혈을 봉침을 통해 자극, 8주 동안 주 2회의 치료로 총 16세션
* 혈자리 : 풍지 (GB20), 양릉천 (GB34), 곡지 (LI11), 족삼리 (ST36), 태충 (LR3) |
대조군중재 |
무처치 대조군 |
평가지표 |
·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 the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 the Berg Balance Scale
· 30m를 걷는 데 필요한 시간과 발걸음 수 |
주요결과 |
침 치료군은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part III 및 총점수), Beck Depression Inventory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봉침군은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part II, III, 총점수), Berg Balance Scale, 30m 보행시간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봉침군은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의 향상이 크게 두드러졌다. 대조군의 경우는 8주 후에 어떤 평가에서도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
저자결론 |
침과 봉침은 파킨슨병의 보조치료로 가능성이 있다. |
KMCRIC 비평 |
파킨슨병은 두 번째로 흔한 신경퇴행 장애 (neurodegenerative disorder)로, 흑질 (substantia nigra)의 도파민성 뉴런의 손상으로 유발된 선조체 도파민 감소를 특징으로 합니다. 레보도파는 파킨슨병의 치료약으로 사용되지만, 제한적이기 때문에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습니다 [1]. 이 중 침은 가장 유명한 대체의료법 중 하나로, 몇몇 실험연구에서 신경영양 (neurotrophic) 및 신경보호 효과가 증명되었습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의 효과는 아직 결론내려진 바 없습니다. 봉침의 경우에도 기존의 통증, 관절염, 류마티스 질환, 암, 피부질환 등에 관한 연구뿐 아니라, 항-신경염증 효과가 최근에 발견되었습니다 [2,3]. 그러나 파킨슨병에 대한 봉침의 효과는 연구된 적이 없습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침과 봉침의 사용이 파킨슨병에 효과적인지 알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도 예비연구라고 적고 있기 때문에 더 큰 규모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침과 봉침을 동시에 처치했을 경우 시너지 효과로 추가적인 이득이 있는지 여부도 확인되어야 할 것입니다. |
참고문헌 |
[1]
[2]
[3]
|
작성자 |
사랑채움한의원 공병희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