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비타민D3 보충제가 파킨슨병의 진행을 방지하는가? 만약 그렇다면 비타민D 수용체 유전자형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내는가?

서지사항

Suzuki M, Yoshioka M, Hashimoto M, Murakami M, Noya M, Takahashi D, Urashima M.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Parkinson disease. Am J Clin Nutr. 2013;97(5):1004-13.

연구설계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trial

연구목적

파킨슨병 환자에게 12개월간 비타민D3 보조제를 공급하여 Hoehn-Yahr (HY) stage와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tage (UPDRS)로 평가했을 때 플라시보 대조군에 비해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가? 그리고 비타민D 수용체 (VDR) genotype에 따라 효과가 다른가?

질환 및 연구대상

45-85세 사이의 파킨슨병 가족력이 없고 2명 이상의 신경과 전문의에 의해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은 환자 114명

시험군중재

매일 56명의 환자에게 1년간 1,200IU의 비타민D3 투약

대조군중재

매일 58명의 환자에게 1년간 플라시보약 투약

평가지표

· Modified HY stage, UPDRS total score와 4개의 subscore (part I: nonmotor experiences of daily living; part II: motor experiences of daily living; part III: motor examination; and part IV: motor complications), MMSE를 baseline과 12개월의 약 복용이 종료된 시점에 같은 신경과 의사에 의해 각각 측정하여 점수가 악화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주요 평가지표임.
· ITT 분석을 시행하였고 Risk Difference와 Number needed to treat를 같이 제시함.

주요결과

· HY stage가 악화되지 않았거나 혹은 호전된 환자의 비율은 비타민D3 치료군에서 16/55명 플라시보 대조군에서 7/57명으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많았고 (p=0.028) risk difference는 16% (95% CI 2%,32%)였으며 Number needed to treat는 6명 (95% CI 3-48명)이었다.
· 마찬가지로, UPDRS subscore 중에서 part II 점수가 악화되지 않았거나 호전된 환자의 비율은 비타민D3 치료군에서 26/55명, 플라시보 대조군에서 16/57명으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p=0.036).
· 나머지 UPDRS total score와 part I, III, IV에서는 양 군의 차이가 없었다.
· MMSE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 Parkinson’s Disease Questionnaire-39 (PDQ39) subscore 중에서 Activities of Daily living과 Emotional Well Being 점수도 치료군에서 악화되지 않거나 호전된 사람의 비율이 더 높았다.
· 비타민D 수용체의 GC genotypes에 따른 분석에서 FokI TT 유전자형을 가진 군은 비타민D3 투여 시 플라시보군보다 UPDRS 점수가 좋았으나 CT나 CC 타입은 그렇지 못했다.
· HY stage에서도 FokI TT나 CT 유전형을 가진 비타민D3 투여군은 플라시보 대조군에 비해 결과가 좋았으나 CC 유전형은 그렇지 못했다.
·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저자결론

1,200IU의 비타민D3 보충제를 12개월간 투약하면 HY stage나 UPDRS로 측정한 파킨슨병의 정도가 플라시보 대조군에 비해 덜 악화되며 고칼슘혈증 등의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Number needed to treat는 6으로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비타민D 수용체의 GC genotype으로 봤을 때, 비타민D 투약을 통해서 파킨슨병의 진행을 가장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Foki 유전자형은 TT형이고 그 다음이 CT형, 가장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CC 유전자형이다. 고칼슘혈증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KMCRIC 비평

1) 비타민D의 효과: 장기간의 코호트 연구에서 25(OH)D의 혈중 농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파킨슨병 발병률이 세 배나 높았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습니다 [1]. 또한 경도의 파킨슨병 환자보다 중등도의 파킨슨병 환자들에게서 혈중 25(OH)D 농도가 더 낮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습니다 [2,3]. 이 연구는 이전의 연구결과들에 비추어 봤을 때 비타민D3 복용이 파킨슨병의 진행을 늦춘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전의 메타분석에서 비타민D 보충제를 노인이 복용하면 근력과 균형능력을 호전시킨다는 연구도 있기 때문에 비타민D 복용이 파킨슨병에 특이적으로 질병의 진행을 늦추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근력과 평형감각을 호전시킨 비특이적인 효과로 UPDRS나 HY stage상의 호전을 보였는지는 아직 명확히 결론 내릴 수 없습니다 [4].
2) 유전자형에 따른 효과 : 유전자형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샘플 수가 너무 적다는 한계점이 있으며 여러 인종에 일반화시키기 어렵습니다.
3) 안전성 : 장기간 추적 관찰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해서도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참고문헌

[1]

[2]

[3]

[4]

작성자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의약임상시험센터 임정태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