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천식 완화기 환자에게 삼복첩을 사용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서지사항

Zhu L, Zhang W, Wong V, Eric Z, Lao L, Lo K, Chan W, Yau T, Li L. Randomized trial of acupoints herbal patching in Sanfu Days for asthma in clinical remission stage. Clin Transl Med. 2016 Mar;5(1):5. doi: 10.1186/s40169-016-0084-7.

연구설계

randomis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연구목적

천식 완화기 환자에게 삼복첩의 효과를 폐 기능 검사와 설문지로 확인

질환 및 연구대상

12개월 안에 천식 발작의 병력이 있지만 3개월 이상 천식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폐 기능 검사치가 발작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13세 이상의 천식 완화기 환자 323명 (삼복첩 165명, 위약 158명)

시험군중재

2010년 삼복날 (7월 19일, 7월 29일, 8월 8일) 대추, 신주, 명문, 폐수, 신수, 고황, 정천 혈위에 백개자, 현호색, 감수, 세신, 마황, 부자, 육계, 정향을 2:1:1:1:1:1:1:1 비율로 생강즙과 섞어 만든 치료약을 2시간 동안 첩부

대조군중재

2010년 삼복날 시험군과 동일한 혈위에 녹말, 홍미, 흑미를 3:3:1 비율로 바셀린과 섞은 위약을 2시간 동안 첩부

평가지표

1. 치료 전과 3회 치료 후 차이 측정
- 연속형 변수 (천식 관련 증상 수, 일수, 폐 기능 검사치 등): ANCOVA를 사용
- 범주형 변수 (천식 관련 치료, 23가지 구체적 증상 비율 등): 이분형 회귀분석을 사용
- 순위형 변수 (천식 발작 시 기관지확장제 사용 빈도 등): 비모수 검정을 시행
1) 1차 평가지표: 1초 강제 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및 1초 강제 호기량/강제 폐활량 (FEV1/forced vital capacity, FEV1/FVC)
2) 2차 평가지표: 자가 제작 설문지

2. 4회 후속 방문 (11월, 2월, 5월, 7월) 동안 측정한 변수는 양방향 t 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

주요결과

1. 치료 후와 후속 방문 동안 1차 평가지표와 2차 평가지표 모두 두 군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

2. 후속 방문 동안 2차 평가지표의 하위 분석에서는 시험군에서 천식 관련 증상으로 인한 삶의 질이 개선됨.
1) 후속 방문 동안 시험군에서 천식 관련 증상 시 의학적 치료를 받지 않은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함 (11월 첫 후속 방문 6-15% 증가, 5월 세 번째 후속 방문 0-7% 증가).
2) 후속 방문 동안 시험군에서 천식 증상으로 잠이 깨는 경향이 있던 비율이 감소함 (2월 2번째 후속 방문 27-14% 감소).
3) 후속 방문 동안 발작 전 콧물과 재채기 증상이 있던 비율이 감소함 (2월 2번째 후속 방문 18-8% 감소).
4) 시험군에서 5월 3번째 후속 방문의 자한 비율과 7월 4번째 후속 방문의 기름진 음식 섭취 후 설사 비율이 감소함.

3. 안전성
1) 피부 반응: 거의 모든 시험군에서 소양감, 열감, 부종, 수포, 통증 중 한 가지 이상이 나타났으나 치료 중단 후 사라짐.
2) 중증 이상 반응 5례: 3례는 천식 악화, 1례는 토혈 경향이 있었지만 두 번째 치료 후 자연 호전되어 삼복첩 영향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고, 1례는 알레르기성 발진이 있었음.
3) 1례는 2010년 7월 말 임신 확인

저자결론

폐 기능 검사치에서는 치료 후와 후속 방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후속 방문의 하위 분석에서 폐기허 증상 (각면, 콧물, 재채기), 비기허 증상 (자한, 기름진 음식 후 설사)의 호전이 나타났고, 약제 필요성이 감소하여 지속적인 삶의 질 개선 효과가 있었음. 또한 삼복첩은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으로서 천식 완화기 환자에 대한 대체 치료로 활용 가능함.

KMCRIC 비평

천식은 재발성 쌕쌕거림, 호흡 곤란, 기침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의 만성 염증 질환입니다. 임상 치료법으로는 흡입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류코트리엔 조절제, 지속성 흡입 ß2 작용제, 테오필린, 항 IgE 제제,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경구 항알레르기 제제, 항원특이면역 요법 등 염증을 조절하는 치료와 속효성 흡입/경구 ß2 작용제, 항콜린제 등 기도 수축을 회복하는 치료법이 있습니다 [1]. 하지만 10% 정도의 천식 환자는 적절한 치료에도 증상 조절이 어려워 [2] 40% 정도의 천식 환자들은 대체 요법 등 새로운 치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
천식의 예방과 치료에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삼복첩을 활용해 왔습니다 [4]. 삼복첩은 1년 중 양기가 가장 성한 삼복날에 고약을 혈위에 붙이는 치료 방법으로 [5], 알레르기 질환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6]. 본 연구는 홍콩에서 천식 완화기에 적용한 삼복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무작위 이중맹검시험으로, 피험자 수를 기존 임상시험의 유효율에 따라 계산하고 무작위배정과 할당 은폐가 명백하게 이루어졌으며 ITT (intention-to-treat) 분석으로 결과를 보고한 질이 높은 연구입니다. 7-8월 치료 직후인 여름보다 11월, 2월, 5월, 7월 후속 방문 시점인 가을~봄 사이에 하위 효과가 나타난 것은 겨울 질환을 여름에 예방하는 삼복첩의 효과를 일부 입증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록 검증된 설문지가 아닌 자가 제작 설문지를 활용하고 객관적 지표인 폐 기능 검사치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점이 한계지만, 이는 구성 약재나 혈위 혹은 치료 횟수에 변화를 주어 재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천식에 대한 혈위 첩부 요법 메타분석 [7]에 포함된 삼복첩 RCT [8]에서는 폐수, 고황, 단중, 정천 혈위에 백개자, 세신, 사향, 감수, 현호색과 생강즙을 섞어 만든 고약을 여름에 삼복첩 3회, 겨울에 삼구첩 3회, 총 6회 시행하여 위약군에 비해 1초 강제 호기량 (FEV1)이 개선을 보였습니다. 저자 결론에서도 Li YH의 임상 연구에서는 폐 기능에 유의한 개선이 나타났다고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문헌

[1]

[2]

[3]

[4]

[5]

[6]

[7]

[8]

작성자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이선행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