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MCRIC 제목 |
청상방풍탕은 염증성 여드름 환자의 안면 열과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나? |
| 서지사항 |
Kim B, Kim KI, Lee J, Kim K. Inhibitory effects of Cheongsangbangpoong-tang on both inflammatory acne lesion and facial heat in patients with acne vulgaris: A doub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mplement Ther Med. 2019;44:110-115. doi: 10.1016/j.ctim.2019.03.018. |
| 연구설계 |
단일 기관, 이중 맹검, 무작위 비교 임상시험 |
연구목적 |
청상방풍탕이 열증 (Heat pattern)을 조절하여 염증성 여드름을 억제할 수 있는지 평가 |
| 질환 및 연구대상 |
안면 (헤어라인부터 턱의 경계까지)에 10개 이상의 염증 부위 (구진, 농포, 낭종)을 가진 여드름 환자로 19세 이상의 남녀 56명 |
| 시험군중재 |
청상방풍탕 (CBT) 과립 5g을 8주 동안 하루 3회 식전 복용 |
| 대조군중재 |
가짜약 5g을 시험군과 동일하게 복용 |
| 평가지표 |
1차 평가지표: 치료 전후 염증 부위 (구진, 농포, 낭종)의 개수
2차 평가지표: 비염증 부위 (면포)의 개수, 평정 척도 (NRS, number rating scale), 연구자 평자 (IGA, investigator global assessment), 한국형 여드름 중등도 평가 시스템 (KAGS, severity score on the Korean acne grading system), 혈청 코르티솔 (serum cortisol),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
| 주요결과 |
청상방풍탕군이 대조군에 비해 1차 평가지표인 염증 부위의 백분율 수 (percentage count)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2차 평기지표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음. 변증 유형에서는 풍열형과 충임부조형에서 담어형과 습열형보다 효과적이었음.
|
| 저자결론 |
청상방풍탕은 안면 열과 염증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해서 여드름을 치료하는 잠재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는 약물이다. |
| KMCRIC 비평 |
여드름은 면포만을 가지고 있는 상태의 비염증성과 면포에 구진, 농포, 결절 등을 동반하는 염증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한의계는 비염증성과 염증성 여드름의 평가 및 치료와 관련해서 아직 가이드라인은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여드름의 유형을 변증과 연결하는 평가 도구 [1]를 개발하여 일부 연구자들이 활용하고 있다.
여드름 중증도 평가와 관련해서 KAGS (Korean acne grading system)은 염증성 여드름을 구진 (경증)과 결절 (중증)으로 구분하고 구진과 결절의 개수에 따라 6등급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KAGS를 2차 평가 도구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으며, 여드름을 비염증성과 염증성으로 구분하고 염증성 여드름 관련해서 구진, 결절, 낭종을 경중에 따른 구분 없이 1개의 범주로 설정하여 청상방풍탕 4주 투약 후 유의성을 관찰하는 1차 평가 지표로 삼고 있다.
청상방풍탕 4주 투약 후 효과를 살펴보는 결과에서는 1차 평가 지표에서 감소율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KAGS를 포함한 2차 평가 지표 모두에서 감소율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증 (구진)과 중증 (결절)이 혼재되어 있는 1차 평가 지표에서는 유의성 있는 감소율을 확인하기는 하였지만, 경증 (구진)과 중증 (결절)으로 구분된 2차 평가 지표인 KAGS에서는 유의성 있는 감소율을 보이지 않고 있어 경증에 유효한지, 중증에 유효한지를 알기는 어렵고, 다만 염증성 여드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흥미로운 점으로 여드름을 풍열형, 습열형, 담어형, 충임부조형으로 분류하는 변증 평가 도구와 DITI 측정 결과와 연결하여 제시한 결과에서 청상방풍탕은 풍열형과 충임부조형에 보다 유효함을 언급하고 있다. 향후 여드름 연구에서 변증 평가 도구를 추가하여 연구하는 것은 어떨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함에 있어 성별에 대한 고려와 1차 평가 지표에서의 의도치 않은 치우침이 있음을 언급하면서 결과를 해석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리고 청상방풍탕의 치료 효과를 항염 효과로 보고 있으며, 혈청 코르티솔 (serum cortisol)과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호르몬 변화와 관련된 효과는 없는 것으로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
| 참고문헌 |
[1]
|
| 작성자 |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서형식 |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