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화병 환자의 신체 증상 및 불면증에 대한 황련해독탕의 효과

서지사항

Choi Y, Kim Y, Kwon O, Chung SY, Cho SH. Effect of herbal medicine (Huanglian-jie-du granule) for somatic symptoms and insomnia in patients with Hwa-byu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gr Med Res. 2021 Jun;10(2):100453. doi: 10.1016/j.imr.2020.100453.

연구설계

무작위 배정, 환자 및 평가자 눈가림, 위약 비교임상연구

연구목적

화병 환자의 신체 증상과 불면증에 대한 황련해독탕의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질환 및 연구대상

19-65세 화병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화병 증상이 발생한지 4주 이내인 대상자를 포함. 30일 이내에 정신과 약이나 심리 치료 등을 받은 경우는 제외함.

시험군중재

황련해독탕군 (n=22): 황련해독탕 2.5g/회 하루 세 번 복용. 연속 7일간 치료

대조군중재

플라시보군 (n=22): 황련해독탕과 모양 색깔, 맛, 냄새가 거의 똑같은 플라시보 한약 2.5g/회 하루 세 번 복용. 연속 7일간 치료

평가지표

1차 평가 척도

PHQ-15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of Physical Symptom): 정신 장애로 인한 불특정한 신체 증상의 심각도를 측정한다.

ISI: 불면의 심각도를 측정한다.


2차 평가 척도

SRI (Stress Response Inventory): 분노, 우울, 피로 등 스트레스 반응 증상을 본다.

VAS-HS (VAS for Hwa-byung Symptoms): 15개의 화병 증상을 기초로 만들어졌으며 0에서 100까지 점수를 측정한다.

STAXI-S: 화병의 주요 감정인 상태 분노를 측정한다.


모두 치료 시작 전, 치료가 끝난 후 (7일 후), 치료 종료 5주 후 재평가하였다.

주요결과

황련해독탕군, 플라시보군 모두 치료 전후 1차, 2차 평가 척도 상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나, ISI (불면 척도)에서만 황련해독탕군이 플라시보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LS mean difference -2.56 [95% CI: −4.72 to −0.39]; p = 0.0208).

저자결론

황련해독탕은 급성기 화병 환자의 불면 개선에 매력적인 선택이다.

KMCRIC 비평

황련해독탕은 임상 현장에서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대표적인 처방이다. 황련해독탕은 고지혈증, 암, 관절염, 간손상, 알츠하이머병 및 우울증까지 다양한 질환에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현재까지 화병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는 없었다. 황련해독탕의 보험 적응증에 불면, 신경증, 어지럼증, 심계 항진, 얼굴이 붉은 사람의 상열감이 있는데, 이런 증상들은 화병의 대표적인 증상들이다. <한방신경정신과학> 교과서에서 황련해독탕은 열감과 불면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권고되는 주요 처방이지만 그 근거는 부족하다. 화병은 분노기-갈등기-체념기-증상기 와 같은 네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화병의 초기 단계에서 분노 표출과 함께 가슴 답답함, 상충감, 불면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 반응이 뚜렷하다. 그래서 이번 임상연구에서는 화병의 초기 단계에 초점을 맞춰 급성 스트레스 반응 증상에 대한 황련해독탕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화병 신체 증상과 불면이 초기 단계의 주요 증상이기에 주요 평가 척도로 선택됐다.

이번 연구결과 황련해독탕 진액은 단 1주일 간의 투여 후 화병 환자의 불면을 플라시보약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하였다. 하지만 신체 증상은 유의하게 개선하지 못했다. 황련해독탕 복용군 중 27.3%에서 경미한 소화 불량이 발생했다.

불면은 화병 진단 기준에 포함된 화병 초기의 주요 증상이다. 또한 불면은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 포함된 환자는 ISI 평균 점수가 15.98점으로 중등도의 불면 상태였다. 두 명을 제외하고 모든 환자가 불면을 호소하였다. 황련해독탕의 주요 약재인 황금의 활성 성분인 Baicalin은 글루타메이트를 억제하여 진정 효과를 나타냈다.
2. 변증에 따른 불면증 한약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황련해독탕의 구성 약재인 황금과 치자, 황백, 황련은 간울화화와 음허화왕 불면 변증에 상용 약재였다.
3. 황련해독탕은 화열 패턴의 급성기 화병 환자의 불면 개선에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화병 환자에 대한 침 치료 임상연구에서 침 치료는 플라시보 침 치료에 비해 불면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4. 향후 임상 현장을 반영하여 황련해독탕과 침 치료 병용 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PHQ-15로 측정한 전반적인 신체 증상은 플라시보군에 비해 뚜렷하게 개선되지 못했지만, VAS-HS로 측정한 15개의 화병 증상 중 열감과 구건이 플라시보군보다 개선됐다. 황련해독탕이 청열약이기에 열감과 구건에 효과적이라는 것은 흥미로운 결과다. 또한 황련해독탕은 VAS-HS에서 심리 증상보다 신체 증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마지막으로 황련해독탕 투여군에서 경미하지만 소화 불량이 발생했으므로 소화 장애가 있는 화병 환자에게 투여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부작용은 경미하였고 2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아 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 대상자 수가 효과 크기를 확증할 만큼 크지 않다는 것과, 단독 기관에서만 진행된 연구였으며, 급성 화병을 대상으로 하여 만성 화병에 대한 효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ISI와 PSQ-15 척도의 포함 기준에서 최소 기준이 없어서 경증 환자가 많이 포함되어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ISI로만 간단하게 불면을 측정하였기에 PSQI나 수면 일기 및 액티그래피와 같은 보다 정밀하고 객관적인 수면 평가 도구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급성기 화병 환자에 7일간의 황련해독탕 진액제 투여가 불면 개선과 열감, 구건과 같은 신체 증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어 화병뿐 아니라 급성 스트레스 상태가 동반된 다양한 질환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단, 처방시 소화 장애가 있는 환자는 주의해야 할 것이다. 불면은 우울증, 불안, 알코올 중독 등 다양한 정신 장애의 위험 인자이다. 급성기 화병 환자에서 불면 개선은 만성 화병으로의 진행을 막아줄 수 있고 환자의 정신 건강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황련해독탕은 매력적인 화병 치료 옵션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1]

[2]

[3]

[4]

작성자

대구한의대학교 부속포항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상호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