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전장 침술 (Battlefield Acupuncture)은 약물 요법에 비해 응급실에 내원한 요통 환자에게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Johnston K, Bonjour T, Powell J, April MD. Battlefield Acupuncture Versus Standard Pharmacologic Treatment of Low Back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Emerg Med. 2021 Oct;61(4):406-415. doi: 10.1016/j.jemermed.2021.07.017.

연구설계

무작위배정, 두 그룹, 비교임상연구

연구목적

전장 침술 (Battlefield Acupuncture)이 약물 요법에 비해 응급실에 내원한 요통 환자의 통증과 기능에 효과적이고 안전한지 평가하기 위해서.

질환 및 연구대상

도시의 3차 진료 대학병원의 응급실에 3개월 이내의 VAS 30mm 이상의 외상성 요통을 호소하는 18~55세의 성인 52명

시험군중재

전장 침술군 (n=26): 양측 귀의 5개의 이혈 (Cingulate gyrus, thalamus, omega 2, point zero, shen men)에 시술 [1], 이침은 시술 후 2시간에서 7일 사이에 저절로 떨어짐.

대조군중재

약물 치료군 (n=26): 다음의 약물을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함 (acetaminophen, diclofenac, diazepam, hydrocodone, ketorolac).

평가지표

1) 일차 평가변수 

· (치료 30-40분 후) 100-mm VAS (visual analogue scale) 감소

2) 이차 평가변수

· (치료 30-40분 후) 만족도 점수

· (치료 48-72시간 후) 만족도 점수

· (치료 48-72시간 후) 허리 통증 기능 척도 (BPFS, Back Pain Functional Scale) 호전

· (치료 48-72시간 후) 구제약 복용 비율

주요결과

1) 일차 평가변수인 VAS 감소 (치료 30-40분 후)는 전장 침술군에서 33.4mm, 약물 치료군에서 21.5mm의 감소 (효과 크기 12.0 95% 신뢰구간 0.1–23.8)하여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이차 평가변수인 만족도 점수 (치료 30-40분 후 및 48-72시간 후)와 허리 통증 기능 척도 호전 정도는 두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 치료 48-72시간 후 전화로 조사한 구제 약물 복용 비율에서는 전장 침술군이 83%, 약물 치료군이 100%로 두군 간 차이가 있었으며, 연구 기간 내 이상 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결론

전장 침술은 응급실에 내원하는 외상성 요통의 급성 통증 완화에 약물 치료에 비해 효과적이었다.

KMCRIC 비평

침 치료는 근골격계의 급만성 통증뿐 아니라 정신 질환에 효과적이라는 임상 근거들이 쌓이면서, 군대 내 의료의 다빈도 질환인 외상 및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와 군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리를 위해 군진의학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2002년 Adrews 공군기지에서 처음 침 치료가 사용된 이래로, 2009년에는 공군뿐 아니라 육군, 해군에서도 침 클리닉에서 침 치료가 확대 적용되고 있다. 군진의학에서 침술은 군인들의 전투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즉각적인 통증 완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혈 침술이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즉각적인 통증 완화를 위한 미 공군의 `전장 침술 프로토콜 [1,2]`과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 치료를 위한 헬름스 의학연구소의 `HMI 귀 외상 프로토콜 [3]`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외상성 요통 환자에게 5개의 이혈에 침 치료를 시행하는 '전장 침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고식적인 약물 요법과 급성 통증 완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치료 30-40분 후 통증 감소 정도에서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여 이침 치료가 약물 치료에 비해 요통의 즉각적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치료 48-72시간 후 전장 침술군에서 약물 치료군에 비해 구제약을 덜 사용했다. 단, 치료 48-72시간 후 치료 만족도나 허리 통증 기능 척도에서는 양군 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저자는 '전장 침술 프로토콜'을 사용한 이침 치료가 응급실에 내원한 요통 환자의 즉각적인 통증 억제에 기존 약물 치료에 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실제 응급실에는 급성 요통으로 보행이 불가능해 앰뷸런스 등으로 이송되어 오는 환자들이 많다. 이러한 통증은 허리 압박 골절이나 심한 디스크 탈출증이 아니더라도 단순 외상이나 염좌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 이후에는 이러한 극심한 통증을 즉각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 필요하다. 이때 침 치료가 안전하면서 즉각적인 통증 억제 효과를 보인다면 응급 의료 환경에서 침 치료가 기존 치료를 보완 및 대체하여 충분히 적용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침 치료의 응급 의료 상황에서의 가치에 대한 임상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이 이침은 시술이 간단하고 활용이 용이하여 군진의학에서 통증을 억제할 목적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통증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할 때, 일반 침 치료는 수술 중 적용하기 어려운 반면 이침은 수술 중에도 지속적인 자극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활용되었다 [4]. 또한 중독 치료를 위해 `NADA 프로토콜`이 개발되어 알코올 및 코카인 중독과 같은 정신 신경 장애에도 실제 활용 중이다 [5]. 이와 같은 이침의 작용 기전은 뇌에서 베타엔도르핀이나 도파민 등의 다양한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하는 전신 효과 (general effect)를 바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단, 응급 의료 환경에서보다 더 즉각적인 통증 억제 효과를 위해서는 전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씨침과 같이 임상에서 주로 활용되는 혈위와 병행하거나, 국소 (local) 및 분절 (segmental) 효과를 지닌 기존 경혈 자극을 포함하여 시행한다면 좀 더 높은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7].

참고문헌

[1]
Air Force Acupunture Center. Battlefield acupuncture protocol book. 2014.

[2]

[3]

[4]

[5]

[6]

[7]

작성자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침구과 이승훈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