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코로나19 회복기 환자의 정신 건강을 개선하는 중약의 효과와 안전성은?

서지사항

Xuedong AN, Qing Z, Junxiu T, Li LI, Yun C, Kejian LI, Jing HE, Ru L, Juan G, Jia Z, Hui Z, Fengmei L, Xiaodong LI. Shugan Jieyu capsule improve sleep and emotional disorder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nvalescence patient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J Tradit Chin Med. 2022 Oct;42(5):803-9. doi: 10.19852/j.cnki.jtcm.20220719.003. (2021 IF 2.547)

연구설계

무작위배정, 두 그룹, 환자 및 평가자 눈가림, 플라시보약 비교임상연구

연구목적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의 정서 장애와 수면을 개선하는 중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질환 및 연구대상

· 주소증으로 불면 및 우울, 불안 중 2가지 이상을 호소하는 18~70세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기 환자
· 우울증 척도 (HAMD-17) 17점 이상 24점 이하, 신체 증상 척도 PHQ-15 5점 이상인 자
· 심각한 질병 및 중증 정신 장애를 가진 자
· 심각한 자살 의사를 가진 자와 임산부 배제

시험군중재

중약 치료군 (n=100): 서간해울캡슐 2개/일 (0.36g/capsule) 복용

대조군중재

위약군 (n=100): 서간해울캡슐 위약 2개/일 (0.36g/capsule) 복용

평가지표

· 일차 평가지표: 유효율. 치료 2주, 4주, 6주 후의 우울증 평가 척도 (Hamilton Depression Scale (HAMD-17) 점수의 감소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3단계로 평가

(1) 회복 (관해): HAMD 점수 7점 미만

(2) 호전: HAMD 감소율 50% 이상, HAMD 점수 7점 이상

(3) 치료 불충분: HAMD 감소율 50% 미만, 유효율 계산=회복 상태의 환자 수+호전 상태의 환자 수/전체 대상자 수

· 이차 평가지표: 이상 반응 발생률, 생체 징후, 실험실적 혈액 검사, 심전도 검사와 같은 안전성 관련 지표

주요결과

6주 치료 후 우울과 불안 및 동반된 신체 증상과 불면 또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중약군에서 4건, 위약군에서 1건의 이상 반응이 발생하였으나 전반적으로 경미하였고, 실험실적 검사상 양군 모두 이상 소견이 없었다.

저자결론

6주간의 서간해울캡슐 투여는 코로나19 회복기 환자의 정신 및 신체 건강을 개선할 수 있고 안전하였다.

KMCRIC 비평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들은 심각한 바이러스 감염 증상뿐 아니라 긴 격리를 경험하기에 회복된 후에도 불면, 우울, 불안 같은 정신건강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 [1]. 부정적 정서는 수면 장애를 발생시키고 환자의 신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코로나19 치료는 신체 질환뿐 아니라 정신건강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心身一如 (심신일여)는 환자를 바라보는 한의학의 중요한 통합적 관점이다. 본 연구에서 6주간의 서간해울캡슐 치료는 환자의 우울과 불안을 유의하게 개선하고, 동반된 신체 증상과 불면 또한 유의하게 완화했다.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의 우울증에 서간해울캡슐은 항우울제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2]. 항우울제가 우울증의 표준 치료이지만, 다양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기에 그 활용에 한계가 있다. 중약은 항우울제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은 적고 안전하므로 우울증 치료의 또 다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중약과 항우울제를 병용하여 치료 효과를 증진할 수도 있다. 서간해울캡슐과 항우울제 병용 치료는 불면 동반 폐경기 여성에게 효과적이었고 부작용을 감소시켰으며 약물 의존에 대한 걱정을 완화했다 [3]. 서간해울캡슐의 주성분은 세인트존스워트 (관엽연교, Guanyelianqiao)와 가시오가피 (자오가, Ciwujia)이다. 세인트존스워트는 성질이 냉하고 맛이 쓰며 간기울결을 풀어주고 진정 및 부종 완화 효과가 있다. 가시오가피는 맛이 약간 쓰고 성질이 열하며 신장의 기를 강화하고 진정 작용이 있어 비장과 신장이 허할 때, 전신 소력, 식욕 저하, 관절염, 불면, 다몽에 활용할 수 있다. 세인트존스워트는 신경 전달 물질을 증가시키고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밀도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을 감소시켜 우울증을 개선한다. 가시오가피는 진정 및 항피로 효과를 가진 불포화유기산과 미네랄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6주간의 서간해율캡슐 투여는 환자의 정신 및 신체 증상을 유의하게 개선하며 안전하였다. 하지만 대상자 수 계산 시 참고문헌이 없어 적절한 대상자 수 계산이 어려웠고, 포함된 대상자 수는 비교적 적었다. 또한 6주간의 치료 후 추적 조사를 시행하지 않아 치료 효과가 지속되는지에 대해 알 수 없다.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에 심리 치료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심리 치료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훈련받은 치료자가 부족하며 심리 치료를 원치 않는 환자들이 있기에 활용이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 관리 시 항우울제 및 심리 치료의 활용이 어려운 경우 및 환자가 중약 치료를 선호할 경우 서간해울캡슐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현 의료 제도 내 중성약의 수입 및 활용이 제한적일 수 있으므로 임상 현장에서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며 국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약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근거 및 다양한 관련 임상연구 결과와 전문가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회복기 코로나19 환자의 정신 및 신체 건강 문제에 활용할 수 있는 한의 임상 진료 매뉴얼의 개발을 통해 향후 국가 감염 재난 대응 및 관리 (특히 회복기 환자 통합적 관리)에서 한의학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4-6].

참고문헌

[1]

[2]

[3]

[4]

[5]

[6]

작성자

대구한의대학교 부속 포항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상호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