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제목 |
두경부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로 유발된 구강건조증에 침 치료가 효과적인가? |
서지사항 |
O'Sullivan EM, Higginson IJ. Clinic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irradiation-induced xerostomia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a systematic review. Acupunct Med. 2010;28:191-9. |
연구설계 |
침 치료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
연구목적 |
1. 일차적인 목적은 방사선 치료로 유발된 구강건조증에서 ① 객관적인 변화 및 ② 주관적인 증상 개선이 있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2. 이차적인 목적은 ① 각각의 RCT에 사용된 침 치료의 프로토콜들이 동질성을 갖는지의 여부와 ② 각각의 RCT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으로부터 침 치료의 안전성을 밝히는 것이다. |
질환 및 연구대상 |
두경부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구강건조증이 유발된 18세 이상의 성인 (방사선 치료의 조사 용량 및 조사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음.) |
시험군중재 |
활성화된 침 치료 (active acupuncture treatment) |
대조군중재 |
거짓침으로 비경혈점에 얕게 자입하는 방식이 사용된 RCT와 침 치료를 실시하지 않고 일상적인 치료 (usual care)를 대조군에 시행한 RCT가 메타분석에 포함됨. |
평가지표 |
타액분비량 측정 (sialometry)을 통해 객관적인 변화 여부를 평가하였고, 'Xerostomia Inventory' [4]와 같은 타당도가 검증된 (validated) 도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연구자가 자체적으로 피험자 보고형 (patient-reported) 설문지를 개발하여 사용함으로써 주관적인 증상 개선 여부를 평가하였다. |
주요결과 |
일차적 및 이차적 연구목적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객관적인 변화 여부 :
메타분석에 포함된 세 개의 RCT [1-3] 중에서 두 개만이 타액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인 호전 여부를 평가하고 있는데, 한 RCT [1]에서는 침 치료가 타액분비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다른 RCT [2]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두경부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구강건조증이 유발된 환자에게서 침 치료가 타액분비량을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1-2. 주관적인 증상 개선 여부 :
메타분석에 포함된 세 개의 RCT [1-3] 중에서 첫 번째 [1]에서는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고 두 번째 [2]에서는 피험자 보고형 (patient-reported) 설문지 점수에서 시험군 (중재 전 11.17±4.31점 vs 중재 후 13.5±3.56점)이 대조군 (중재 전 7.67±0.82 vs 중재 후 7.33±1.37)에 비해 유의한 (p<0.05) 차이를 나타냈다. 세 번째 RCT [3]에서는 중재 후에 'Xerostomia Inventory' [4]로 평가한 결과 대조군 (평균 61.8±18.9)에 비해 시험군 (평균 52.6±21.6)에서 유의한 (p<0.02) 호전을 보였다. 종합하면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구강건조증이 유발된 환자에게서 침 치료가 주관적인 증상을 개선시킨다고 볼 수 있으나, 메타분석에 포함된 RCT들의 질 (quality)과 비뚤림 (bias)을 고려하면 근거 수준이 높다고 결론짓기는 힘들다.
2-1. 메타분석에 포함된 RCT들의 동질성 :
침 치료에 사용된 경혈의 수, 침 치료의 횟수, 추적관찰 기간, 침 치료를 실시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 등에 있어 이질적이다.
2-2. 침 치료의 안전성 :
각각의 RCT에서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가 상세하지 않아 침 치료의 안전성을 평가하기에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
저자결론 |
두경부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유발된 구강건조증에 침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으나 이를 적극적으로 권고하기에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
KMCRIC 비평 |
본 연구는 두경부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로 유발된 구강건조증에 침 치료가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설계된 메타분석 연구이다. 문헌검색을 통해 얻은 74개의 임상연구 중 본 연구의 선정 기준 (eligiblity criteria) 및 PRISMA 기준 [5]에 의해 나머지가 배제되고 3개의 RCT만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나 분석의 대상이 된 RCT의 수가 적고 연구방법이 이질적이어서 메타분석은 불가능하였다.
분석 결과 방사선 치료로 인하여 유발된 구강건조증에 침 치료가 효과적이라고 보기 힘들다는 결론이 내려졌으나, 분석에 포함된 RCT들이 연구방법론에서 동질성을 찾기 어려웠던 점이나 주관적인 증상 변화를 평가함에 있어 타당도가 검증되지 않은 도구를 사용한 점 등을 고려하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이 높은 수준의 근거를 갖는다고 보기는 힘들다고 판단된다.
더욱 잘 설계된 RCT들이 축적된 이후에야 같은 주제에 대한 메타분석이 현재보다 큰 임상적 의의를 갖게 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침 치료를 이용한 임상연구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어려움인 적절한 플라시보 방법을 설정하기 어렵다거나 침 치료 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는 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론상의 진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 |
[1]
[2]
[3]
Pfister DG, Cassileth BR, Deng GE, Yeung KS, Lee JS, Garrity D, Cronin A, Lee N, Kraus D, Shaha AR, Shah J, Vickers AJ. Acupuncture for pain and dysfunction after neck dissec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Clin Oncol. 2010 May 20;28(15):2565-70. doi: 10.1200/JCO.2009.26.9860.
[4]
[5]
|
작성자 |
홍성군 금마보건지소 공중보건한의사 박형준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