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암성 통증에 침 치료가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Choi TY, Lee MS, Kim TH, Zaslawski C, Ernst E.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ain: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Support Care Cancer. 2012;20(6):1147-58.

연구설계

침 치료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연구목적

암성 통증에 침 치료 효과 (effectiveness)에 대한 근거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질환 및 연구대상

암성 통증

시험군중재

일반적인 침, 전기침, 이침 혹은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침 치료

대조군중재

암성 통증에 현재 사용 중인 진통제, 자입을 하지 않는 거짓침 치료, 비경혈에 자입하는 거짓침 치료, 비경혈 부위의 압력 자극, 한약, 무처치 혹은 이들의 조합

평가지표

통증 경감이 있는 피험자의 비율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위험비로 비교하여 자료를 추출하거나 각 군의 통증 점수 평균의 차를 비교하여 자료를 추출하였다.

주요결과

1-1. 암성 통증 경감 효과에 대한 침 치료와 약물 치료의 효능 비교 평가 :
약물 치료를 기준으로 한 군 간 효능 차이에 대한 위험비 1.12 (95% 신뢰구간 0.98 to 1.28, I²=67%).

1-2. 연구 이질성에 관여하는 요인 :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08 (95% 신뢰구간 0.81 to 1.44),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02 (95% 신뢰구간 0.92 to 1.14),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08 (95% 신뢰구간 0.92 to 1.26),
암종과 관계없이 모집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30 (95% 신뢰구간 0.98 to 1.74).

2-1. 암성 통증 경감 효과에 대한 침과 약물 치료의 병합 요법과 약물 단독 치료에 대한 효능 비교 평가 :
단독 치료를 기준으로 한 군 간 효능 차이에 대한 위험비 1.36 (95% 신뢰구간 1.13 to 1.64, I²=70%).

2-2. 연구 이질성에 관여하는 요인 :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0.98 (95% 신뢰구간 0.74 to 1.29),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29 (95% 신뢰구간 1.00 to 1.68),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12 (95% 신뢰구간 0.96 to 1.30),
암종과 관계없이 모집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위험비 1.61 (95% 신뢰구간 1.37 to 1.90).

3. 암성 통증 경감 효과에 대한 침 치료와 거짓침 치료의 효능 비교 평가 :
통증 점수의 평균 차이 -0.41 (95% 신뢰구간 -1.32 to 0.49, I²=70%).

저자결론

분석에 포함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비뚤림 위험이 비교적 커서 메타분석 결과를 통해 침 치료가 암성 통증에 확실히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리기는 어렵다.

KMCRIC 비평

본 논문은 유사한 두 개의 논문 [1,2]보다 8개의 연구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는 연구가 광범위한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수집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추가된 논문들이 효능 판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비뚤림이 낮지 않기 때문이다. 49번 참고문헌으로 제시된 논문 역시 주제 및 분석 방법이 유사한 연구이나 본 논문에서는 해당 논문을 유사한 연구로 소개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해당 저자 역시 동일한 의문점을 제시하였는데 이 부분은 저자들의 해명이 필요하다 [3].
본 논문은 메타분석의 서브 분석 기준을 암종 (cancer type)과 병기 (cancer statge)로 삼았다. 그러나 해당 기준을 사용한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것에 의해 나누어진 분석군들이 서로 배타성을 띠고 있지 않으므로 모호하다. 또한 Table 2에 제시된 참고문헌 번호가 전체 참고문헌 번호와 일치하지 않아 독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1]

[2]

[3]

작성자

한국한의학연구원 정의민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