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오령산은 고혈압 환자의 혈압 관리에 있어 이뇨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서지사항

Lee HY, Kang KW, Lee E, Lee SH, Han CH, Jang IS. A Systematic Review on Antihypertensive Effects of Oryeong-san.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3:34(3)289-97.

연구설계

오령산을 고혈압 환자에게 투여하는 상용 약물과 병용 투여한 중재와 오령산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연구 3건과 증례보고 6건을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목적

고혈압 환자에게 오령산의 혈압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고혈압

시험군중재

상용 혈압강하제와 함께 오령산을 투약

대조군중재

상용 혈압강하제만을 투약 또는 식이요법을 병행

평가지표

혈압, 임상 증상의 개선, 혈중지질

주요결과

1. 팽소걸의 2011년 연구발표에서는 실험군이 169.3±17.4에서 139.9±11.3mmHg, 대조군이 167.4±16.9에서 148.6±10.5mmHg (p<0.01) 수축기 혈압의 감소 차이를 보였고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이 93.8±7.6에서 79.1±6.9mmHg로 대조군이 94.2±7.1에서 83.8±5.4mmHg로 감소 차이를 보였음 (p<0.05).

2. 전의홍 2011년 연구발표에서는 수축기 혈압이 실험군은 158.45±11.05에서 135.52±10.89mmHg로 나타났고 대조군은 162.04±12.16에서 146.29±11.78mmHg (p<0.05)로 변화하였음. 이완기 혈압은 각각 93.23±9.38에서 80.29±9.44mmHg로 91.83±8.24에서 85.36±10.32mmHg로 실험군, 대조군에서 각각 변화하였음 (p<0.05).

3. 범옥망의 2012년 연구발표에서는 수축기 혈압의 경우 실험군이 152.42±11.48 에서 129.50±3.72mmHg로 대조군이 151.28±11.84에서 138.33mmHg로 감소하였고 (p<0.01),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이 97.07±9.57에서 80.67±2.46mmHg로 대조군이 94.01±8.04에서 88.80±2.66mmHg로 감소하였음 (p<0.01).

저자결론

이뇨제의 항고혈압 효과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오령산을 양약과 병용 투약할 때 양약 단독 투약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또한, 손상된 신장의 보호, 혈당과 혈중 지질의 감소, 임상 증상의 개선 등 부가적인 치료 효과까지 나타났다.

KMCRIC 비평

고혈압 치료에는 이뇨제를 비롯하여 안지오텐신 조절, 칼슘 채널, 교감신경 수용체 조절 등의 다양한 약들이 처방되어 왔다. 그중 이뇨제는 현재 혈압 강하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긴 하지만 여전히 가장 먼저 고려하는 혈압강하제 중 하나이다. 이 중 오령산은 한의학에서는 대표적인 이수지제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이번 문헌고찰은 오령산이 양약의 이뇨제와 같은 목적으로 처방되었을 때 효과가 있을 것인가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오령산 이전에 기존 한의학에서는 조구등이 가미된 전탕액의 혈압 감소 효과에 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1]. 그 외에도 조구등이 배제된 택군육미지황탕의 고혈압에 대한 연구에서 택사를 군약으로 하여 이수작용을 통한 혈압 강하 작용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으며 L-NAME 단독 투여보다 택군육미지황탕의 병용 투약이 더 효과적이란 결론을 얻은 바 있다 [2]. 전탕액 외에도 침 치료를 통해 수축기 평균 5.4mmHg, 이완기 평균 3.0mmHg 강하 효과가 있으며 연구과정에서 특별한 유해사례 발생이 없는 안전한 고혈압 치료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3]. 오령산은 돌발성 난청 환자의 이명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증례보고가 있다 [4].
하지만, 본 문헌고찰은 오령산이 고혈압에 있어서 임상적용의 근거수준을 평가받을 수 있을 정도로 잘 된 연구는 아니다. 첫째, 증례를 제외한 RCT 연구는 3건뿐이다. 둘째, 문헌고찰의 결과가 단순히 세 연구의 연구 결과만을 정리하여 소개하였을 뿐 메타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셋째, 양약과의 병용 투약이 아닌 오령산 단독 투약 연구가 포함되지 않았다. 단독 투약에 대한 연구문헌의 부재이기는 하지만 양약과 병용 투약의 경우 오령산의 혈압 강하 작용과 오령산이 혈압강하제의 효과를 강화하는 작용 중 어느 쪽 기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오령산을 고혈압의 한방 치료에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신중을 기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손은진, 강대길, 이안숙, 김복해, 이호섭. 황련해독탕 합 육미지황탕 가 조구등이 자발적 고혈압 백서의 혈압 및 신장 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2):359-64.
첨부파일 : S201309999 [1].pdf

[2]
손은진, 강대길, 노숙연, 이안숙, 윤명호, 문미경, 윤용갑, 이호선. 택군육미지황탕이 산화질소의존형 고혈압백서의 혈압과 신장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1):84-92.
첨부파일 : S201309999 [2].pdf

[3]

[4]

작성자

해맞이동운한의원 홍준석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