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제목 |
임산부에게 침 치료하는 것이 안전한가? |
서지사항 |
Park J, Sohn Y, White AR, Lee H. The safety of acupuncture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cupunct Med. 2014;32(3):257-66. |
연구설계 |
임산부에게 침구치료를 시행한 모든 종류의 연구들을 대상으로 침 치료와 관련된 이상반응 (adverse events)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연구목적 |
임신 중 침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침 치료의 안전성에 대해 엄격하게 조사된 적이 없다. 따라서 임산부에게 침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안전한지 평가하고자 한다. |
질환 및 연구대상 |
임산부 |
시험군중재 |
임산부를 대상으로 침구치료 |
대조군중재 |
|
평가지표 |
이상반응 (adverse events)의 심한 정도, 인과성, 발병률 등을 평가함. |
주요결과 |
심각한 부작용은 거의 없었으며, 침 치료와의 인과관계는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총 이상반응 (adverse events)은 1.9%에 불과하며, 침과 관련된 이상반응은 1.3%였다. |
저자결론 |
임신 중 침 치료는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거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
KMCRIC 비평 |
임산부는 임신 중에 질병이 생겨도 태아에 대한 안전성 때문에 약물 복용을 꺼리는 편이다. 따라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침 치료를 많이 시행하게 된다. 이 연구는 임산부에게 침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안전한지에 대한 기존에 발표된 모든 종류의 문헌들을 검색하여 체계적 고찰을 통해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임산부에게 침 치료시 이상 반응은 대부분 경도 (mild), 일시적 (transient)이며, 심각한 부작용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심각한 부작용들은 침 치료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이상반응에 대한 정의와 평가, 인과성에 대한 부분들을 연구들에서 제대로 언급하지 않았다. 포함된 논문들 중 25.7%만이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52.4%의 연구들은 이상반응을 언급하지 않았다. 또한 21%의 연구들은 이상반응이 없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런 것들이 이상반응의 발병률을 낮게 평가하게 했을 가능성도 있다. 향후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침 치료 효과에 대한 대규모의 전향적 연구들이 수행된다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
작성자 |
꽃마을한방병원 부인과 조준영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