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군중재 |
중의 치료 (중약 치료, 침 치료, 뜸, 추나, 식이요법, 기공, 기타 전통요법)와 기존 표준치료를 병용 |
주요결과 |
중의 치료+표준치료 병용치료 결과, 단독 도파민 보충요법에 비해 유의한 호전도를 보였다.
UPDRS I (정신, 행동, 감정) : 표준화 평균차이 (SMD) 0.68, 95% 신뢰구간 0.38-0.98
UPDRS II (일상생활 정도) : 가중 평균차이 (WMD) 2.41, 95% 신뢰구간 1.66-2.62
UPDRS III (운동능력) : WMD 2.45, 95% 신뢰구간 2.03-2.86
UPDRS IV (합병증) : WMD 0.32, 95% 신뢰구간 0.15-0.49
총 UPDRS : WMD 6.18, 95% 신뢰구간 5.06-7.31
침 치료+표준치료 병용치료 결과, 단독 도파민 보충요법에 비해 총 UPDRS (WMD 10.96, 95% 신뢰구간 5.85-16.07) 상 유의한 호전도를 보였다.
하지만, 중의 단독치료로는 UPDRS 스코어상의 유의한 호전을 확인할 수 없었다. |
KMCRIC 비평 |
고령사회로 진행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대표적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에 대해 중의 치료가 유효할 것인가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5개의 데이터베이스 (PubMed, CCTR, CNKI, VIP, Wangfang data) 검색을 통해 2013년 10월까지 발표된 무작위 대조군 시험 27건의 중의 치료 (중약, 침, 뜸 등의 치료) + 도파민 단독요법 병용과 도파민 보충요법 단독치료 무작위 대조군 비교 임상시험 자료를 종합하여 파킨슨병에 중의 치료가 병용요법으로써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총 2,3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중의 치료 병용요법은 파킨슨병 환자의 전반적 증상 및 정신 행동 감정 영역 (UPDRS I), 일상생활 정도 (UPDRS II), 운동능력 (UPDRS III), 합병증 (UPDRS IV) 측면에서 도파민 단독요법에 비해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침 치료만 병용한 경우, 역시 파킨슨병 환자의 전반적 증상에서 도파민 단독요법에 비해 유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본 연구에서 포함된 중약 또는 중약제제는 'Pabing Recipe III/Five Zhui feng powder/Bushen Huoxue Tongluo Capsule/Pabing Recipe I/Guiling Pa’an Pill;이었으며, 본 제제들은 모두 파킨슨병 환자의 UPDRS score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처방으로 알려진 것들이다.
하지만, 기존 다른 영역에서의 중의 치료 또는 보완대체의료 관련 메타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도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저자들은 다음 사항을 한계점으로 제시했다.
첫째, 무작위화 과정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된 모든 연구들은 무작위화 과정을 거쳤다. 하지만 13개의 연구에서만 구체적인 무작위화 과정을 서술했다.
둘째, 가림 (concealment)이 완벽히 진행되지 못했다. 6개의 연구에서만 concealment method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약과 맹검화가 결여되었다. 14개의 연구에서 대조군 설정 시 위약을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위약 효과를 배제할 수 없다는 약점이 있다.
넷째, drop out에 문제가 있다. 오직 한 개 연구에서만 ITT 방법론을 사용했을 뿐이다. 18개 연구에서는 drop out에 대한 언급이 없다.
마지막으로 자료의 이질성이다. 모든 연구에서 연구 시작 전, 비교 대상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고 언급했지만, 7개 연구에서는 구체적 데이터를 제시하지 못했다. 또한, 각 연구들에 적용된 intervention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 역시 한계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에 대한 중약이나 침 치료 병용요법이 도파민 단독요법에 비해 유의한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