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결과 |
스크리닝 된 113개의 연구 (중국어 108개, 영어 5개) 중 중국에서 수행된 12개의 연구 총 1,305명의 참여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료 기간은 4-12주였다.
1. 총 유효율
1) 혈부축어 + 지질 강하 약물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4개의 연구에서 유효율의 Risk ratio (RR)는 1.18 (95% CI 1.08-1.28)로 병용 투여군이 더 유효하였다.
2) 혈부축어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유효율의 RR는 1.24 (95% CI 1.11-1.39)로 혈부축어탕 단독군이 더 유효하였다.
3) 혈부축어 vs 플라시보 약을 비교한 1개의 다기관 연구에서 유효율의 RR는 1.31 (95% CI 1.06-1.62)로 혈부축어탕 단독군이 더 유효하였다.
4) 혈부축어 vs 다른 한약과 비교한 4개의 연구에서 유효율의 RR는 1.33 (95% CI 1.11-1.60)로 혈부축어탕군이 더 유효하였다.
2. TC (1mmol = 38.67mg/dL)
1) 혈부축어 + 지질 강하 약물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TC 감소량의 Weighted Mean difference (WMD)는 0.92 mmol (95% CI 0.48-1.37)로 병용 투여군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2) 혈부축어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TC 감소량의 WMD는 0.66 mmol (95% CI 0.22-1.11)로 혈부축어탕군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3) 혈부축어 vs 다른 한약과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TC 감소량의 WMD는 1.18 mmol (95% CI 0.71-1.65)로 혈부축어탕군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3. TG (1mmol = 88.57mg/dL)
1) 혈부축어 + 지질 강하 약물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TG 감소량의 WMD는 0.36 mmol (95% CI 0.15-0.56)로 병용 투여군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2) 혈부축어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TG 감소량의 WMD는 0.85 mmol (95% CI -0.10-1.80)으로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3) 혈부축어 vs 다른 한약과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는 TG 감소량의 WMD는 0.39 mmol (95% CI 0.08-0.69)로 혈부축어탕군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4. LDL (1mmol = 38.67mg/dL)
1) 혈부축어 + 지질 강하 약물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2개의 연구에서 LDL 감소량의 WMD는 0.60 mmol (95% CI 0.38-0.82)로 병용 투여군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2) 혈부축어 vs 다른 한약과 비교한 2개의 연구에서는 LDL 감소량의 WMD는 0.06 mmol (95% CI -0.02-0.15)로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5. HDL (1mmol = 38.67mg/dL)
1) 혈부축어 + 지질 강하 약물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3개의 연구에서 HDL 증가량의 WMD는 0.13 mmol (95% CI -0.05-0.31)로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2) 혈부축어 vs 지질 강하 약물을 비교한 1개의 연구에서 HDL 증가량의 WMD는 0.24 mmol (95% CI 0.13-0.35)로 혈부축어탕군이 효과적이었다.
3) 혈부축어 vs 다른 한약과 비교한 2개의 연구에서는 HDL 증가량의 WMD는 0.26 mmol (95% CI -0.05-0.57)로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6. 부작용은 3개의 연구에서 보고되었으며 소화기 불편감, 피로, 두통 등이었다. 2개의 다른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없었다고 보고했다. |
KMCRIC 비평 |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은 심혈관 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중의 하나입니다 [1]. 이상지질혈증은 총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초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VLDL)의 수치가 올라가거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의 수치가 내려간 상태를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TC/HDL, TG/HDL, LDL/HDL 수치가 심혈관 질환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2]. 이상지질혈증의 치료를 위해서는 지질 강하 약물을 사용하여 심혈관 질환 위험성을 낮춰야 하며, Statin이 1차 치료 약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Statin은 TC와 LDL 수치를 낮춰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하지만, Statin 치료의 부작용으로 인해 Statin을 지속적으로 복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따라서, 지속적인 Statin 치료를 하지 못하는 심혈관 질환 고위험 환자에게는 다른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혈부축어탕은 11개의 한약재 (당귀, 생지황, 도인, 홍화, 지각, 적작약, 시호, 감초, 길경, 천궁, 우슬)로 구성된 한약 처방으로 지표 성분으로는 hydroxysafflor yellow A, amygdalin, albiflorin, paeoniflorin, liquiritin, ferulic acid, naringin, hesperidin, neohesperidin, naringenin, isoliquiritigenin, glycyrrhizic acid, marmin, senkyunolide A, dehydrosafynol, safynol, ferric acid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5]. 고전적으로 혈부축어탕은 어혈을 치료하는 한약으로 흉통에도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고지혈증에도 여러 실험적 연구를 통해 효능과 기전이 밝혀져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한약으로도 많이 처방됩니다 [6,7].
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혈부축어탕의 단독 혹은 병용 투여가 이상지질혈증에서의 TC, TG, LDL, HDL 등의 혈액 검사 지표와 유효율을 호전시키고 안전하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혈부축어탕과 지질 강하 약물 병용 투여군과 지질 강하 약물 단독 투여군의 비교에서는 TC, TG, LDL이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호전되었고, 혈부축어탕과 지질 강 하약물을 직접 비교한 경우에는 TC와 HDL군에서 혈부축어탕 단독 투여군이 효과적이었습니다. 다른 한약 처방과 비교한 연구에서도 혈부축어탕은 TG, TC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다른 한약에 비해서는 이상지질혈증을 치료하는데 좀 더 적합한 한약처방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유효율의 경우에는 유효 판정의 기준이 상이하고, 메타 분석 결과를 임상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혈부축어탕과 지질 강하 약물을 1:1로 비교한 연구에서 혈부축어탕이 더 유효하였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추후 더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를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약물 치료의 부작용으로 statin 치료가 어렵거나, 약물 치료만으로 목표하는 지질 수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는 혈부축어탕도 하나의 치료 전략으로 선택할 수 있는 근거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본 연구에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하는 데 한약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여러 체계적 문헌고찰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 포함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의 방법론적 질에 문제가 있고 무작위 배정이나 맹검, 배정 은폐, 탈락률 등에 대해서 충분히 기술되지 않은 연구들이 많아서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데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포함된 연구의 수가 적어서 본 연구를 통해 한약의 형태, 용량, 대조군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을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참여자들의 특성에 대한 정보가 충분치 않아서 그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도 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장기간 추적 관찰 자료가 없는 점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무작위 대조 연구들의 한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