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비평 |
RCT 연구들을 근거 기반으로 제작된 치매 임상 진료지침 [1]에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경우, 인지 기능에서는 육미, 지황음자, 보양환오탕, 억간산을, 일상생활 능력에서는 보양환오탕, 육미를, 행동 심리 증상에서는 육미, 억간산을 권고하고 있으며, 임상적 경험으로 팔미, 반하백출천마탕, 황련해독탕을 권고하고 있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 인지 기능에서는 조등산, 통규활혈탕, 지황음자, 보양환오탕, 반하백출천마탕을, 일상생활 능력에서는 지황음자, 보양환오탕, 통규활혈탕을 권고하고 있으며, 임상적 경험으로 온담탕을 권고하고 있다. 루이소체 치매의 경우,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준해서 치료할 것을 권하며, 루이소체 치매의 특징적인 BPSD 증상의 개선을 위해 억간산을 권고한다.
전 임상실험을 통해 확인된 항치매 처방은, 소양인형방지황탕, 총명탕, 소음인향부자팔물탕, 사향소합원, 가감보양환오탕, 보익청뇌탕, 안신청뇌탕, 치매음, 가감신선불로단, 가감고본환, 공자대성지침중방, 태봉음, 건뇌음, 사륙탕가미방, 장원단, 주자독서환, 우귀음, HT008-1, 육미지황탕, 공진단가감방, 정지환, PPA, 귀비탕가미방 등이 있으며, 단미로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 (아세틸콜린을 가수분해한다) 활성 억제를 통해 기억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 농도 유지 기전으로 산사육, 석송, 은행엽, 수선화, 향부자, 대황, 황백, 사인, 목향, 두견, 파극천,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방지 기전으로 천축황, 목과, 목향, 조구등, 울금, 석창포, 강황, 산화성 손상 방지 기전으로 대황, 생산조인,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 억제 기전으로 은행엽, 원지, 강황, 울금, NMDA 수용체 억제 기전으로 석송, glucose가 아세틸콜린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glucose의 증가 관련 기전으로 사인, 향부자, 대황, 황백, 상산, 두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당귀작약산의 항치매 효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한 것으로 의의가 있다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