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당귀작약산이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에 대해서 뇌기능 증진제 또는 기타 치매 관련 치료보다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Kim Y, Cho SH. Danggui-Shaoyao-San for dementia: A PRISMA-complian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dicine (Baltimore). 2020. 99(4). e18507. doi: 10.1097/MD.0000000000018507.

연구설계

알츠하이머형 치매 5건, 혈관성 치매 4건의 RCT를 통한 SR

연구목적

당귀작약산의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에 대한 효과분석

질환 및 연구대상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시험군중재

당귀작약산
당귀작약산+침

대조군중재


뇌기능 증진제 (Nootropic Drugs)
Vitamin E

평가지표

1차 평가 지표

1. MMSE

2. Hasegawa Dementia Scale


2차 평가 지표

1. Activities of Daily Living

2. The Improvement rate of the symptoms

주요결과

당귀작약산 vs 비타민 E

MMSE: 당귀작약산이 비타민 E에 비해 표준화된 평균에서 4.6점 정도 더 개선 효과가 있음

ADL: 당귀작약산이 비타민 E에 비해 표준화된 평균에서 11.4점 더 개선 효과가 있음.


당귀작약산+침 vs 침

MMSE: 당귀작약산을 추가로 투약한 경우 표준화된 평균에서 1.9점 더 개선 효과가 있음.

HDS: 차이가 유효하지는 않음.

ADL: 당귀작약산을 추가로 투약한 경우 표준화된 평균에서 2.38점 더 개선 효과가 있음.

저자결론

당귀작약산은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항치매 약물 후보물질로 유망할 것입니다.

KMCRIC 비평

RCT 연구들을 근거 기반으로 제작된 치매 임상 진료지침 [1]에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경우, 인지 기능에서는 육미, 지황음자, 보양환오탕, 억간산을, 일상생활 능력에서는 보양환오탕, 육미를, 행동 심리 증상에서는 육미, 억간산을 권고하고 있으며, 임상적 경험으로 팔미, 반하백출천마탕, 황련해독탕을 권고하고 있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 인지 기능에서는 조등산, 통규활혈탕, 지황음자, 보양환오탕, 반하백출천마탕을, 일상생활 능력에서는 지황음자, 보양환오탕, 통규활혈탕을 권고하고 있으며, 임상적 경험으로 온담탕을 권고하고 있다. 루이소체 치매의 경우,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준해서 치료할 것을 권하며, 루이소체 치매의 특징적인 BPSD 증상의 개선을 위해 억간산을 권고한다.
전 임상실험을 통해 확인된 항치매 처방은, 소양인형방지황탕, 총명탕, 소음인향부자팔물탕, 사향소합원, 가감보양환오탕, 보익청뇌탕, 안신청뇌탕, 치매음, 가감신선불로단, 가감고본환, 공자대성지침중방, 태봉음, 건뇌음, 사륙탕가미방, 장원단, 주자독서환, 우귀음, HT008-1, 육미지황탕, 공진단가감방, 정지환, PPA, 귀비탕가미방 등이 있으며, 단미로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아제 (아세틸콜린을 가수분해한다) 활성 억제를 통해 기억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 농도 유지 기전으로 산사육, 석송, 은행엽, 수선화, 향부자, 대황, 황백, 사인, 목향, 두견, 파극천,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방지 기전으로 천축황, 목과, 목향, 조구등, 울금, 석창포, 강황, 산화성 손상 방지 기전으로 대황, 생산조인,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 억제 기전으로 은행엽, 원지, 강황, 울금, NMDA 수용체 억제 기전으로 석송, glucose가 아세틸콜린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glucose의 증가 관련 기전으로 사인, 향부자, 대황, 황백, 상산, 두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당귀작약산의 항치매 효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한 것으로 의의가 있다 하겠다.

참고문헌

[1]
곽희용, 권찬영, 김종우, 김태윤, 배은주, 서효원, 설재현, 이시명, 이유찬, 정선용. 한의 치매환자 건강관리 사업매뉴얼 연구-사업 및 진료 매뉴얼의 개발. 2019. 대한한의사협회 정책보고서.

작성자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정선용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