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 화면크기
통합검색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한약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치료에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Wang Y, Han M, Pedigo CE, Xie ZM, Wang WJ, Liu JP. Chinese Herbal Medicine for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Chin J Integr Med. 2021 Oct;27(10):778-87. doi: 10.1007/s11655-021-3497-0.

연구설계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연구목적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대한 중재로서 한약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로 나이, 성별, 인종 제한 없음.

시험군중재

한약과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면역 억제제 (한약에는 단일 약초 또는 탕제, 정제, 캡슐 및 과립 포함)

대조군중재

위약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제) 및/또는 면역 억제제

평가지표

1차 평가척도: SLE disease activity index (SLEDAI)와 Tradional Chinese medicine symptom/syndrome score (TCMSS)

2차 평가척도: 스테로이드 투여량, 부작용 발생 건수, 적혈구 침강 속도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혈청 보체 (complement C3, complement C4), anti-dsDNA

주요결과

1. 총 13개의 RCT로 환자는 분석에 포함된 환자는 총 856명이다.

2. 메타분석에 따르면 위약과 비교하여 한약이 SLEDAI와 TCMSS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3. 스테로이드의 투여량과 ESR이 감소하였고, 혈청 보체 C4의 수치가 증가하였다.

4. 부작용 발생 건수에 대해 한약과 위약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저자결론

한약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활성을 제어하고 사용된 스테로이드의 용량을 줄이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향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잘 설계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 (RCT)가 요구된다.

KMCRIC 비평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는 남성보다는 주로 가임기를 포함한 젊은 여성에서 호발하는 대표적인 만성 자가면역 질환이다. 이상 자가항체가 자신의 조직과 기관을 공격하여 염증과 손상을 일으키며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여러 증상 중 피부 발진을 보면, 마치 늑대 이빨에 물린 자국과 비슷하다고 하여 루푸스라고 명명하게 되었다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대한 치료 표준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스테로이드제, 항말라리아제 및 면역 억제제 등이 있다 [1]. 그러나 이러한 치료제는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2]. 지난 수십 년 동안 한약은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인정을 받고 있다. 따라서 치료를 위한 보완의학 또는 대체의학으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대한 수많은 임상시험을 통해 표준 치료와 결합한 한약의 유효성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3-6]. 이번 논문은 지금까지 수행된 무작위 위약 대조군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한약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메타분석을 보면 한약을 추가했을 때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대한 활성 (SLEDAI) 감소에 상당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TCMSS가 감소하였고 스테로이드의 투여량과 ESR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약은 기존의 치료에 비해 혈청 보체 C4의 수치를 증가시킨 반면에 부작용 발생 건수는 한약과 위약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SLEDAI는 위약 대조군에 비해 한약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하위 그룹 분석에서 6개월 관찰군의 경우 P=0.05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저자도 지적하였듯이 연구에 포함된 1개의 RCT에서 SLEDAI 수치가 대조군에서 3.65±2.22, 시험군에서 4.30±2.28로 수집된 연구들 중 가장 낮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는 floor effects (바닥 효과)로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향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RCT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최근에는 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임상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적응형 임상시험 설계 (adaptive clinical trial designs)가 미국 식품의약청에서 승인되었는데 [7] 이에 대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도 한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2]

[3]

[4]

[5]

[6]

[7]

작성자

우리경희한의원 서정철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