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CRIC 제목 |
악성 복수 치료에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 (HIPEC)과 중의학 (TCM) 치료를 병용했을 시 효과가 증대되는가? |
서지사항 |
Lin Z, Chen J, Liu Y. The efficac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bined with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malignant asci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 Pharmacol. 2022 Aug 29;13:938472. doi: 10.3389/fphar.2022.938472. (2021 IF 5.988) |
연구설계 |
악성 종양으로 인한 복수에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IPEC) 단독 치료와 중의학 (TCM) 치료를 병용하여 효과를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
연구목적 |
악성 종양으로 인한 복수를 가진 환자에게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만을 받는 환자와 중의학 치료를 병용하여 치료했을 때의 임상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 |
질환 및 연구대상 |
악성 종양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복부 초음파 또는 CT에서 복수가 확인된 환자 |
시험군중재 |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 치료 (HIPEC) + TCM 치료 (중약, 마사지, 운동, 식이, 스트레스 관리 등) |
대조군중재 |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 치료 (HIPEC) |
평가지표 |
1. 임상 효과
- Complete Remission: 복수 없이 4주 이상 지속
- Partial Remission: 복수 감소 50% 이상이며 4주 이상 지속
- Stable Disease: 복수 감소 50% 미만이거나 복수 증가가 25% 이상
- Progressive Disease: 복수의 증가 25%이상
Complete Remission + Partial Remission = 임상 효과
2. 복수량의 비교, 복부 둘레의 비교, 카노프스키 활동도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KPS) |
주요결과 |
1. HIPEC과 TCM의 병용 치료가 HIPEC 단독 치료보다 임상 효과가 뛰어났다 (RR = 1.51, 95% CI [1.40, 1.63], p < 0.00001).
2.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정맥 내 화학 요법 병용, TCM 치료 방법, HIPEC에 사용된 약물, 치료 기간) 시험군의 임상 효과가 대조군보다 우수하였다.
3. 복수량: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MD = -156.98, 95% CI [-213.71, -100.25], p < 0.00001).
4. 복부 둘레: 유의하지 않았다 (MD = -1.8, 95% CI [-4.57, -0.97], p = 0.2).
5. 카노프스키 활동도 (KPS) :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KPS 점수가 확연히 높아졌다 (MD = 8.16, 95% CI [6.46, 9.85], p < 0.00001). |
저자결론 |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과 중의학 치료가 병용되었을 경우, 악성 복수 치료 효과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포함된 연구의 규모가 작고 편향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HIPEC과 TCM의 병용이 악성 복수에 효과적인지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더 표준화된, 이중 맹검,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MCRIC 비평 |
악성 복수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복수 천자 (Pracentesis drainage), 이뇨제, 항암 화학 요법, 면역 치료, 표적 치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 방법은 종종 부작용을 동반하며, 약물 내성과 같은 단점 또한 존재한다. 복강 내 온열 화학 요법 (Hyperthermic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IPEC)은 복강에 퍼진 종양을 치료하는 데 있어 그 효과가 두드러지고 수술이 용이하며, 특히 복수 관리에 효과를 보였다 [1]. 하지만 HIPEC 1회 사용으로는 효과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TCM을 병용하여 임상 증상을 완화하고 면역 기능과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근거중심 의학 (Evidence-Based Medicine)을 바탕으로 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 치료에 대한 근거 기반을 제공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19개의 무작위 대조 시험 (RCTs)를 포함, 분석하였는데 모든 연구가 중국에서 수행되었으므로 다른 지역이 없다는 점이 아쉬우며, 다른 지역의 케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악성 복수에 사용되는 지표에 복수량, 복부 둘레, 증상 완화, 생존율 및 부작용 등이 일반적인데, 그에 대한 평가지표를 잘 설정하여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TCM의 처방 구성과 치료 과정, HIPEC의 온도, 경과, 약물, 용량 등 연구 절차를 상세히 기술하여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결과 측정에 있어서 많은 연구에서 이질성이 발견되었으며 이에 따라 연구 결과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첫째, 포함된 연구의 방법론적 품질이 높지 않다는 점이고 둘째, 모든 연구가 중국에서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로 포함된 연구의 이질성, 출판 편향 등을 포함하여 한계가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더 대규모의 RCT 혹은 더 다양한 언어, 국가의 RCT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구의 신뢰성과 유효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하다.
이와 같이 HIPEC과 TCM의 병용이 악성 복수에 효과적인지 더욱 체계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RCT가 중국을 제외한 서양권, 동양권 각지에서 수준 높은 악성 복수 치료 연구로써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침이나 뜸 치료 등 TCM의 범위에 치료 방법을 넓힌다면 더욱 다양하고 유효성 있는 연구들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참고문헌 |
[1]
|
작성자 |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동서암센터 유화승 |
Q&A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