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통합검색
닫기

KMCRIC 챗봇에게

질문하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고령자에게 적절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운동 기능이 향상되고 장애 위험도도 낮출 수 있다.

서지사항

Fielding RA, Guralnik JM, King AC, Pahor M, McDermott MM, Tudor-Locke C, Manini TM, Glynn NW, Marsh AP, Axtell RS, Hsu FC, Rejeski WJ; LIFE study group. Dose of physical activity, physical functioning and disability risk in mobility-limited older adults: Results from the LIFE study randomized trial. PLoS One. 2017 Aug 18;12(8):e0182155. doi: 10.1371/journal.pone.0182155. eCollection 2017.

연구설계

장기간, 무작위배정, 다기관 연구

연구목적

운동 기능이 저하된 고령자의 운동량에 따른 장기적인 운동 기능의 변화와 주요한 이동 장애 발병 시기를 규명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 가령 (加齡)에 따른 운동 기능
· LIFE 연구에 등록된 14,831명 중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70~89세 노인 1,635명

* 선정기준
a) 지난 1개월 동안 규칙적으로 운동한 시간이 주당 20분 미만이며 중등도 신체 활동이 주당 125분 미만
b) SPPB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점수 9점 이하
c) 15분 안에 400m를 걸을 수 있음.
d) 3MSE (Modifi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검사에서 인지기능 장애가 없을 것
e) 중재에 안전하게 참여 가능할 것

시험군중재

신체 활동 중재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818명)
· 걷기 위주의 유산소 운동, 저항, 유연성, 균형 훈련을 주당 2회의 클래스로 운영
· 가정에서의 운동 목표 설정 (주당 최소 150분의 중등도 강도 신체 활동, 걷기 운동 후 발목 웨이트를 포함한 10분간의 하지 저항 훈련, 균형 운동, 간단한 하지 스트레칭)

대조군중재

건강 교육 중재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 817명)
· 성공적 노화 (successful aging)에 관한 건강 정보를 연령 맞춤형으로 제공
· 앉아서 하는 상지 스트레칭, 유연성 운동을 포함한 주제별 교육 프로그램
· 26주차까지 매주 교육, 27주차부터 월 2회 제공 (참여자는 적어도 월 1회 참석)

평가지표

1) SPPB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 기립 시 균형 유지, 4m의 일상적 보행, 의자에서 5회 반복 서기
· 각 항목당 0-4점으로 평가하여 합산


2) 400m 걷기, 주요 가동성 장애
· 20m 떨어진 두 지점을 10번 반복하여 왕복할 때 심한 땀이 나지 않도록 일상적인 보행 속도를 유지하고 멈춰서 1분 이상 쉴 수 있음.
· 보행 속도는 보행을 완료한 시간과 걸을 수 있는 거리로 평가
· 주요 가동성 장애는 400m 보행을 중간에 주저앉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 또는 워커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15분 이내에 완료하지 못할 때로 판정함. 단, 지팡이 사용은 허용됨. (보행 평가를 할 수 없는 여건인 경우 4m를 10초 이내에 이동할 수 없거나, 의무기록상 한 방에서 반대편까지 걸어갈 수 없을 경우에 주요 가동성 장애로 평가함.)


3) 가속도계
· 가속도계 (Actigraph GT3X)를 찬 상태에서 7일간 측정
· 수면, 샤워, 목욕, 수영 등의 경우 외에는 계속해서 착용하고 측정
· 분당 760 카운트가 측정된 경우를 활동 중으로 평가하여 활동 시간을 min/week 단위로 표기하여 측정하도록 함.


4) 자기보고서
· CHAMPS-5 설문지를 시행함.


5) 입원
· 현재 건강 상태로 인한 입원 여부

주요결과

· 가속도계 측정 결과와 걷기,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자기 보고서 결과는 신체 활동 중재군이 건강 교육 중재군에 비해 모든 측정 시점마다 더 큰 변화를 보였다 (P<0.001).
· 두 군을 구분하지 않고 4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400m 보행 속도 및 SPPB의 첫 측정부터 24개월까지 가속도계 측정 결과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1).
· 스스로 보고한 걷기와 웨이트 트레이닝 시간의 변화와 첫 측정과 24개월 후 측정에서의 400m 보행 속도 및 SSPB 결과는 상관관계에 있었다.

저자결론

신체적 활동량의 변화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운동 기능의 향상과 주요 가동성 장애의 발병 감소와 관련이 있다. 신체 활동의 변화량이 주당 48분 이상인 경우에 최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 데이터는 가동성이 제한된 고령자들의 신체 활동 편익을 위한 공중보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신체 활동의 유익한 효과가 현재 대부분의 활동이 저하된 고령자에게 권장되고 있는 것보다 더 적은 신체 활동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려준다.

KMCRIC 비평

LIFE 연구는 고령자의 생활양식 중재와 자립 (Lifestyle Interventions and Independence for Elders)을 주제로 한 3상 다기간 무작위 대조군 연구로 장기간 다수의 고령자를 연구에 등록시키고 이를 추적한 연구입니다 [1,2]. LIFE 연구는 이미 중등도 강도의 운동 프로그램이 단순한 교육에 비해 주요 가동성 장애를 28%에서 18%로 경감됨을 보여주었습니다 [3]. 이 연구는 LIFE 연구에 등록된 사람 중 해당 연구에 적합한 1,635명을 무작위로 2개군으로 배분하고, 각각 중등도 운동 프로그램과 건강한 나이 들기 교육을 시행하여 24개월 후까지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거동이 제한된 고령자가 수행하는 운동량이 증가할수록 운동 기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기존 연구들에 비해 장기간의 전향적 연구라는 점과 객관적인 측정 도구를 이용하였다는 점, 운동량에 따른 양-반응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거의 인용 수준을 높게 평가할 수 있으나, 양-반응 관계가 운동량으로 처음부터 운동량이 많은 그룹이 기본적으로 회복 가능성이 높거나 비교적 경도의 질병이나 부상 등이어서 운동기능 개선에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점과 중재의 양에 따른 관계가 아니라 최초 측정 시의 결과를 기준으로 4분위를 나누었다는 점에서 임상에서 적용할 운동량을 설정할 때는 주의를 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정상 성인에 비하여 거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고, 낙상이나 부상의 위험이 높아서 사고에도 자주 노출됩니다. 임상적으로 와상 상태의 고령자에게서 급속한 기력 저하, 건강 상태 악화, 감염에 잦은 노출, 일상생활수행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능력 저하로 인한 가정으로의 복귀가 어려운 등의 문제가 관찰됩니다. 따라서 거동이 제한된 고령자의 경우 재활 치료를 포함하여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운동량을 제시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환자의 체력 저하, 수술, 부상 등에 의한 통증으로 운동을 소화해내기 어려워하는 경우 역시 많습니다.
이 연구는 임상의에게 거동이 제한된 고령 환자의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해 교육보다 더 적극적인 운동 요법이 제공될 필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단위 보건의료 정책 및 건강증진사업에 있어서 거동 제한 고령자의 운동을 장려하고 직접 운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각종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문헌

[1]

[2]

[3]

작성자

세종 산돌한의원 제준태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