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통합검색
닫기

KMCRIC 챗봇에게

질문하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rona virus disease, COVID-19) 치료에 한양방 병행 요법이 효과적인가?

서지사항

Liu M, Gao Y, Yuan Y, Yang K, Shi S, Zhang J, Tian J. Efficacy and Safety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for Corona Virus Disease 2019 (COVID-19):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harmacol Res. 2020;158:104896. doi: 10.1016/j.phrs.2020.104896.

연구설계

코로나 확진자를 대상으로 양약 단독 치료와 한약 양약 병행 치료를 비교한 환자-대조군 연구와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 분석 연구

연구목적

COVID-19 환자에 있어 한약 병행 치료가 양약 단독 치료에 비해 유효성 및 안전성을 가지는지 평가하고 관련 근거를 마련하고자 함

질환 및 연구대상

실험실 검사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진단받은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시험군중재

한약 (중성약, 과립 등)을 양약과 함께 복용한 군

대조군중재

양약 단독 복용군

평가지표

1) 임상적 유효성 (치료 반응, 치료율, 입원 일수 등)

2) 임상 증상 (발열, 기침, 가래, 피로, 근육통 등)

3) 실험실 검사 (lymphocyte percentage, WBC count, CRP, TNF-α 등)

4) 부작용 (오심구토, 설사, 간 손상 등)

주요결과

1. 임상적 유효성에서는 한양방 병행 치료군이 양약 단독 치료군보다 치료 반응, 치료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증도 비율, 입원 기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2. 임상 증상에서는 한양방 병행 치료군이 양약 단독 치료군보다 발열, 기침, 객담, 피로, 흉통 등의 증상을 유의하게 개선하였다. 근육통, 오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lymphocyte percentage, IFN-α 수치는 한양방 병행 치료군이 양약 단독 치료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다만 CRP나 WBC count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4. 한양방 병행 치료군과 양약 단독 치료군에서 나타난 부작용은 오심구토, 설사, 간 손상 등이 있었으며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자결론

리뷰 결과, COVID-19 치료에 있어 한양뱡 병행 치료가 양약 단독 치료에 비해 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포함된 논문의 수가 적고, 논문의 질이 낮아 한양방 병행 치료의 근거를 보다 확고하게 마련하기 위해서는 향후 질 높은 RCT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KMCRIC 비평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중증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coronab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인 SARS-CoV-2 감염에 의한 질환이다. COVID-19 확진자 및 관련 사망자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전염의 확산 추세가 쉽게 꺾이지 않아 COVID-19 관련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전 지구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양약 요법은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한 항염 치료가 주가 되고 있으나, 아직 약물 요법에 대한 근거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한양방 병행 요법이 양약 단독 요법보다 COVID-19 치료에 더욱 유효하고 안전한가를 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선정/제외 결과 11개의 논문 (4개의 무작위대조군 연구, 7개의 환자-대조군 연구), 총 982명의 환자가 포함되었고, 포함된 논문은 모두 중국에서 수행되었다.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에서 한양방 병행 치료군은 임상적 유효성 (clinical efficacy), 임상 증상 등에서 양약 단독 치료군보다 모두 유의하게 효과가 있었으며, 양약 단독 치료군보다 부작용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환자를 대상으로 한약 병행 요법이 가능한 국가가 과연 얼마나 될지를 생각해 보면, 포함된 논문의 지역적 편향성은 그다지 문제로 보이지 않으며, COVID-19라는 시대적 난제에 한양방 병행 요법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주의를 필요로 해서 받아들여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본 메타 분석에 포함된 논문들의 이질성 부분이다. 선정 기준에 무작위대조군 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를 모두 포함한 점은 COVID-19 같은 급성 전염병 상황에서 무작위대조군 연구 시행이 어렵기 때문에 관련 논문을 가능한 많이 포함해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 저자들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는 바이다. 그러나 무작위대조군 연구와 환자-대조군 연구의 두 이질적 디자인을 동시에 메타 분석에 포함한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동일 디자인 연구 내에서도 연구의 이질성 부분이 많이 보이므로, 하위그룹 분석을 통해 각 디자인 별로 분석하여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더욱 설득력이 있었을 것이다. 임상적 유효성의 치료율 평가에서 COVID-19 음성 평가에 관한 서술이 없는 부분도 아쉬운 점이다. 연구방법론의 낮은 질 문제, 무작위대조군 연구에서 맹검이나 할당 은폐, 대상자 탈락에 대한 보고 미비 등은 늘 지적되는 문제로 연구자들이 다시 한번 되새겼으면 하는 부분이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본 리뷰는 중국에서 시행된 COVID-19에 대한 한양방 병행 요법에 대해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바탕으로 더욱 질 높은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 SARS 때와 마찬가지로 한약의 효과 및 활용 방안에 대한 근거가 구축되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작성자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폐장호흡내과 김관일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