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스100%마이너스

통합검색
닫기

KMCRIC 챗봇에게

질문하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
KMCRIC 제목

경증, 중등증 코로나19에 연화청온(連花淸瘟)은 안전하고 효과적일까?

서지사항

Fan Z, Guo G, Che X, Yang Y, Liu Y, Li L, Chang X, Han L, Cai X, Tang H. Efficacy and safety of Lianhuaqingwen for mild or moderate coronavirus disease 2019: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dicine (Baltimore). 2021 May 28;100(21):e26059. doi: 10.1097/MD.0000000000026059.

연구설계

중국의 중성약 제제인 연화청온과 통상 요법 (usual care)을 결합하는 치료를 통상 요법 단독 치료와 비교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

연구목적

경증 및 중등증의 COVID-19에 대한 연화청온과 통상 요법 결합 치료와 통상 요법 단독 치료의 유효성, 안전성을 비교하기 위함.

질환 및 연구대상

코로나19 환자 (경증, 중등증)

시험군중재

연화청온+통상 요법 (usual care)

대조군중재

통상 요법 (usual care)

평가지표

1. 종합적 임상 효능 (발열, 피로, 기침의 완전 관해)과 안전성

2. 중증으로 이환된 환자 수, 발열 지속 기간, CT 상 호전

주요결과

통상 요법 단독 치료에 비해 연화청온과 통상 요법을 결합하여 치료 결과

1. 종합적 임상 효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RR=2.39, 95% CI 1.61–3.55).

2. CT 상 회복된 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RR=1.80, 95% CI 1.08–3.01).

3. 중증으로 이환된 환자의 비율이 낮았다 (RR=0.47, 95% CI 0.29–0.74).

4. 발열 지속 기간을 단축했다 (MD=-1.00, 95% CI -1.17 to -0.84).

5. 이상반응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저자결론

연화청온을 통상 요법에 결합하여 치료하면 부작용을 높이지 않으면서 경증이나 중등증의 COVID-19 환자에게 종합적 임상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이 제한적이고 그 질이 낮음을 염두에 두어 확정적인 대규모 RCT 또는 높은 질의 실용적 연구가 필요하다.

KMCRIC 비평

연화청온은 2002년 SARS 사태 당시 활용되어 유명해진 처방으로 연교, 금은화, 자마황, 초고행인, 석고, 판람근, 연마관중, 어성초, 광곽향, 대황, 홍경천, 박하뇌, 감초 등의 약재로 구성된다. 공효 주치는 清瘟解毒,宣肺泄热. 用于治疗流行性感冒属热毒袭肺证,症见:发热或高热,恶寒,肌肉酸痛,鼻塞流涕,咳嗽,头痛,咽干咽痛,舌偏红,苔黄或黄腻等.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2020년 6월에 Vero E6 cell을 이용하여 기전 연구가 발표된 바 있다 [1]. 이 연구에서 연화청온은 COVID-19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였고, 바이러스의 형태에 영향을 주었으며 항염증 작용까지 나타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 앞서 Liu 등은 동일한 주제로 보이는 연구를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에 먼저 출판하였다 [2]. 해당 연구에서는 RCT뿐만 아니라 Case Control 연구, Case series 연구들도 포함해 포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연화청온이 서양 의학 치료와 결합하였을 경우 경증 및 중등증 COVID-19 환자에게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었다.
Fan 등의 이번 연구에서는 상당한 문제점이 몇 가지 발견되는데, 첫째로 체계적 문헌고찰에 대한 계획 (프로토콜)을 우선 공표한 근거가 없었다. Liu 등의 연구에서는 사전 프로토콜을 등록 후 (PROSPERO, CRD42020176332)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을 출판한 데 반해 본 연구는 사전에 프로토콜을 등록했다는 언급을 찾을 수 없었다.
두 번째, 선정된 논문의 디자인에 대한 오류가 의심된다. Liu 등의 연구 [1]에서는 RCT가 3건, Case control 3건, Case series 2건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번 연구에서 선정된 5건의 RCT 논문 중 4건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 중 Liu 등의 연구 [1]에서 Case control 디자인으로 분류되어 있는 Yao 등의 연구 [3]가 본 연구에서는 RCT로 분류되어 있었다. 필자가 해당 연구들의 제목 및 초록을 확인해 본 결과 본 연구의 분석에 포함된 논문 중 Lv 등의 연구 [4], Cheng 등의 연구 [5] 모두 후향적 디자인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의 문헌 검색 및 선정 상에 심각한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디자인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risk of bias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적절한 분석이라고 할 수 없으며, 따라서 본 연구 전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2]

[3]

[4]

[5]

작성자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최준용

Q&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