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중심한의약 DB
Home >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 근거중심한의약 DBTitle | 위중혈 자락의 요통에 대한 치료효과. |
---|---|
Authors | 이상훈, 정병식, 윤형석, 조성규, 김성욱, 이윤호. |
Journal | 대한침구학회지. |
Year | 2002 |
Vol (Issue) | 19(1) |
Page | 65-75. |
doi | |
PMID | |
Url | |
MeSH | |
Keywords | acupuncture; venepuncture; low back pain; weizhong(BL40) |
한글 키워드 | 침 치료; 정맥 천자; 요통; 위중혈 |
KMCRIC summary and commentary | 없음 |
Korean Study | Y |
Abstract | Objective : Since ancient times venepuncture has been widely used as a useful treatment for low back pain. This study is made in order to objectively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Weizhong(BL40) on low back pain. Methods : Total 46 cases of low back pain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took only acupuncture therapy, and the other group took acupuncture and venepuncture therapy together. Each patient`s pain was evaluated before the treatment and the 3 or 4 days later after the treatment. Pain rating score(PRS) was used to assess the pain for its intensity, frequency, duration, and aggravating factors. Results : Both acupuncture therapy group and acupuncture & venepuncture group showed good effect on low back pain. Though the latter group showed better pain release effect than the form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ain rating score of two groups. Sciatica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non-sciatica group in pain rating score. Palpation on Weizhong(BL40)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ain duration from non-palpation group. Exposed vessel around Weizhong(BL40)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rating score from non-exposed vessel group. Conclusion : Weizhong(BL40) venepuncture can be highly recommended as a useful therapy for low back pain patients especially who show exposed vessels on the popliteal area. |
국문초록 | 2001년 9월 3일부터 9월 28일까지 요통으로 나사렛한방병원에 내원한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일반체침자극만을 실시한 대조군과 대조군 치료법에 委中穴 剌絡을 겸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초진시 시술전과 3,4일후 재진시 통증평정지수(Pain Rating Score, PRS)를 사용하여 하지 방사통,委中穴 壓痛, 委中穴 부근 靑筋(푸르게 노출된 혈관)의 유무에 따른 통증 강도와 지속시간, 빈도, 동작과의 연관성 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통증의 강도, 통증의 지속시간, 통증의 발생빈도, 동작에 따른 통증의 양상 4가지 항목 및 통증평정 지수에서 자침만을 시행한 대조군과, 자침과 함께 委中穴 刺絡을 시행한 실험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각 통증 항목 모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더 큰 치료 전후 편차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3. 하지방사통의 유무는 통증 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黍中穴 압통의 유무는 통증 발생빈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기타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委中穴 청근이 있는 환자군이 청근이 없는 환자군보다 전반적 통증의 상태를 반영하는 통즏 평정 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어 委中穴 부근 靑筋을 刺絡療法의 주요한 적응증으로 볼 수 있다. |
Language | 한국어 |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