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

약을 더 이상 쓸 수 없거나 아예 약을 쓸 단계를 넘어 선 환자, 혹은 장기간 약을 써도 몸만 상할 뿐 호전이 되지 않는 만성 질환,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요양을 하면서 여러 가지 자연의 혜택을 누리려 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음식이다.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食治方)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도 있고 맛도 있게 하겠다는 의도로 - 선택한 식치방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객관적인 논리 제시가 없는 채로 -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藥膳, Curative Food)이다. 필자가 십여 년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Planning of curative food)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박사학위 취득(한의학)

[경력]
- 현 한국약선연구원 원장
- 현 안문생한의원 원장
- SBS 중국약선여행 전문연사
- MBC 라디오 동의보감 전문연사
- 경원대학교 사회교육원 약선강좌 외래교수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약선학 석사과정 겸임교수
- 원광한의대, 경원한의대, 상지한의대, 동의한의대 외래교수 및 강사(10년)
- 약선설계 관련 앱 개발

[저서]
- 2012 『약선설계학』
- 2012 『약선설계본초』
- 2003 『안문생 약선기』
- 『식의기초연구』
- 약선재료사전(App)
- 이안평가(App)

안문생
안문생

중의학자들이 한방 고전 속의 식치방에 맛내기 식품들을 더하여 효과와 맛을 둘 다 충족시키고자 만들어 유포시킨 것이 약선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논리의 제시는 없었다. 필자가 십여 년간의 연구로 객관적 논리를 창안함으로써 가능해진 합리적 약선 제작 방법이 ‘약선설계’다.

프로필 바로가기

선상(膳象)의 수치화(數値化)

 

AMS 14-01.jpg


본초의 상(象)을 약상(藥象)이라 하였으므로 여러 본초가 합하여 이루어진 약선 음식의 상은 약선의 선(膳)자에 상(象)자를 붙여 선상((膳象)이라 할 수 있다. 생명체는 이렇게 합해져도 그 상(象)이 투영된다. 가정, 회사, 혹은 국가도 나름대로 각각 다른 독특함이 존재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약상의 약(藥)은 어떤 물질이 약물로써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의 맛과 성질을 말하는 것이고 상(象)이란 그 맛과 성질이 어우러져 발휘하는 기능 활동이 밖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선상의 선(膳)은 어떤 약선 음식이 약물로 쓰일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맛과 성질을 말하는 것이고 상(象)이란 그 맛과 성질이 어우러져 발휘하는 기능 활동이 밖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약상과 선상은 개별적이냐 집단적이냐 하는 것만 다를 뿐 그 기능은 동일한 분류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선상은 약선 음식 처방을 하나의 단위로 보고 해석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축약된 효능 분류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난 칼럼까지 설명했듯이 약상의 값을 수치로 나타낸 것을 약상치(藥象値, Cv)라 하므로 선상의 값을 수치로 나타낸 것은 선상치(膳象値, FCv)라 할 수 있다.


어느 나라든 정치를 하는 이들은 그 집단이 몇 개의 표로 작용하느냐에 따라 시혜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다소의 논리는 자연에서도 거의 동일하다. 매우 간단한 예로 뜨거운 물 한 컵에 찬물 두 컵을 부었을 때와 반 컵을 부었을 때 물의 온도가 어떻게 다를지 생각해보면 금방 해답이 나온다. 동일한 원리로 하나의 약선 음식을 구성하는 개개의 재료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밖으로 나타나는 선상과 선상치도 달라지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개개의 재료가 차지하는 백분율(%)을 계산하여 개개의 약상치에 곱한 값을 모두 합하면 선상치가 나올 수 있다.


짜고 약간 달고 따뜻한 A라는 재료는 Cv가 3이고 약상이 ‘발생’이다. 달고 따뜻한 B라는 재료는 Cv가 7이고 약상이 ‘발열’이다. 달고 약간 쓰고 시원한 C라는 재료는 Cv가 -3이고 약상이 ‘성숙’이다. A 128g (64%), B 50g (25%), C 22g (11%)으로 구성된 'ABC탕'이라는 약선 음식의 선상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64x3=192, 25x7=175, 11x(-3)=-33   192+175-33=334   그러므로 FCv는 334이다.



AMS14-02.jpg



FCv 334는 위의 선상도에서 발생과 배출에 속한다. 그런데 발생은 맛이 +맛과 -맛이 섞인 것이고 배출은 오로지 +맛만으로 구성된 상이다. 따라서 짜고(-) 달고(+) 약간 쓴(-), +맛과 -맛이 섞여 있는 'ABC탕'의 선상은 ‘발생’이다.


물론 실제로 본초를 대입할 때는 신선한 것인지 마른 것인지에 따라, 혹은 부위에 따라 계산법이 다르다. 이것에 대해서는 <약선설계학>에서 자세하게 다루었고 구글 앱 ‘약선설계 이안평가’로 계산할 때 저절로 반영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약상치는 -8부터 8까지의 수치로 나타내므로 선상치는 여기에 100을 곱한 -800부터 800까지의 수치로 나타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예컨대 약상의 분류에서 1≤발생<5이므로 선상 분류에서는 100≤발생<500이 되는 것이다. 이런 원리로 모든 선상의 수치영역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AMS14-03.jpg



이렇게 선상치를 계산하고 선상을 분류할 수 있으면 두 개의 처방을 이안평가로 비교할 수 있고, 비교할 수 있으면 비로소 식치방의 효능을 합리적으로 유지하는 약선방을 설계할 수 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 KMCRIC의 공식적 견해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문생 박사의 약선설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