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익모초(Leonurus japonicus Houtt.)

 

GBH16-01.jpg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는 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약재 중 하나로, 꿀풀과 (Labiatae) 익모초속 (genus Leonurus)에 속하며 익모초 꽃이 피었을 때의 지상부를 말린 것입니다. 일본의 경우는 Leonurus sibiricus L.의 지상부도 익모초로 사용됩니다.


전통적 사용


중국에서 익모초는 수세기 동안 월경불순, 월경곤란, 무월경, 오로, 부종, 배뇨감소, 통증, 궤양 등의 여성 질환에 사용되었습니다. 익모초의 첫 기록은 <신농본초경> 상편에 나와 있습니다. 이후 다양한 중의학 서적에 수록되었는데, <본초강목>에 따르면 익모초는 인체에 무해하여 임산부의 질 출혈, 잔류 태반 및 양막, 자궁 출혈, 혈뇨 등을 치료합니다.

익모초는 <중국약전>에 등재되었으며, 그중 300개 이상의 처방이 익모초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성분


 1. Alkaloids
  1) Leonurine
  2) Stachydrine
 2. Diterpenes
 3. Flavones
 4. Spirocyclic nortriterpenoids
 5. Sesquiterpene glycosides
 6. Megastigma
 7. Phenylethanoid glycosides
 8. Nonapeptides
 9. Essential oils
 10. Others


현재까지 익모초에서 약 140개의 화합물이 분리된 것이 확인되었고 그중 익모초의 알칼로이드인 leonurine과 stachydrine 성분이 가장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leonurine 성분은 자궁 및 심장보호 효과 등의 약리작용이 확인되었고 [1] 최근 실험연구에서는 5-HT3α 수용체에 강한 억제 활성을 보여 다양한 소화기 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습니다 [2]. stachydrine 성분은 현재 익모초 및 익모초 처방의 품질을 모니터링 하는 공식 지표로 사용됩니다.


GBH16-02.jpg

약리작용


 1. 자궁에 대한 효과
 2. 심장보호 활성
 3. 항산화 활성
 4. 항암 작용
 5. 신경보호 활성
 6. 진통 및 항-염증 활성
 7. 구충 작용
 8. 항균 활성
 9. 기타
 
익모초는 다양한 부인과 질환에 사용되는 한약재입니다. 실제 대만의 통계보고에 따르면 월경전증후군에 자주 사용하는 본초이며 [3], 난임에도 많이 사용합니다 [4].


익모초의 약리 연구 역시 부인과 질환에 대한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익모초에 함유된 leonurine 성분이 적출자궁을 흥분시켰습니다 [5]. 이외에도 혈소판 응집억제, 심장의 허혈-재관류 손상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신경보호 작용, 진통 작용 등이 보고되었습니다 [1].


그러나 익모초는 연구자체가 적은 편이며, 단일로 사용된 임상 연구 역시 드뭅니다. 따라서 익모초의 정확한 작용 및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추가 연구가 기대됩니다.


사용상 주의


전통적으로 익모초는 부작용이 없고, 무해하다고 적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독성 연구에 따르면 몇몇 독성과 부작용이 보고됩니다.


쥐를 모델로 한 독성연구에서 익모초는 다양한 정도의 신장 손상을 유발했습니다. 이 때문에 익모초의 추가 독성연구가 요구되며, 많은 양을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포제에 따른 익모초 독성 연구에 의하면, 주초(酒炒)한 익모초의 독성이 가장 적었습니다 [1].


참고문헌


[1] Shang X, Pan H, Wang X, He H, Li M. Leonurus japonicus Houtt.: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Ethnopharmacol. 2014 Feb 27;152(1):14-32. doi: 10.1016/j.jep.2013.12.052.


[2] Hoffmann KM, Herbrechter R, Ziemba PM, Lepke P, Beltrán L, Hatt H, Werner M, Gisselmann G. Kampo Medicine: Evaluation of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121 Herbal Drugs on GABAA and 5-HT3A Receptors. Front Pharmacol. 2016 Jul 29;7:219. doi: 10.3389/fphar.2016.00219.


[3] Chen HY, Huang BS, Lin YH, Su IH, Yang SH, Chen JL, Huang JW, Chen YC. Identifying Chinese herbal medicine for premenstrual syndrome: implications from a nationwide databas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 Jun 27;14:206. doi: 10.1186/1472-6882-14-206.


[4] Hung YC, Kao CW, Lin CC, Liao YN, Wu BY, Hung IL, Hu WL. Chinese Herbal Products for Female Infertility in Taiwa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Medicine (Baltimore). 2016 Mar;95(11):e3075. doi: 10.1097/MD.0000000000003075.


[5] Kong YC, Yeung HW, Cheung YM, Hwang JC, Chan YW, Law YP, Ng KH, Yeung CH. Isolation of the uterotonic principle from Leonurus artemisia, the Chinese motherwort. Am J Chin Med (Gard City N Y). 1976 WINTER;4(4):373-82.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