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2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인 본초에 대한 연구는 역사 속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현재는 광물 등을 포함해 약 1만개 정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연구는 현대과학과 한의학을 결합해 본초의 전통적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조합과 사용법 등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대본초의 지식은 전통한의학과 만나,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력]
-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경력]
- 현 사랑채움한의원 원장
- 대한한의진단학회 회원
- 민족의학신문 명예기자 (2012.07-2013.07)
-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우수 IP (2013.05-2018.04)

공병희
공병희

본초에 대한 지식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과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과거와는 다른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칼럼을 통해 현대본초라는 이름으로 본초의 현대과학적 연구, 새로운 제형, 배오 등에 관한 지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자소(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GBH18-01.jpg


자소는 꿀풀과 (Labiatae) 자소속 (Perilla)에 속하는 차즈기 (P.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또는 주름소엽 (P.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으로, 한의학에서는 잎과 끝 가지를 ‘자소엽’, 줄기는 ‘자소경’, 씨앗은 ‘자소자’로 불리며 서로 다른 약물로 사용했습니다.


먼저 자소에 대해 자세히 알기 전에 자소의 학명을 한 번 더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들깨 :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 Britt.
   * 차즈기 :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주름소엽 :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


이와 같이 자소는 들깨와 학명이 유사하며, 이들은 매우 가까운 식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 자소는 들깨처럼 다양한 식품으로 사용됩니다.


전통 및 현대적 사용


전통적으로 자소는 중국 및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농작물의 하나입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자소가 어류와 게로 인한 복통과 설사를 예방한다고 하여 향신료로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일본에는 자소엽과 매실을 이용한 전통음식인 ‘우메보시’가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매실 요리의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소자는 들기름과 유사한, 자소유 (차조기유, perilla oil)의 원료가 되며 역시 향신료로 사용됩니다. 또한 최근에는 자소자에 오메가 3가 풍부하고, 오메가 6와 9 역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오메가 3는 대개 ‘어유(魚油)’로 복용하는데 바다의 오염으로 인해, 자소유가 어유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2].


자소가 약물로 사용된 첫 기록은 한나라의 <명의별록>이며, 이후에 <본초강목> 등에 수록되었습니다. <중국약전>에는 1963년 자소엽, 자소경, 자소자가 별도의 약물로 등재되었습니다. 또한 2002년에는 자소 및 자소자가 87개의 약선으로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2].


성분


 1.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2. 플라보노이드 Flavonoids 및 트리터펜 triterpenes
 3. 휘발성 화합물 (정유) Volatile compounds (essential oils)
 4. 지방산 Fatty acids
 5. 폴리코사놀 Policosanols
 6. 토코페롤 Tocopherols 및 피토스테롤 phytosterols
 7. 기타


자소의 성분은 대개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친수성의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and triterpenes 성분과 소수성의 volatile compounds, fatty acids, policosanols, tocopherols and phytosterols 성분입니다.

phenolic compound에는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등이 함유되며, 플라보노이드에는 luteolin, apigenin 등이 포함됩니다.


정유는 주로 잎, 꽃, 줄기에 분포하는데, perilladehyde, perillaketone 등의 성분 분리가 확인되었습니다. 지방산은 자소자에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로 구성됩니다. 특히 자소자는 오메가 3 지방산에서 중요한 α-linolenic acid를 함유합니다 (정유의 54-64%). 또한 약 14%가 오메가 6인 linoleic acid 성분이, 오메가 9인 oleic acid도 확인되었습니다 [2].


약리작용


 1. 항미생물, 항박테리아 작용
 2. 항산화 작용
 3. 항염증 작용
 4. 항알레르기 작용
 5. 위장운동촉진 작용 - 대장염에 대한 활성
 6.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1) 항우울 작용
   2) 공간학습 및 기억
   3) 허혈/재관류 손상
   4) 항산화 활성
   5) TRPA1 채널 발현
 7. 항당뇨 활성
 8. 항종양 활성
 9. 기타


자소의 부위 중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된 자소엽의 약리작용을 소개합니다.


자소엽은 대표적으로 항미생물, 항박테리아 작용을 보입니다. 자소엽 추출물은 녹농균 [3], 황색포도상구균 [4]에 박테리아 활성을 나타냅니다.


또한 자소엽은 항염증 작용을 나타냅니다. 자소엽 추출물은 용량의존적으로 LPS-유도 mRNA 발현 (IL‑6, IL‑8, TNF‑α, COX‑2 and iNOS)을 억제하며 RAW264.7 세포를 대상으로 한 in vitro 실험에서 NO 생성 및 PGE2 분리를 감소시켰습니다 [5]. 


자소엽은 항알레르기 작용을 나타냅니다. 자소엽 추출물은 진드기의 주요 항원인 Derp2로 유도한 알레르기에서, 알레르기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했으며 [6], 천식 동물 모델 (in vivo, BALB/c mice, OVA-유도 모델)에서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은 IL-5, IL-13, Th2 활성을 하향조절하며, 혈청 IgE 농도 역시 감소시켰습니다 [7].


자소엽은 DNFB-유도 아토피 증상, compound 48/80-유도 알레르기 증상, 비만세포-매개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했습니다 [2]. 게다가 자소엽의 성분인 luteolin 역시 compound 48/80에 의한 히스타민 분비, 긁는 행동, 혈관투과성 등을 감소시켰습니다 [8].


자소엽은 소화기 증상에도 사용되는데, Urushima H 등은 DSS (dextran sulfate sodium)-유도 대장염에 자소엽을 처리하자 대장염 (colitis)에 의한 체중 감소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농도가 개선되었다고 보고합니다 [9].


자소엽의 중추신경계 작용은 우울증 유도 동물 모델에서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apigenin, 1-perillaldehyde 성분 연구 [10-13] 등이 있습니다.


GBH18-02.jpg

임상연구 및 증례 보고


1. 소화기 장애
2. 알레르기 비염


2014년 Buchwald-Werner S 등은 위장불편감 및 위장운동성이 감소된 50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 연구 (pilot study) 를 발표했습니다. 저자는 자소엽 추출물이 복부팽만, 가스의 통과, 복명, 위장불편감 등의 위장증상을 개선했다고 보고했습니다. 특히 세부분석을 통해 자소엽의 효과가 여성군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했습니다 [14].


Takano H, Osakabe N 등은 자소엽 추출물이 코의 가려움 반응률, 눈물, 눈의 가려움, 알레르기 비염의 총 증상을 개선한다고 보고했습니다 [15]. 또한 Ariano R 등의 2015년 연구에서 자소엽을 함유한 Lertal® 제품이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의 전체적인 증상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했습니다 [16].


사용상 주의


자소는 들깨 혹은 깻잎과 유사하며, 실제 식품첨가물 또는 향신료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소수의 연구는 자소가 비정형 간질성폐렴과 연관되는 독성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소 (bovine)에서 자소는 급성 폐기종 (acute pulmonary emphysema)을 유발하며, 실제 자소의 성분은 동물 실험 또는 가축에서 강력한 폐부종 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에 대한 자소의 독성 역시 보고되는데, 대개 ‘알레르기’의 범주에 속합니다. 자소를 자주 접촉하는 사람들에서 접촉성피부염이 나타났다고 잘 알려져 있으며, 자소자에 열을 가하면서 발생하는 연기를 흡입하여 ‘직업적 천식’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존재합니다 [2].


참고문헌


[1] Lee J, Park S, Lee JY, Yeo YK, Kim JS, Lim J. Improved spatial learning and memory by perilla diet is correlated with immunoreactivities to neurofilament and α-synuclein in hilus of dentate gyrus. Proteome Sci. 2012 Dec 5;10(1):72. doi: 10.1186/1477-5956-10-72.


[2] Yu H, Qiu JF, Ma LJ, Hu YJ, Li P, Wan JB. Phytochemical and phytopharmacological review of Perilla frutescens L. (Labiatae), a traditional edible-medicinal herb in China. Food Chem Toxicol. 2016 Nov 24. pii: S0278-6915(16)30439-2. doi: 10.1016/j.fct.2016.11.023. [Epub ahead of print]


[3] Choi UK, Lee OH, Lim SI, Kim YC. Optimiz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the evolutionary operation-factorial design technique. Int J Mol Sci. 2010 Oct 14;11(10):3922-32. doi: 10.3390/ijms11103922.


[4] Kim DH, Kim YC, Choi UK. Optimiz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leaf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using evolutionary operation factorial design technique. Int J Mol Sci. 2011;12(4):2395-407. doi: 10.3390/ijms12042395. Epub 2011 Apr 6.


[5] Huang BP, Lin CH, Chen YC, Kao SH.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leaf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Mol Med Rep. 2014 Aug;10(2):1077-83.  doi: 10.3892/mmr.2014.2298. Epub 2014 Jun 5.


[6] Liu JY, Chen YC, Lin CH, Kao SH. Perilla frutescens leaf extract inhibits mite major allergen Der p 2-induced gene expression of pro-allergic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BEAS-2B. PLoS One. 2013 Oct 18;8(10):e77458. doi: 10.1371/journal.pone.0077458. eCollection 2013.


[7] Chen ML, Wu CH, Hung LS, Lin BF. Ethanol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Suppresses Allergen-Specific Th2 Responses and Alleviates Airway Inflammation and Hyperreactivity in Ovalbumin-Sensitized Murine Model of Asthma.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2015:324265. doi: 10.1155/2015/324265. Epub 2015 Apr 20.


[8] Jeon IH, Kim HS, Kang HJ, Lee HS, Jeong SI, Kim SJ, Jang SI. Anti-inflammatory and antipruritic effects of luteolin from Perilla (P. frutescens L.) leaves. Molecules. 2014 May 27;19(6):6941-51.
doi: 10.3390/molecules19066941.


[9] Urushima H, Nishimura J, Mizushima T, Hayashi N, Maeda K, Ito T. Perilla frutescens extract ameliorates DSS-induced colitis by suppressing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inducing anti-inflammatory cytokine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15 Jan 1;308(1):G32-41. doi: 10.1152/ajpgi.00294.2014. Epub 2014 Oct 30.


[10] Takeda H, Tsuji M, Inazu M, Egashira T, Matsumiya T. Rosmarinic acid and caffeic acid produce antidepressive-like effect in the forced swimming test in mice. Eur J Pharmacol. 2002 Aug 9;449(3):261-7.


[11] Nakazawa T, Yasuda T, Ueda J, Ohsawa K.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apigenin and 2,4,5-trimethoxycinnamic acid from Perilla frutescens in the forced swimming test. Biol Pharm Bull. 2003 Apr;26(4):474-80.


[12] Ito N, Yabe T, Gamo Y, Nagai T, Oikawa T, Yamada H, Hanawa T. Rosmarinic acid from Perillae Herba produces an antidepressant-like effect in mice through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Biol Pharm Bull. 2008 Jul;31(7):1376-80.


[13] Ji WW, Wang SY, Ma ZQ, Li RP, Li SS, Xue JS, Li W, Niu XX, Yan L, Zhang X, Fu Q, Qu R, Ma SP. Effects of perillaldehyde on alternations in serum cytokines and depressive-like behavior in mice after lipopolysaccharide administration. Pharmacol Biochem Behav. 2014 Jan;116:1-8. 

doi: 10.1016/j.pbb.2013.10.026. Epub 2013 Nov 4.


[14] Buchwald-Werner S, Fujii H, Reule C, Schoen C. Perilla extract improves gastrointestinal discomfort in a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double blind human pilot study.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 May 27;14:173. doi: 10.1186/1472-6882-14-173.


[15] Takano H, Osakabe N, Sanbongi C, Yanagisawa R, Inoue K, Yasuda A, Natsume M, Baba S, Ichiishi E, Yoshikawa T.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enriched for rosmarinic acid, a polyphenolic phytochemical, inhibits seasonal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in humans. Exp Biol Med (Maywood). 2004 Mar;229(3):247-54.


[16] Ariano R. Efficacy of a novel food supplement in the relief of the signs and symptoms of seasonal allergic rhinitis and in the reduction of the consumption of anti-allergic drugs. Acta Biomed. 2015 Apr 27;86(1):53-8.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