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인도 명상 여행 (1)

 

KJW 0008-main.jpg



다양한 여행이 있다. 그 가운데 명상을 주제로 하는 여행도 있다. 수행을 함께하는 여행이다. 어디를 돌아다니는 여행은 최소화하고 수행처에 머물면서 명상 수행을 경험하는 것이다.


전투적인 여행은 가고 싶은 곳을 모두 찍고 방문하는 여행을 말한다. 젊은 시절, 가성비 최고의 여행을 실천하면서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가고 싶은 모든 곳을 누비고 다녔다.


휴식의 여행은 휴양지 한 곳, 심지어는 호텔 한 곳을 선택하여 꼼짝하지 않고 그곳에서 최대한 늘어지는 여행을 말한다. 지친 하루하루를 보내다 주어진 3~4일간의 강제 휴식 기간에 취하는 여행 방법이었다.


걷기 여행은 걷는 가운데서 느끼고 깨닫는 여행을 말한다. 자연 속에서의 트레킹도 있지만, 도심의 박물관 투어도 있고, 순례 여행 같은 것이 전형적인 예이다. 1~2주일 정도의 시간을 활용하여 작정하고 걷는 것을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로 삼는다.


“명상 여행은 명상을 여행의 가장 큰 목적으로 두고 실천하는 여행이다. 명상센터에서의 수련도 포함되고, 또 그 지역을 알아차림 하면서 깨어있는 여행이기도 하다. 명상을 주목적으로 하다 보니, 명상센터를 방문하여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명상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여행이라는 요소를 포함하되 ‘알아차림’에 충실하도록 만들어 가게 된다.”


이번 명상 여행의 장소는 아루나찰라 (Arunachala). 인도 남부 타밀나두, 티루반나말라이에 있는 산 이름이다. 시바 신이 깃든 곳으로 유명하다. 남인도의 평야 지역에 덩그러니 솟아있어 영적 기운이 물씬 풍긴다. 이곳에는 라마나 마하리쉬 (Ramana Maharshi)가 수행을 했고, 빅탬플이라고 이름 붙여진 커다란 힌두 사원이 있어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이 명상을 목적으로 오는 곳이다. 마을 입구에서부터 차원이 다른 세계로 들어선 느낌이 든다. 술, 심지어 담배조차 할 수 없는 그런 곳이다.


KJW 0008-img-01.jpg


명상 여행은 수행처에서 많이 보내게 된다. 인도에는 힌두교도들이 머물며 수행하는 사원인 아쉬람 (Ashram)이라는 수행처들이 많다. 라마나 마하리쉬, 오쇼 라즈니쉬 (Osho Rajneesh) 등 깨달은 자들의 수행처로 후대에 이어 수행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다. 사원이 주로 종교 행사 같은 것이 열리는 곳이라면 이곳은 수행하려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다. 이번 “라마나스라맘 아쉬람”은 특히 라마나 마하리쉬의 아쉬람이기 때문에 이분에 대한 공부만으로도 충분히 머무를 수 있는 곳이다. 100% 기부금으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등록하면서 기부금을 내고 예약한 일정을 머무르면 된다. 숙박과 식사가 그 기간 동안 제공되는데, 대략 5~6일 정도 예약이 가능하고 100불 정도를 내면 된다. 새벽부터 밤늦은 시간까지 여럿 스케줄이 소개되어 있고, 수행자는 자신이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참여하면 될 뿐이다.


KJW 0008-img-02.jpg


아쉬람에서의 생활은 자유롭다. 새벽과 저녁 시간에는 홀에서의 챈팅 (chanting)이 1~2시간 있지만, 명상방과 도서관, 그리고 서점도 있으며, 조그마한 정원도 있으니 무엇을 하던, 어디에 있던 자유롭게 수행하면 된다. 이곳의 매력은 아루나찰라 산으로 이어지는 산책로이고, 그곳을 오르다 보면 몇몇 수행 공간을 만나게 된다. 젊은 시절 마하리쉬가 아루나찰라로 와서 처음 수행했던 비루팍샤 동굴 (Virupaksha Cave)과 어머니를 모시고 7년간 머물렀던 스칸다쉬라맘 (Skandasramam)은 여전히 명상하는 사람이 열정을 가지고 찾는 곳이다. 아쉬람에서는 명상을 하러 온 각국, 특히 서구의 수행자들을 만날 수 있게 된다. 30분, 한 시간, 때로는 두세 시간을 명상하며 머물다 보면 시간은 훌쩍 흐르게 된다. 서구에서 온 명상가들이 3시간 넘게 꼼짝하지 않고 있는 모습은 놀랍다. 어차피 수행하러 온 입장이라 어떤 곳이든 마음에 맞는 명상처를 찾아 작정하고 명상이라도 하고 있다면 시간은 그저 흘러간다.


KJW 0008-img-03.jpg


KJW 0008-title-01.jpg


라마나 마하리쉬의 가르침의 주제는 “그대 자신을 알라”, “Who am I?”이다. 이 주제를 화두로 삼아 명상을 하면 된다. 다행인 것은 이곳 아쉬람 서점에 한국어판으로 꽤 많은 책들이 나와 있고, 더구나 한국의 반도 안 되는 가격으로 살 수 있으니, 그리고 뭐라도 명제를 가지려면 메시지를 가지고 접근을 해야 하므로 이렇게 서점, 도서관으로, 그리고 생각거리를 가지고 명상처로 이동을 하게 된다. 주제를 가지고 명상처에 앉으니 마음이 편안하다.


아쉬람에서의 식사. 이 시간만큼은 철저하게 지켜진다. 식사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에 맞춰 한 줄로 식당으로 들어가 일렬로 쭉 바닥에 앉게 된다. 바나나 큰 잎이 테이블이자 접시다. 기다리고 있으면 한 가지씩 양동이에 담은 음식 (쌀, 여러 종류의 카레, 간단한 견과류, 때로는 우유)을 순차적으로 쏟아 낸다. 그리고 오른손으로 마구 섞으며 집어 먹게 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이라면 쉽지 않은 그런 식사다. 그래도 몇 번이면 익숙해지기는 한다. 식사가 수행의 시작이다.


KJW 0008-img-04.jpg  KJW 0008-img-05.jpg


KJW 0008-title-02.jpg


아쉬람 주위에는 여럿 사설 명상센터가 있다. 자애로는 눈빛을 나눠주는 할머니가 하는 명상센터 “Sri Siva Sakthi Ammaiyar Ashram”를 방문해 보았다. 오전 10시면 시작을 하는데 홀에는 9시 반부터 100여 명의 사람들이 모인다. 대부분 서구인이고 또 현지인도 있다. 10시가 되면 할머니 한 분이 홀 앞으로 오셔서 20분 동안 미소를 띠고 사람들을 바라본다. 고개를 천천히 돌면서 각각의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는 것이다. 처음 참여해 본 나의 입장에서는 그 할머니의 눈빛은 자애롭기는 하지만 우리가 늘 경험한 할머니의 따뜻함이다. 그러나 이 눈빛과 교류를 하고 있는 사람들, 특히 서구인들에게서 보이는 환하고 경이로운 미소를 금치 못하는 모습은 매우 생경하고 흥미롭다. 어쨌든 홀 안은 따뜻함과 자애로움의 미소로 가득 찼다. 이후에는 할머니가 먼저 천천히 나가시고, 이후에 명상 시간은 종료가 되어 참가자들은 다시 밖으로 나가게 된다. 명상에 대한 또 다른 신선한 경험이다.


인도의 깊숙이 들어가 명상을 주제로 여행을 하다 보면, 기존에 살아왔던 우리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세상을 만나게 된다.


(다음 편에 계속)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