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인도 명상 여행 (2)

 

KJW 0009-main.jpg



수행처 아쉬람 (Ashram)에서의 생활은 자칫 지루하기 쉽다. 가뜩이나 걷기 여행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아무리 명상 여행이라고는 하지만 여행의 충동이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다. 여행(旅行)에서의 행(行)에 대한 충동이다.


아쉬람에서는 ‘오른돌이’라는 순례길이 있다. 아루나찰라 (Arunachala) 산을 오른 방향으로 한 바퀴 도는 14km에 이르는 순례길이다. 한 바퀴를 모두 돌면서 8개의 힌두 템플을 지나게 되어 있다. 물론 우리나라의 절과도 다르고,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의 느낌과도 완전히 다른 분위기다. 더구나 찻길을 걷는 것이어서 소음과 매연을 온통 뒤집어쓰고 걸어야 하기 때문에, 이곳이 아니라면 절대 할 수 없는 그런 걷기이다. 그래도 전체의 반 정도는 조금은 한적하고, 또 사 분의 일 정도는 산길로 돌아서 갈 수 있으니 그것을 위안 삼아, 그리고 순례라는 목표를 두고 새벽부터 걷기에 나섰다. 사실 새벽을 지나면 너무 더워져서 걸을 수가 없다.


KJW 0009-img-01.jpg


KJW 0009-img-02.jpg


많은 사람이 걷는다. 14km라는 한정된 거리이기도 하겠지만, 실제 이곳 현지인들도 참 많이 걷는다. 가족 동반으로 걷는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 물론 순례의 느낌이 강하게 들지는 않는다. 그저 일상이라는 느낌이 도리어 든다. 다른 일로 걷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이렇게 무리가 긴 줄을 이루면서 한 방향으로 걷고 있는 모습을 보면 숭고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섬뜩하기도 하다. 마치 무엇엔가 홀리거나 끌려서 걷고 있는 그런 느낌이라고나 할까?


KJW 0009-img-03.jpg


이곳의 매력 포인트는 새벽에 만나는 짜이 한잔이다. 짜이 명인, 우리는 그를 그렇게 부른다. 이분이 제조해 주는 짜이 한잔. 차와 설탕, 그나마 좋은 설탕이라고 생각하면서, 그것을 완전히 섞기 위해 묘기를 부리듯, 높은 위치에서 차를 향해 떨어뜨리는 물에서 잔속의 차와 설탕은 완전히 하나의 짜이로 완성이 된다. 장인은 나이가 90세라고 한다. 아마도 이곳에서 이 일을 70년 가까이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많은 한국의 순례자들이 이 장소, 그리고 이분을 기억하는 것을 보면, 그러할 만한 맛의 짜이 한잔이라고 할 수 있다. 아쉽지만, 이곳에는 잠시 머무를 수밖에 없다. 밀려오는 사람 때문에 한잔을 마시는 것만도 호사스럽다.


KJW 0009-img-04.jpg


그리고 다시 걷기를 한다. 4시간, 조금 여유를 부리며 시간을 보낸다. 여행은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달려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어떻게 시간을 보내냐가 여행의 과정이기에 이렇게 4시간이라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루트가 반갑다.


아쉬람을 잠시 벗어나면 상점과 식당, 그리고 길거리의 과일이 우리를 한숨 돌리게 해준다. 눈에 들어온 건 2층에 위치한 ‘독일 빵집’이었다. 맛있는 빵과 커피, 그리고 우리에게 익숙한 음식이 여러 가지 있다. 서구인들이 이곳에 명상을 와 지내면서 향수병이라도 걸리면 들를 듯한 그런 맛과 멋이 있었다. 2층에선 아루나찰라 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근처에는 이처럼 외국인의 입맛에 맞는 카페와 레스토랑이 여럿 있다. 특히 익숙하게 마시던 커피가 생각나면 이곳들을 찾게 된다. 이렇게 카페가 있으니 아쉬람에서의 수행도 감내할 수 있을 것 같다.


KJW 0009-img-05.jpg



인도 명상 여행은 무엇인가?


어떤 사람은 수행을 경험하기 위해, 어떤 사람은 그저 휴식을 위해, 또 어떤 사람은 이전의 경험을 다시금 하기 위해 방문을 한다. 각자의 목적이 다르고, 때로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쉬기 위한 여행에 인도는 별로 어울리지 않을 것이다. 수행하기 위해 적잖은 돈을 들여가면서까지 인도로 올 필요가 있을까? 이전의 경험이 얼마나 좋았길래 다시금 이번 여행을 선택했나? 조금만 깊이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계속 나온다.


KJW 0009-title-01.jpg  수행의 경험?


분명 독특한 인도의 매력이 있다. 아쉬람 같은 수행처나 라마나 마하리쉬 (Ramana Maharshi) 같은 위대한 사상가의 가르침이 존재한다. 직접적인 체험은 분명 도움이 된다. 방문자들은 대부분 한 달 이상, 심지어는 1년 가까이 머문다고 한다. 1주일의 여행객이 도저히 알 수 없는 그런 매력이 따로 있을 것이다.


KJW 0009-img-06.jpg


KJW 0009-title-02.jpg  자유로움을 얻는 것?


이곳이 빈부격차, 신분의 격차가 심한 곳이기는 하지만 정작 인도 여행을 하다 보면 어떤 위치나 직위에 있는 사람도 평등함을 느낀다. 아쉬람 식당에서 바나나 잎 한 장에 주어진 식사를 손으로 보듬으면서 먹고 있는 유럽 귀족 같은 모습의 사람이나 하층민으로 여겨지는 가난에 찌든 인도인들이나, 심지어 길거리의 개나 소나 먹는 장면에서는 모두 평등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런 일차적 욕구의 해결로부터 다른 일상의 행동이 자유로워진다. 때로는 완전한 무질서이기는 하지만, 그 속에서 사람들은 거리낌 없는 자유로움을 느낀다.


KJW 0009-title-03.jpg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여유?


짜이 한잔에 10루피, 커피나 주스도 50루피 정도이니 한국 돈으로 200원에서 1,000원을 넘지 않는다. 제법 근사한 식당에서 먹어도 5,000원을 넘기 어려우니, 남에게 실컷 사주고 감사의 인사를 받을 수 있다. 따뜻한 마음을 벗에게 아낌없이 전달할 수 있다.


인도 명상 여행을 하다 보면 평소에는 만나기 어려운 사람들을 만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타로 마스터도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다. 인도를 온 목적이 일반적인 여행과는 다르기에 이런 전문가를 만나게 되고 또 같이 나누게 된 대화가 반갑다. 질문을 하나 던지고, 잠시 명상을 한 후 타로 한 장 (자신의 마음에 든 타로, 혹은 뒤집어 그림을 모른 상태에서 선택한 타로)을 꺼내어 자신의 느낌을 전하고, 마스터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과정으로 대화를 이어간다.


“나는 누구인가?” 아루나찰라의 라마나 마하리쉬가 던진 질문이다. 결국 나는 누구길래 이번 여행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자신의 마음에 드는 타로 그림 카드를 선택한다.


“인도 여행을 통해서 무엇을 얻고자 하였나요?” 여행을 처음 떠날 때의 마음을 다시금 돌아보고 선택한 타로를 통해 해석해 보는 것이다.


“인도 여행을 통해 무엇을 얻었나요?” 무엇을 얻었는지를 타로를 통해 확인하는 작업이다.


물론 답을 구하는 것은 아니다. 생각할 거리를 주고, 또 조금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는 하나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시금 생각해보고 마스터로부터 타로 적 입장을 통해 피드백을 받다 보면, 문제가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드러나 답을 향해 조금 더 나갈 수 있다.


아루나찰라의 일정을 마치고 첸나이 (Chennai)로 가는 길에 오르빌 (Auroville)과 폰디체리 (Pondicherry)를 들렀다. 명상 공동체 마을 오르빌, 영국 식민지 시절 프랑스가 점령했던 영화 “파이 이야기 (Life of Pi)"의 무대 폰티체리.

오르빌은 명상 마을이다. 가운데 마트리만디르 (Matrimandir)라는 명상 돔을 중심으로 타운이 둘러싸고 있다. 각 마을과 게스트하우스는 걷거나 자전거를 탈 수 있는 숲길로 촘촘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가와 명상 등 여러 프로그램이 열리고, 카페와 상점, 레스토랑이 곳곳에 있어 명상, 아니 휴양을 하기에도 최적의 장소인 듯하다. 짧은 시간을 머물렀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기운을 느낄 수 있다. 숲속을 미로 삼아 돌아다니는 것만으로도, 기회가 되면 명상 돔에서 제대로 된 명상을, 저녁 무렵이면 넓은 잔디밭에서 명상이라는 한 목적으로 음악을 들으며 명상을 하고, 또 늦은 시간까지 카페와 레스토랑에서 영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그야말로 일주일은 훅 보낼 수 있을 것 같다.


KJW 0009-img-07.jpg


폰디체리는 오르빌의 관문으로 과거 프랑스 점령 지역이어서 유럽풍의 길거리를 인도에서 만날 수 있다. 파이 이야기의 인도 무대로 인도양을 마주하고 있다. 오르빌에서 명상적 생활을 하다가 잠시 외도를 한다면 바로 이곳으로 와서 바다를 마주하며 맥주 한잔을 하고 싶다. 실제 인도에서는 술을 파는 곳과 아닌 곳이 명확하게 나뉘어 있는데 이곳에서는 맥주를 즐길 수 있다.


KJW 0009-img-08.jpg



명상 여행은 자신을 돌아보는 여행이다.


“나는 누구인가?”를 주제로 여행을 담아내는 작업이다.


불교에서는 공부하는 자세로 듣고, 생각하고, 실천하는 문사수(聞思修) 세 가지를 들고 있다. ​공부를 하기 위해서 첫 번째는 듣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생각해야 한다. 그다음 자신의 것을 만들기 위해 수행해야 한다. 이 문사수 가운데 특히 사(思)와 수(修)의 자세가 가득한 것이 명상 여행이다.


여행에서 돌아오면 조그마한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자유로운 영혼 가운데 있는 자신의 모습을 조금은 알게 된다.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