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이다.
모든 병은 인간의 본능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는 가운데 시작을 하며, 치유는 그 움직임의 첫 단추인 ‘걷기’에서 시작을 한다.
한의학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력을 극대화하여 고통과 질병에서 벗어나 건강과 행복을 찾아가도록 도와준다. 또한 한의사는 자연 현장에서 이러한 길을 인도하는 데 최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저자는 걷기 여행의 스텝으로 참여하여 트레킹을 인도하면서 걷기가 힐링을 위한 최고의 작업임을 확인하였다. 동반자와 함께 걸으며 명상을 할 수 있고, 상담을 해줄 수 있으며, 트레킹을 하면서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주고, 힘든 몸과 마음을 치료하며, 밤 시간 진정한 이완과 행복을 위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모든 역량을 가지고 있는 직업이 한의사다.
본 칼럼에서는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한다.
[경력]
- 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 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화병클리닉 담당의
- 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개발사업단 부단장
- 한방신경정신과학회장
- (사)한국명상학회 부회장

[저서]
- 2017 『마흔넘어 걷기 여행』
- 2016 『한의학상담』
- 2013 『화병 100문 100답』
- 2011 『기와 함께 하는 15분 명상』

김종우
김종우

걷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생명의 원동력입니다. 저의 경험을 토대로 걷기가 질병의 극복과 건강의 회복, 그리고 행복의 추구에 기여하는 바를 소개하고,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의사로서의 역할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프로필 바로가기

코로나19, 명상으로 마음 다스리기

 

KJW 0010-main.jpg



바이러스로 인한 인체의 질병은 명확한 신체 질환이다. 외부의 바이러스 침투에 대하여 인체가 이를 막지 못하면서 생기는 외부 원인에 의한 외인(外因) 질환이다. 그렇지만, 인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그저 무시하고 넘길 문제는 아니다. 인체는 신체적으로 외부 인자에 대하여 반응을 하고, 이어 면역력이라는 것을 통해 극복하려고 애를 쓴다. 때로는 이러한 노력이 증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지나치게 과도한 반응이 증상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바이러스를 향한 신체의 과도한 노력은 증상이 심해질 때 뚜렷하게 알 수 있다. 고열이 대표적인 현상으로 이 상태가 지속되면 도리어 인체의 다른 조직도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외인에 바로 맞닿아 있는 육체의 반응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음, 혹은 정신 역시 이와 같은 반응을 한다. 극복을 위한 노력도 하게 된다. 물론 정신의 과도한 노력은 신체의 과도한 노력처럼 마음을 더욱 힘들게 만들기도 한다. 심리적 저항이 과도하게 되면 긴장의 연속으로 이차적인 문제, 예를 들어 근육의 통증이나 고혈압, 때로는 불안을 견딜 수 없어 분노 폭발을 야기하게 된다. 결국 신체든 정신이든 적절한 노력으로 상황을 극복해야 다시 원래의 건강한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가게 된다. 그래서 신체나 정신이나 상황을 한 발짝 떨어져서 봐야 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정도의 스탠스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 다행스럽게도 자기 치유력이 존재하는데, 이 자기 치유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바로 적절하고 균형 잡힌 노력을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닐까 싶다.


코로나19에 대한 치료 가이드라인은 매번 버전을 바꿔가면서 나오고 있다. 한의 치료 가이드라인 역시 외부 자극에 대한 인체의 반응에 따른 치료 약물의 선택에 대한 안내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특히 인체의 반응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경우, 이에 대한 치료 약물의 선택 역시 명확할 수 있어 변증론치에 기반을 둔 치료 방법이 추천되고 있다.


마음 다스리기에서도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외부 자극은 하나라고 해도 인체의 심리적 반응은 시간 차이에 따라, 혹은 개인적 특성이 따라 다르게 표현이 되고, 그 차이가 명확할수록 그에 맞는 치료 방법이 권고될 수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명상의 방법으로 코로나19를 극복하는 마음 다스리기를 정서의 변화에 따른 단계에 맞춰 정리해 본다.


첫 반응은 불안이다. 불안은 현상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벌어지는 마음의 반응이다. 예측하기도 어렵다. 코로나19 첫 환자의 발생 이후 두 달 만에 전 세계적인 질병으로 전파될지 예측하지 못했다. 역시 앞으로 두 달 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도 모른다. 그런 불확실성이 불안을 유발하게 된다. 젊은 사람이나 기저 질환이 없던 사람의 사망 소식이 나온다면 불안은 더욱 커질 것이다.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 그리고 점점 나의 주위로 밀려오는 상황에서 불안은 증폭이 된다.


KJW 0010-title-01.jpg


마음이 불안하다면 집중명상을 통하여 이완을 만든다. 어떤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이 불안으로 벗어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집중명상이라고 한다. 호흡에 집중하는 것, 조금 더 쉽게 하기 위해서는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숫자를 셈으로써 호흡과 숫자 셈에 집중하는 것이다. 하나에서 열까지 세는 것의 반복, 혹은 작정하고 100까지 세어보는 것, 그리고 들숨과 날숨에 집중하면서 점점 편안해지는 것을 느껴본다. 10분 정도를 지속한다.


이제 마음속 한구석에서 분노가 싹트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미리 조치를 했으면 이 지경까지 이르지 않았을 텐데... 그 사람이나 집단만 아니었으면 지금쯤은 잠잠해졌을 텐데... 그리고 분노 역시 스트레스가 나의 주위로 다가오면서 더욱 커진다. 이런 것 하나 해결 못해서 하루 종일 줄을 서야 해... 도대체 학교 문은 왜 닫은 거야... 분노 역시 자신을 지키는 생존 본능에서 시작된 감정이다. 더구나 개인적인 문제에서 경제나 정치와 같은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면서 분노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


KJW 0010-title-02.jpg


분노에 싸여 있다면 그런 자신의 몸과 마음을 알아차림 해 봄으로써 통찰을 얻도록 한다. 분노한 자신의 모습, 신체의 증상이나 상황에 대하여 한 발짝 떨어져서 관찰해 보는 것이다. 분노로 인한 근육의 긴장이나 일시적인 혈압의 상승 등 신체의 증상은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안정이 될 수 있으며, 마음 역시 조절이 가능하다. 지금의 상황에서 내가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라면 최선을 다해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해결할 수 없는 문제라면 받아들인다. 분노는 수용과 용서, 그리고 이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불안과 분노가 시작이라면, 점차 우울과 무기력으로 빠지게 된다. 이미 바이러스의 공포는 턱밑까지 와 있고, 분노를 통한 해결은 난망하다. 더구나 사회적 단절이나 하던 일도 못 하게 되면서 그저 참고 견뎌야 하지만 그럴 힘이 점점 떨어지면서 우울해지고 또 무기력해진다. 이런 상태가 되면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 불안이나 분노일 때는 그나마 신체와 함께 저항했지만, 이 지경이 되면 마음이 신체와 함께 포기를 하게 되는데, 현격한 면역력의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식욕이 없고, 수면도 잘 취하지 못하고, 그야말로 바이러스에 속수무책인 상태로 빠져들게 된다.


KJW 0010-title-03.jpg


우울과 면역력이 문제라면 나에게 남아 있는 따뜻한 마음으로 면역력을 키우는 작업을 한다. 자신에 대한 애정과 타인의 고통에 대한 자비의 마음은 인간이 원래 가지고 있는 본성이다. 이러한 본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그 본성을 드러내서 확인하는 작업을 명상을 통해서 한다. 단지 “내가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를 읊조리면서 가슴에 여전히 따뜻한 마음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정서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작업은 정신에 적절하고 균형 잡힌 노력을 함으로써 몸과 마음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자기 치유력을 극대화하는 작업이다. 감정에 휩싸여 있거나 무력감에 빠져 있지 말고 코로나19의 극복을 위해 노력하자. 이는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일 뿐 아니라 고통 받고 있는 환자에게도 전할 수 있는 심리 방역의 하나이다.



© 김종우 교수의 명상. 걷기.. 여행... 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