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고창 운곡습지와 무샐러드

 

JTG 0041-main.jpg



전북 고창에 이런 습지가 있다는 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인간이 떠난 지 30년, 그 땅은 건강한 습지가 되어 있었다.



원자력발전소를 위한 저수지


고창의 호암마을에서는 여러 가지 체험이 가능한데, 그중 더덕주먹밥 만들기가 있다. 이 마을은 지금도 대부분의 작물을 자급자족하거나 나누며 살고 있는데, 전북 생태관광으로 호암마을을 찾으면 직접 재배한 여러 재료를 넣은 주먹밥이나 도시락을 싸 들고 트레킹에 나설 수 있게 제공한다. 호암마을 뒷산을 넘어가면 그곳에 운곡습지가 있다.


운곡습지는 전북 고창 운곡리와 용계리에 걸쳐있는 자연의 보고다. 운곡리는 아침저녁으로 구름이 끼는 곳이어서 그렇게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다. 용계리는 해발 340미터에 달하는 산이 하늘 위에서 보면 용이 구불구불 꿈틀대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이 일대에는 원래 여덟 개의 마을이 있었다. 그만큼 적잖은 사람이 살던 곳에 1981년 저수지가 조성됐다. 영광의 한빛원자력발전소를 만들면서 냉각수용 저수지를 이 자리에 만든 것. 오랜 시간 삶의 터전이었던 이 계곡은 삽시간에 비워지고 그 자리에 물이 들어차게 됐다.


JTG 0041-img-01.jpg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지금, 이 저수지 인근으로 습지가 만들어졌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습지는 2011년 한국에서 16번째로 람사르습지에 등록됐다. 람사르습지로 인정받았다는 건 그 정도로 많은 생명이 습지에 기대어 살고 있다는 뜻이다. 현재까지 864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을 뿐 아니라, 매년 새로운 종이 발견된다.


JTG 0041-img-02.jpg


습지는 자연이 얼마나 놀라운 회복력을 가졌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사람이 살던 자리에 철조망을 치고 사람의 발길을 막았을 뿐인데, 논으로 쓰다 버려둔 자리며 집이 있던 자리는 물이 가득한 습지가 됐다. 자연 그대로의 천이(遷移) 과정을 거치며 이전에는 상상도 못 했을 모습으로 변모했다. 이렇게 많은 습기가 다 어디에 있었던 건지 의아할 만큼 짧은 시간에 완벽한 습지의 모습을 갖췄다. 40년에 걸쳐 이루어진 이 놀라운 변화에 대해 자연관광해설사인 고광영 씨는 이렇게 말한다.


“습지는 사람의 몸과 똑같아요. 알면 알수록 놀랍습니다. 사람이 버리고 떠난 땅이 이런 습지가 될 거라고 누가 생각이나 했겠어요. 이토록 빠르게 자연의 모습으로 회복했다는 건 분명 큰 의미가 있는 거예요. 사람의 몸도 자연적인 치유력이 있잖아요. 하지만 아무리 뛰어난 치유력이 있다고 해도 관리하고 보존하지 않으면 망가지기에 십상이죠. 이 습지도 그렇습니다.”



자연의 힘을 보여주는 땅


고 씨의 설명에 따르면 이토록 짧은 시간에 천이 과정을 거쳐 습지가 형성된 케이스는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가 어렵다. 현재까지 조사된 바로는 운곡습지가 유일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아시아에서도 최초란다. ‘이토록 많은 습기는 대체 어디에서 생겨난 걸까?’라는 의문이 들 만큼 폭발적인 속도로 습기가 모여 물웅덩이를 만들었다. 사람이 살던 시절에는 이런 습기가 없었던 건지도 궁금했다. 고 씨의 말로는 아마도 예전에는 이 정도로 습기가 없었을 거란다. 사람의 생활양식을 유지하기 위해 습기가 모이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을 거라고 말했다.


원래 운곡습지 트레킹은 고인돌공원 방향에서 시작해 저수지 쪽으로 나가는 게 원칙이지만, 우리 일행은 반대로 저수지 쪽에서 들어와 고인돌공원 방향으로 나갔다. 이 경우 전기차를 타고 저수지 안쪽으로 한참을 들어와야 습지로 향하는 길에 발을 디딜 수 있다. 그 경계에 운곡습지 전반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전시관이 서 있다. 운곡습지를 처음 방문한 이라면 이곳을 먼저 둘러보는 것이 나을 수도 있겠다.


JTG 0041-img-03.jpg


JTG 0041-img-04.jpg


습지 트레킹 구간은 약 2킬로미터 정도로 이루어진다. 처음에는 저수지 곁의 산책로를 따라 걷다가 점점 습지 안쪽으로 들어가는 식이다. 겨울의 한복판이라 눈에 띄는 생명의 징후를 보기는 어렵지만, 이곳은 수달, 삵, 말똥가리,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등 쉽게 보기 힘든 동물의 안식처라고 한다. 나무에 달린 이파리마저 바삭거리며 부서지는 계절이 가고 가지마다 물이 올라 새순이 나오는 때가 오면 아마도 습지 인근에서 신기한 자연의 생태를 관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JTG 0041-img-05.jpg


운곡습지 트레킹의 절정은 습지 안쪽을 그대로 관통해 나아가는 데크 구간이다. 폭이 80센티미터쯤 되는 좁은 데크를 따라 앞으로 나아가며 습지대를 관찰하도록 해 두었다.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만큼 비좁은 데크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도 이곳의 생태를 유심히 엿볼 수 있다. 습지 안쪽에는 예전 사람이 살던 흔적이 꽤 남아있다. 층층이 나누어진 폐경지의 흔적은 누가 보아도 인간의 손길이 느껴진다. 물이 모여 형성된 습지에는 새 생명이 깃들었다. 시간을 두고 이곳을 찾아 이곳의 생태계를 지켜보는 재미도 쏠쏠할 법하다.


JTG 0041-img-06.jpg


JTG 0041-img-07.jpg



육즙 가득 떡갈비와 아삭한 무샐러드


정해진 여행 일정을 모두 끝내고 마지막 식사를 위해 인근의 퓨전 한식당 ‘마실’을 찾았다. 고창 사람들이 자주 찾는다는 이 식당의 외관은 평범해 보였지만, 음식은 무척 정갈한 편이다. 주력은 장어와 게장인 듯했지만, 기본 정식을 시키면 보쌈과 복분자 떡갈비가 메인인 한정식이 나온다. 메뉴판에는 가격에 따라 홍어삼합이 더해지거나 단호박 해물찜이 주요리로 더해지고 찬도 어느 정도 고정돼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계절에 따라 곁들여 내는 찬이 유동적으로 바뀌는 듯했다.


JTG 0041-img-08.jpg


트레킹 코스에서 시간을 많이 보낸 탓에 예약해 둔 시간을 훌쩍 넘기고서야 식당으로 들어섰다. 이미 한 상 가득 요리가 깔려 있다. 한눈에 봐도 이 집 주방의 솜씨가 보통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을 만큼 대체로 정갈하다. 이런 식당은 먹어 보지 않아도 그 맛이 얼마나 깔끔한지 짐작이 가능하다. 자리에 앉아 담겨 있는 전채 요리들을 살폈다. 연근 튀김, 잡채부터 두부피를 넣은 샐러드류, 메밀전병말이 같은 흔히 보기 힘든 것도 함께 상 위로 올랐다.


메인은 보쌈과 복분자 떡갈비. 아마도 복분자 양념에 잰 떡갈비를 구워낸 게 아닌가 싶다. 상차림의 주인공인 복분자 떡갈비부터 입에 물었다. 맛이 가장 궁금한 메뉴였다. 한 입 베어 무니 진한 육즙이 흘러나온다. 적당히 달고 적당히 짭조름한 간이 딱 좋다. 떡갈비는 특성상 조리 과정에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퍽퍽해지기에 십상인데, 이 집은 그런 면에서 후한 점수를 줄 만했다.


JTG 0041-img-09.jpg


약간은 간이 세게 느껴지던 된장찌개는 도리어 다른 반찬과 잘 어우러지면서 밥맛을 돋운다. 한 공기로 끝내려던 식사는 자꾸만 숟가락을 움직이면서 두 공기째로 이어졌다. 이 식당이 내준 반찬이 다 좋았지만, 그중에서도 무를 얇게 채를 쳐서 들깨 드레싱을 얹은 샐러드가 유독 눈에 들어왔다. 이게 무가 맞나 싶을 만큼 가늘고 얇게 채를 썰었는데 아삭한 식감이 씹는 재미가 있었다. 워낙 화려한 상차림에서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주메뉴의 뒤를 받쳐주면서도 나름의 존재감이 확실하다. 들깨 드레싱을 묻혀 먹어도 좋고 무만 따로 먹어도 무 특유의 단맛이 희미하게 배어 나와 좋았다.


JTG 0041-img-10.jpg


식사는 무척 만족스러웠다. 무엇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줘서 더 각별했다. 무샐러드에서 얻은 교훈이랄까. 고기 메뉴의 다소 묵직한 맛을 산뜻하게 되돌려 놓는 이런 찬 하나가 메뉴 구성에서 아주 중요하다는 걸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모든 것은 밸런스가 중요하다. 전북의 생태관광은 시작부터 끝까지 사람과 자연의 조화, 생태계의 조화, 식단의 조화까지 많은 것을 곰곰이 되짚어 보게 만드는 여정이었다.



JTG 0041-title.jpg


무는 식이섬유와 각종 무기질이 풍부해 소화를 촉진하는 천연 소화제다. 특히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해 내장 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아 준다. 또한,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와 지방 및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많아 소화불량 및 위궤양으로 인한 복통 등 소화기 관련 질환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고기를 먹을 때 무와 함께 먹으면 단백질을 분해해 소화를 돕는다. 아밀라아제는 음주 후 숙취를 일으키는 아세트알데하이드 (Acetaldehyde)를 배출시키는 기능도 있어서 전날 과음한 뒤에 무차를 마시는 걸 권할 만하다. 무의 리그닌 (lignin) 성분은 장운동을 활발하게 해 줄 뿐 아니라 노폐물을 배출한다. 비타민의 보고라고 할 만큼 다양한 비타민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서 활성산소 제거나 면역력 증진 등에 효과를 보인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