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대구 근대골목과 추어탕

 

JTG 0055-main.jpg



여행 이야기를 할 때마다 강조하는 게 있다. 대구는 결코 맛없는 도시가 아니라는 것. 대구에 경상도식 추어탕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구는 충분히 맛있는 도시다.



성의 동쪽으로 난 길


도시 여행이 좋은 이유는 편리한 교통이 있어서다. 굳이 차를 가져가지 않아도 이동에 큰 문제가 없다. 특히나 대구처럼 규모 있는 도시는 지하철을 따라 어지간한 곳은 다 다닐 수 있다. 동대구역에서 지하철을 타면 중앙로역까지는 불과 15분 거리다. 서울역에서 KTX 좌석에 앉은 지 불과 두 시간 남짓 지났을 뿐인데, 몸은 이미 중앙로역 복판에 서 있다. 역내 지도를 찬찬히 들여다보니 가고 싶은 목적지는 4번 출구에서 멀지 않았다.


이번 여행은 대구의 근대골목 투어다. 불과 10년여 전까지만 해도 대구를 여행지로 여기는 사람이 드물었다. 이유는 다양하다. 여름에 너무 덥고, 음식이 맛이 없고, 볼 게 없다는 얘기가 주를 이룬다. 물론 이 모든 이유는 선입견일 뿐이다. 여름에 덥긴 하지만, 대구의 음식은 대구만의 무언가가 있고, 이제는 근대골목이라는 대구의 역사를 보여주는 거리가 잘 정비돼 있다. 이것만으로도 대구를 여행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JTG 0055-img-01.jpg


근대골목이라는 이름만 들었을 때는 특정 구간의 골목 안쪽을 이야기하는 것인 줄로만 알았다. 대구에 와서 곳곳에 설치된 표지판을 보니, 근대골목은 단순히 하나의 골목을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된다. 대구에서 이야기하는 근대골목이란 근현대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중앙로 일대의 모든 곳이었다. 이제는 이 길을 따라 걸으며 그 골목 안에 감춰진 이야기를 찾아다니는 근대골목 투어도 만들어져 있다. 이는 대구에 사는 이에게는 자부심을 되찾아 줄 콘텐츠일 것이고, 대구로 여행 온 사람에게는 숱한 이야기를 간직한 보물창고와도 같은 것일 테다.


대구에서 ‘동성로’라는 이름은 번화한 젊음의 거리와도 같은 의미다. 밤낮 할 것 없이 대구의 트렌드를 이끄는 모든 것이 이 거리에 모여 있다. 아무도 그 이름이 가진 의미를 주목하지 않았다. 동성로는 그저 동성로일 뿐이었고, 대구의 중심부 어딘가에 있는 거리에 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근대골목을 따라 걷다 보면 비로소 깨닫게 된다. 동성로라는 이름은 성의 동쪽 길이라는 의미였음을. 당연히 북성로와 남성로도 존재한다는 걸 거리에서 배운다. 여행이란 이렇듯 새로운 무언가를 공부하는 시간이어서 좋다. 끊임없이 여행길을 오르고 가보았던 곳을 다시 찾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JTG 0055-img-02.jpg


중앙로역 4번 출구로 나와 곁으로 난 길을 따라 조금만 내려가면 멋들어진 건축물을 만난다. 경상도 일대의 정치, 경제, 사법, 행정, 교육, 문화 등 모든 것을 총괄하던 자리가 바로 이곳이다. 선조 34년인 1601년에 설치된 경상감영이 여기에 있었기에 400년간 대구는 한강 이남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 한반도 남부의 중심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고 전한다. 경상감영 터를 중심으로 이 일대에는 총 5개의 근대골목 코스가 만들어졌다.


JTG 0055-img-03.jpg



한반도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


경상감영에서 시작해 달성토성까지 이어지는 1코스부터 선교사들이 활동하던 동네에서 대구화교소학교까지 이어지는 2코스, 서문시장에서 대구읍성을 휘돌아 걷는 3코스,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서 봉산문화거리를 지나 건들바위까지 찾아가는 4코스, 샬트르성바오로수녀원에서 반월당을 잇는 5코스까지. 각 코스의 규모도 규모거니와 각각의 특징이 남다르고 여기에 스며든 옛이야기도 서로 다르다. 이번에는 욕심을 버리고 대구의 중심에 자리한 2코스만 살피기로 했다.


코스의 시작을 대구화교소학교 인근부터로 잡으면 훨씬 수월하겠지만, 굳이 언덕을 올라 선교박물관이 있는 곳으로 향했다. 동산 선교사 사택이라 불리는 청라언덕이다. 이곳에 근대의 의료시설인 제중원이 들어섰고, 선교사들도 여기에 자리를 잡았다. 당시의 사택 두 동이 지금도 남아서 이 언덕에 묘한 감흥을 더한다. 전형적인 서양식 사택이다. 대구읍성의 성돌을 가져와 기초로 삼았다는 스윗즈 사택은 전망 좋고 볕도 잘 드는 곳에 앉았다. 지금은 연인들이 길을 걷다 사택 바로 앞에 마련한 벤치에 앉아 쉬어가는 산책 명당이다. 그 바로 옆에 대구에 최초로 들어온 사과나무 기념비가 있다. 1899년 동산의료원을 개원하던 당시 미국에서 들여온 한국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인데, 이 나무에서 비롯한 것이 바로 능금이다. 지금은 자손 목이 남아서 그 맥을 잇는다. 대구를 대표하는 과일로 사과나무를 거론하게 된 것은 불과 100년 전 이곳에서 시작한 것이다.


JTG 0055-img-04.jpg


대구에서 이 언덕은 또 하나의 큰 의미를 지닌다. 이곳에서 대구의 3·1운동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청라언덕에서 중앙로 방향으로 내려가는 계단은 당시 일제의 감시를 피해 대구의 학생들이 거사를 꾸미던 피신처이기도 했다. 이제는 그 길이 3·1운동길로 지정돼 있다.


대로를 건너면 일제강점기 36년 동안 독립을 위한 염원과 저항으로 생을 보낸 위인의 흔적을 만나는 구간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썼던 이상화 시인의 가옥과 국채보상운동을 이끈 서상돈 선생의 가옥은 바로 곁에 이웃해 있다. 아파트로 둘러싸인 안에서도 아직 그네의 흔적이 지워지지 않고 남았으니 다행이다. 뉘엿뉘엿 저물어 가는 석양이 이상화 시인의 가옥 안으로 하루의 마지막 햇살을 비춘다.


JTG 0055-img-05.jpg


JTG 0055-img-06.jpg



올해 마지막 추어탕


11월에서 12월로 넘어가는 시기 즈음이면 대구에서 꼭 들르는 식당이 있다. 동성로의 구석진 좁은 골목에 있는 상주식당이다. 이제는 이 집도 꽤 유명해졌다. 60년이라는 긴 세월을 한자리에서 보낸, 대구를 대표할 만한 노포로 여기저기에서 제법 소개를 했다. 이 집을 대표하는 메뉴는 추어탕이다. 추어탕이 그리 대단한 메뉴도 아닌데, 구태여 대구에서 이 집까지 찾아갈 필요가 있느냐고 묻는다면 단호하게 대답하겠다. 아직도 다녀오지 않았다면, “꼭 가야 한다.”라고. 그래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곳이 경상도식 추어탕의 진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JTG 0055-img-07.jpg


우리가 흔하게 먹는 추어탕은 대체로 남원식이나 서울식, 혹은 원주식이다. 걸쭉한 어죽을 연상시키는 남원식이 흔하고, 미꾸라지를 통으로 넣기도 하는 서울식은 이제 서울에서도 몇몇 집에서나 만날 수 있다. 미나리를 넣고 강된장을 풀어내는 원주식도 근래에는 비교적 흔해졌다. 어디 방식이냐를 따지는 게 한편으로는 무의미해지기도 했다. 예전에야 지역별로 추어탕 끓이는 방식이 차이가 났지만, 이제는 각자 더 맛있는 조리법을 찾아서 뒤섞다 보니 지역의 차이를 찾기가 어려워져서다.


이 집의 존재가 반가운 건 그래서다. 언제 찾아가든 경상도식 추어탕만이 가지고 있는 유순한 맛을 보여준다. 경상도 음식이 자극적이라는 말은 이 집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경상도식 추어탕은 대체로 우거지나 시래기를 넣고 미꾸라지 대신 잡어를 넣기도 한다. 뽀얀 국물이 속을 살살 달래주는 듯한 그 느낌은 경상도 음식에 대한 편견을 산산조각 내어 버린다.


이 추어탕을 위해 주인장은 이른 새벽부터 배추를 씻고 다듬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다. 그가 얼마나 부지런한 성정을 가진 사람인지는 반질거리는 한옥의 마루를 보면 안다. 그토록 많은 이가 오가는데도, 구석진 곳까지 허투루 낡은 모습을 찾기 어렵다. 오래된 집이어도 주인이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걸 이 집에서 느낀다. 음식의 맛 역시 주인의 성정이 그대로 느껴진다. 부산에서 우연히 먹었던 경상도식 추어탕도 좋았지만, 이곳의 유순한 맛은 따라가지 못했다. 자꾸만 생각나고 그래서 또 찾는 집인 이유다.


JTG 0055-img-08.jpg


아쉬운 건, 매년 12월부터 이듬해 3월 초까지 가게의 문을 걸어 잠근다는 점이다. 이 한 그릇은 어쩌면 코끝이 빨갛게 시린 겨울날 더 어울릴 법도 한데, 겨울에는 장사를 하지 않는다. 상식적으로, 논농사를 마친 논바닥에서는 더 이상 미꾸라지를 잡지 않는다. 물론 양식이 있지만, 굳이 양식을 쓰면서까지 겨우내 장사에 목매지 않는다. 또 다른 이유는 맛있는 고랭지 배추가 나오지 않아서다. 역시 제대로 된 식자재가 없으면 음식을 내지 않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아쉽지만, 이런 마음가짐이 음식을 만들어 파는 이의 모범이어야 한다. 그걸 수십 년째 지키는 용기가 있는 집이기에 그 맛도 고스란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일 테다.


그런 곳이기에 11월 말이면 대구 여행을 고민하고, 대구를 찾으면 응당 이 집의 문턱을 넘는다. 그해의 마지막 추어탕을 앞에 놓고, 한편으로는 아쉬워하며 또 한편으로는 순하디순한 그 국물에 감탄하면서 뚝배기 한 그릇을 말끔하게 비운다. 그리고 이듬해 3월을 기다리기 시작한다. 이것이 비단 나만의 마음은 아니다. 11월이면 바글바글하게 상주식당을 찾는 그 많은 사람이 모두 그런 마음이다. 종교의식처럼 소중한 이 한 그릇을 받기 위해, 내년에도 나는 대구를 찾을 것이다.


JTG 0055-img-09.jpg



JTG 0055-title.jpg


미꾸라지는 농사가 끝나는 시기에 기력을 회복하고 원기를 보충하는 보양식으로 인기를 끌던 식재료다. 불포화지방산과 단백질, 각종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해 자양강장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우유보다 7배나 많은 칼슘이 있고, 칼슘의 체내 흡수를 촉진하는 비타민 D 역시 많아서 뼈 건강을 위한 최고의 식품이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고 혈관 내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해 혈액순환을 돕는다. 끈적이는 점액질의 뮤신 (mucin)은 위의 점막을 보호하고 소화를 도와주는 효소다. 위궤양이나 위염 등 위 질환을 예방하는 데 좋다. 또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DHA 성분이 많아 두뇌 발달에도 효과적이며 비타민 A가 많아 눈 건강에도 이롭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