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서울 진관사와 엔초비 새우 파스타

 

JTG 0057-main.jpg



한 해의 끝과 시작. 나이가 든다는 게 때로는 헛헛하기도 하고, 생각도 깊어진다. 정리가 필요할 때마다 북한산을 즐겨 찾는다. 서울 은평구의 오솔길 안쪽에 자리한 진관사. 몇 번을 다시 와도 좋은 마음의 숲이다.



수륙재를 지내던 왕실의 원찰


숲이 좋은 건 시시때때로 다른 얼굴을 하고 있어서다. 계절에 따라, 날씨에 따라 다른 옷과 표정을 하고 손을 맞는다. 어제 보았던 풍경과 오늘 보는 모습이 다르다. 이날은 새벽부터 함박눈이 내렸다. 햇살에 녹은 눈이 반짝인다. 입구에서 사찰까지 이어지는 오솔길 곳곳이 하얗게 쌓인 눈으로 불과 며칠 전과는 또 다른 자태를 보여준다. 평안을 느낀다. 언 땅일지언정 밟는 흙은 늘 폭신하다. 작은 계곡의 물소리는 귀를 통해 마음을 울린다. 멀리서 들려오는 목탁 소리와 염불 소리를 따라 사찰 경내로 들어간다. 지난 만남에도 그랬듯, 질소(質素)의 삶에 대한 편안함으로 이내 깊이 빠져든다.


JTG 0057-img-01.jpg


JTG 0057-img-02.jpg


진관사는 동쪽의 불암사, 남쪽의 삼막사, 북쪽의 승가사와 더불어 서울 인근의 4대 명찰로 손꼽힌다. 고려 현종 원년(1010년)에 진관 대사를 위해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조종선령(祖宗仙靈)과 순국충열(殉國忠烈)을 위한 수륙대재를 지내던 왕실 원찰이었으니 그 위세와 자태는 상상 그 이상이었을 것이다. 수륙재를 지내는 사찰이라는 말은 흘려들을 게 아니다. 수륙재는 세상의 모든 존재를 위로하고 부처의 세계인 도솔천에 들도록 기원하는, 불교의 가장 복잡하고 규모가 큰 의식이다. 25개의 불단을 쌓고 공양물을 풍성하게 차려 25가지 의식을 치르니 종합예술에 가깝다. 유네스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영산재도 수륙재의 일부다. 예전에는 최소 이레에서 열흘 동안 지냈다고 하니, 그 규모를 짐작하기 어려울 만큼 규모가 큰 국가적 행사였다. 그만큼 큰 행사를 주도하던 절이기에 진관사는 음식에 일가견이 있는 사찰이다. 특히 두부를 만들어 진상하는 조포소로 이름이 높았다. 지금도 진관사의 장맛은 일품이다.


JTG 0057-img-03.jpg


오랜 고찰이지만, 아쉽게도 시간의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 전쟁 당시 공비소탕 작전으로 한 차례 잿더미가 되어버린 탓이다. 대신 재건 과정에서 쏟아부은 정성이 곳곳에서 엿보인다. 옛 왕실 원찰의 위상을 최대한 되살리려 애쓴 손길이 건물의 선과 선에, 전각의 머리에 얹은 청기와에 정갈하게 남았다.


JTG 0057-img-04.jpg


JTG 0057-img-05.jpg



눈과 함께 녹아내린 잡념


절 구석구석을 찬찬히 서성인다. 머릿속을 독차지한 온갖 생각의 파편은 숨을 들이마시고 내쉴 때마다 잘게 부서지며 흩어졌다. 마음을 뒤숭숭하게 흔들어 놓은 그 많은 생각도 흘려내고 보면 별것 아닌 경우가 많다. 호흡의 체에 걸러 내리고 또 내리면 남아 있는 건 많지 않다.

“혼자 오셨나 봐요?”

마당을 종종걸음으로 오가던 스님이 말을 걸었다. 미소를 지으며 합장 인사를 보낸다.

“생각이 많아서 이 절에 털어버리려고 왔어요.”

“잘 오셨네. 눈도 내렸겠다, 저 눈 위에 싹 털어버리고 가요. 같이 녹아 버리게.”

둘이 함께 깔깔 웃었다. 그러고 보니 오늘따라 눈이 빨리도 녹는다. 기와를 따라 후드득 눈덩이가 쏟아졌다. 잡념과 망상을 털어버리고 가기 딱 좋겠다. 웃고 나니 마음이 환하다. 몇 마디를 더 건네며 함께 걷던 스님은 다시 합장을 한다.


JTG 0057-img-06.jpg


“얼굴 보니 벌써 다 비워버리셨나 보네. 마음이라는 게 한순간만 지나고 나면 금세 달라져요. 자주 오세요. 생각은 얼마든지 버리고 가시되 쓰레기만 버리지 마시고요.”

스님은 시종일관 유쾌했다. 마지막까지 한결같다. 스님과 짧은 대화를 나누고서야 비로소 마음이 가벼워졌다. 그제야 절 안의 다른 사람들이 눈에 들어온다. 돌탑을 쌓는 사람, 삼삼오오 이야기를 주고받는 사람, 절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 모두의 표정과 몸짓에서 마음의 평안을 읽는다. 이 산사의 밖으로 콘크리트의 숲이 이어지고, 각자의 고뇌와 마음의 짐을 쌓아두고 사는 세상이 있다는 게 믿어지지 않을 만큼 청정무구한 풍광이다. 이 얼마나 큰 혜택인가. 자연과 인간이 서로를 받아들여 어우러지는 아름다움. 그리고 그 안에서 마음을 쉴 수 있다는 것.


JTG 0057-img-07.jpg


사람들이 세워둔 돌탑 곁에 나의 탑을 세운다. 작은 돌을 찾아 하나씩 쌓아 올렸다. 바라는 건 많지만 되도록 바라는 것을 담지 않기로 했다. 마음의 숲에서 마음 비우는 법을 배웠으니, 탑을 쌓으면서도 담지 않아 가벼울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추고자 했다. 오래지 않아 그럴듯한 탑 하나가 완성됐다. 그 안에 담은 것이 없으니 누군가 저 탑을 무너뜨린다 해도 하나 아쉽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그래서 더 오래가는 돌탑이 될지도 모른다. 이런들 어떠하고 저런들 어떠한가. 골짜기로 불어온 바람이 제법 맵싸하다. 절 저편으로 눈 덮인 산세가 더해져 멋진 한 폭의 그림을 완성한다.


JTG 0057-img-08.jpg



광고계 대부의 인생 3막


마음의 짐을 내려두었으니 이번에는 몸의 허기를 채워줘야 할 차례다. 은평한옥마을 대로변에 선 모던한 외관의 빌딩. 한옥을 모티브로 직선과 곡선의 미를 잘 살린 이곳에 레스토랑 ‘1인1상’이 있다. 이곳에 들어서면 상 위에 올려둔 수십 개의 소반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골동품 가게에서나 볼 법한, 이제는 우리 삶에서 영영 멀어진 물건을 이곳에서 만난다.


JTG 0057-img-09.jpg


한국의 식사문화는 지금처럼 한 상에서 음식을 나눠 먹는 게 아니었다. 각자 소반 위에 차려낸 음식을 먹는 게 보편적이었다. 소반은 한옥의 특성상 주방과 밥을 먹는 공간의 거리가 멀어 음식을 운반하기에 유용했고, 적당한 높이로 밥상의 역할을 겸할 수 있었기에 널리 애용했다. 심지어 거지가 밥 빌러 와도 소반에 한 상 차려주는 게 우리네 인심이었다. 이런 문화는 고구려 시대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천년 넘도록 이어진 문화인데, 불과 몇십 년 사이에 한반도에서 그런 문화가 말끔히 지워져 버렸다.


이곳을 운영하는 배윤목 대표는 한국 광고계에 굵직한 한 획을 그은 인물이다. 제일기획을 거쳐 SK M&C의 ECD(Executive Creative Director)를 역임했다. 그는 한옥을 좋아하고 한옥에서 거주한다. 모든 공간은 어울리는 물건이 따로 있는 법. 한옥에 사는 사람에게는 한옥에 어울릴 물건이 자꾸 눈에 밟혔을 것이다. 배 대표에게 소반이 그랬다. 실제로 소반을 쓰면서 느끼는 바가 있었다. 인스턴트커피를 내주어도 소반에 올려서 내주면 그걸 마시는 손님은 인스턴트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소반 하나에 인식이 달라지는 경험. 손님을 대접한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된 계기였다.


JTG 0057-img-10.jpg


그런 경험을 더 많은 이에게 전하고 싶어서 만든 공간이 1인1상이다. 요식업을 잘 몰랐기에 거침없이 도전할 수 있었고, 한국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보여주고 싶어서 소반을 비롯한 모든 식기를 전통 공예 작가의 작품으로 채웠다. 1인1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반은 양병용 작가의 물건이다. 음식을 담아내는 그릇은 김상인 작가의 것이고 젓가락은 최성우 작가가 만들었다. 번듯한 전시품이 아닌 실생활에서 본래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게 되었기에 작가들 역시 이곳의 출현을 무척 반가워했다.


JTG 0057-img-11.jpg


레스토랑에 왔으니 이곳의 맛을 보지 않고 지나칠 수는 없다. 소반 위에 엔초비 새우 파스타가 놓였다. 오징어 먹물로 만든 면과 꾸미로 올라간 해물이며 채소의 알록달록한 색감이 잘 어우러진다. 새우는 탱글탱글한 탄력이 살아 있고, 곳곳에 숨어 있는 케이퍼가 입안에서 터지며 새콤한 산미를 더했다. 전체적으로 엔초비의 짭조름함과 고소한 맛의 밸런스가 훌륭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소반 위에 파스타를 올려 먹는 경험이 가장 이색적이다. 마치 고궁에서 즐기는 오페라처럼. 동양과 서양이라는 서로 다른 두 세계가 1인1상의 소반 위에서 멋진 조화를 이룬다.


JTG 0057-img-12.jpg



JTG 0057-title.jpg


새우는 타우린과 아미노산 성분이 풍부하다. 타우린 (taurine)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고지혈증, 심근경색 등을 예방하거나 개선한다. 또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셀레늄 (selenium) 성분이 있어 세포막과 DNA에 손상을 입히는 물질을 파괴하여 노화를 지연해 준다. 새우에 든 아스타크산틴 (astaxanthin)에는 비타민 E가 많아 망막세포의 산화 반응을 억제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