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남해 양떼목장과 단호박카스테라

 

JTG 0065-main.jpg



일주일에 두세 번씩 학교 갈 때가 아니면 내내 집에만 콕 박혀 지내던 아이들이 성화를 부렸다. 여행이 고프다고. 그래서 최대한 안전하게 여행을 하자며 집을 나왔다. 미안하지만 올해도 남해다.



섬 속에 양떼목장?


어쩔 수 없다. 바이러스는 잊을 만하면 또 고개를 내밀고, 잡히나 싶으면 금세 다시 기승을 부린다. 집 밖을 나서는 것조차 조심스러운 마당에 여행을 떠나야 하니 선택지가 마땅치 않다. 그나마 남해에 고향집이 있으니 이게 어딘가 싶기도 하다. 다른 사람과 마주할 일 없고, 봄은 봄대로 만끽하기에 나름 최선의 선택지다.


그런데 아내가 또 무언가를 찾아왔다. 남해에 양떼목장이 있으니 한번 가보자는 거다. 금시초문이다. 1년에 못해도 두세 차례는 다녀오는 곳인데, 하물며 산세가 죄다 험상궂은 섬에 양떼목장이라니. 목장을 하려면 제법 너른 대지가 있어야 할 텐데 이 섬 어디에 그런 곳이 있단 말인지. 남해를 아는 이는 고개를 갸우뚱할 일이지만, 허, 참. 있었다.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그런 곳이 있었다.


JTG 0065-img-01.jpg


남해대교가 지척인 설천면 한 귀퉁이였다. 노란 유채꽃이 눈부시게 산들거리는 들판을 지나 산속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한참을 달렸다. 이정표가 나온다. 심지어 위아래로 목장이 두 군데나 있다. 아래에는 인자한 할아버지 할머니가 운영하는 곳, 위는 세련된 감각이 돋보이는 곳이란다. 곁으로는 꽤 넓은 편백 숲까지 있다. 다행히도 여행을 나온 인파가 많지는 않으니 소원대로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기로 했다.


JTG 0065-img-02.jpg


입장권을 사니 바가지에 사료를 담아서 건넨다. 성인 9천 원, 아동 6천 원. 그 안쪽으로 눈부시게 파란 초원이 펼쳐졌다. 무려 33만 제곱미터 (약 10만 평)이다. 눈이 휘둥그레졌다. 남해에 이런 곳이 있구나. 아이들은 차만 멈추면 곧장 튀어 나갈 기세다. 텐션은 입장권을 끊는 순간부터 이미 풀로 올라온 상태. 너희가 이런 게 그리웠구나. 한편으론 미안한 감정도 올라왔다. 하지만 어쩌겠니. 시국이 이런 걸. 오늘만큼은 실컷 놀아라.


JTG 0065-img-03.jpg


주차하는 사이 아이들은 이미 사라졌다. 털이 복슬복슬한 양에게 사료를 주느라 정신이 없다. “바가지를 통째로 내밀면 안 된다. 양들은 욕심이 많아서 한 번에 다 먹어 버리니까 아껴서 줘야 해.” “네!” 대답은 하는데, 듣는 건지 마는 건지 시선은 온통 양에게 꽂혔다. 그러나 그런 아이들의 관심을 일순간 집중시키는 주인공이 나타났으니, 아기 양이다. “매에~ 울면서 다가오는 아기 양에게 두 녀석의 손 위에는 이미 푸짐하게 사료가 올라있다.


JTG 0065-img-04.jpg  JTG 0065-img-05.jpg



엄마 양과 아기 양


아기 양은 사료를 좀 먹나 싶더니만 우렁차게 다시 울어 버린다. 왠지 서럽게 들리기까지 할 정도로. 그러자 멀리서 “매에~” 하는 엄마 양의 소리가 들렸다. 엄마를 찾는구나. 그러고 보니 둘 사이에 담장이 쳐져 있다. 왜 엄마와 아기를 떨어뜨려 놓았을까. 이유가 있었을 텐데 이유를 알 수 없는 이는 안타깝기만 하다. 서로를 찾는 울음소리가 어찌나 구슬픈지 듣는 사람 가슴이 다 미어진다.


그때였다. 엄마 양이 풀쩍 뛰더니 산책로 쪽 담장을 넘어 버렸다. 세상에, 양이 저렇게 잘 뛰는 동물이었구나. 그리고 생각했다. 담장은 사실 큰 의미가 없구나. 엄마 양은 이내 아기 양에게 다가갔지만, 담장을 하나 더 넘어야 했는데, 하필 산책로 쪽이어서 훨씬 높았다. 이번에는 무리였는가 보다. 엄마 양은 몸을 틀어 담장 사이로 몸을 붙였다.


그러자 아기 양이 그 좁은 사이로 젖을 찾아 간신히 빨기 시작했다. 주변에선 이구동성으로 “아이고” 하는 탄식이 흘렀다. 다시 생각했다. “저렇게 떨어뜨려 놓은 건 이유가 있을 거야.” 안타깝지만, 엄마 양을 들어서 담장 너머로 옮겨주기에는 용기가 부족했다. 그러기엔 몸집이 지나치게 무거운 듯했고, 결정적으로 양이 해코지하는 줄 알고 들이받지 않을까 무섭기도 했다. 아기 양은 그 좁은 담장을 두고도 사력을 다해 젖을 빨고 있었다. 계속 지켜보고 있자니 왠지 미안하기도 하고 그 광경에 마음이 아파서 몸을 돌려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겨버렸다.


JTG 0065-img-06.jpg


목장에는 곳곳에 아름다운 풍경이 많아 다행히 금방 그 모습은 관심에서 비켜나 버렸다. 완연한 봄날의 목장은 따뜻했다. 새로 돋아난 이파리는 마치 봄의 단풍처럼 나뭇가지를 치장했고, 그걸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감정으로 가득 차는 기분이었다. 무엇보다 남해의 양떼목장은 초원 너머로 파랗게 펼쳐지는 바다가 보이는 게 무척 이색적이다. 마치 알프스 어딘가의 목장과 푸른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느낌이랄까. 이질적일 것 같은 두 풍경은 생각보다 굉장히 잘 어우러져 감탄을 자아낸다. 그것도 꼭 봄이어서 더 아름다운 듯했다.


JTG 0065-img-07.jpg


목장의 한쪽에는 보기 드문 백사슴 무리도 있다. 원래 그런 종인 건지 모든 사슴이 다 하얀 빛깔을 뽐낸다. 눈앞에서 보는 사슴의 뿔은 또 얼마나 멋진지. 커다란 사슴의 눈과 멋들어진 뿔이 시선을 압도한다. 그 뒤로는 알파카도 있어서 아이들에게는 동물원 못지않은 신기한 여행지인 셈이다. 다만 알파카는 확실히 사슴에게 서열을 정리당한 듯 보였다. 아무리 사료로 꾀어도 좀처럼 다가오지를 못하니 말이다.


JTG 0065-img-08.jpg



잔향이 그윽한 단호박카스테라


목장에는 드럼통으로 만든 기차도 있다. 그걸 트랙터가 끌고 다닌다. 시간이 되면 종을 치기도 하는데 정말 유럽의 어딘가를 온 것만 같다. 목장의 규모가 제법 큰 편이라 백사슴 무리까지 보고 오면 제법 지친다. 정말 정확히 당이 딸린다는 생각이 간절해진다. 양 떼가 사료를 먹느라 핥아서 끈적해진 손도 씻을 겸, 매점으로 갔다. 커피며 아이스크림, 슬러시 같은 먹거리를 파는데 한쪽에 단호박 카스테라가 눈에 들어왔다. 남해 하면 마늘 혹은 유자를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사실 단호박도 남해에서 나는 특산물 중 하나다.


“남해에서 키운 단호박으로 만든 건가요?”

“네, 남해가 단호박도 유명하거든요.”


마침 단 것이 필요하기도 하고 궁금증도 일었다. 카스테라는 목장을 찾아온 이들을 위해 먹거리를 고민하던 차에 직접 개발했다고 했다. 그렇다고 직접 대량 생산을 하기는 어려우니 남해읍의 제빵소에 위탁해 만든 것을 가지고 온다. 모양은 사실 많이 투박하다. 그래서인지 좀처럼 카스테라를 집는 이는 눈에 잘 띄지 않았다.


JTG 0065-img-09.jpg


카스테라를 들고 테라스에 앉았다. 카스테라를 한입 물고 우물우물, 커피를 호로록. 달다. 단 것이 들어오니 세포 하나하나가 펑펑 소리를 내며 깨어나는 것만 같았다. 처음에는 단호박이 들어간 건지 잘 구분이 가지 않았지만, 녹듯이 사라져버린 그 뒤에 스며들 듯이 코끝으로 단호박 향이 올라온다. 향긋함이 기분을 돋운다. 카스테라 사이사이에 갈아서 넣은 단호박의 초록빛 잔해가 보인다. 혹여라도 이물질인가 우려하시는 분들은 걱정을 내려놓으시라. 비록 보기에 투박해도 안심하고 먹어도 될 만큼 신경 써서 만든 티가 역력하다. 카스테라는 달고 햇볕은 따스한 4월의 어느 날. 테라스 뒤로는 파란 바다, 눈앞으로는 파란 초원. 아, 오길 잘했다. 그야말로 봄, 봄, 봄이다.


JTG 0065-img-10.jpg



JTG 0065-title.jpg


단호박은 애호박과 늙은호박에 비해 베타카로틴 (β-carotene)이 10배 이상 풍부하다.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 (carotinoid)의 일종인 베타카로틴은 세포 손상을 방지하고 심혈관 질환의 요인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당뇨에도 좋고,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 예방을 돕는다. 체내 독소를 배출하여 염증을 완화하고 암세포의 진행을 막아주는 기능도 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