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남해 섬이정원과 전복내장파스타

 

JTG 0065-main.jpg



봄에는 참 갈 곳도 많고 볼 것도 많다. 그중에서도 최고는 역시 꽃구경이다. 남해에 꽃구경하기 좋은 작고 예쁜 정원이 생겼다.



서로 다른 매력 가득한 9개의 정원


경남 남해라는 섬은 크게 두 덩이로 나뉘어진다. 하동에서 남해대교로 들어가는 쪽과 사천의 삼천포대교를 거쳐서 들어가는 쪽. 양쪽 모두 여행자가 선호하는 여행지가 많은데, 남해에서 가장 깊숙한 지역인 남면에도 제법 돌아볼 곳이 많다. 곳곳에 숨어 있는 여행지가 많아서 어디를 가야할지 망설여질 정도다. 그렇지만 적어도 봄에는 섬이정원을 우선 순위로 고려해 볼 만하다.


섬이정원은 고동산을 휘돌아가는 도로 한쪽의 샛길을 통해 들어간다. 고동산 안쪽 깊숙한 곳에 마치 비밀의 정원처럼 꾸며져 있다. 들어가는 도로가 그리 친절한 편은 아니다. 아무래도 사유지를 개발해서 만든 곳이다 보니 진입로까지 완벽하다고 말하기에는 어렵다. 마주 오는 차량을 조심하면서 천천히 숲길을 따라 들어가다 보면 마침내 숨어 있던 비경이 모습을 드러낸다. 이곳은 유럽식 정원을 표방한다. 남해는 전역에 걸쳐서 다랑이논이 발달해 있다. 원체 산지가 험한 지형인 터라 산지를 개간해야만 했고, 그래서 어디를 가나 다랑이논이 있다. 섬이정원은 산의 속살 깊은 곳에 있던 다랑이논을 이용해서 정원으로 꾸며 놓은 곳이다.


JTG 0065-img-01.jpg


솔직한 첫인상은, 음, 그저 그랬다. 주차장에 차를 댈 때까지만 해도 굳이 이런 곳까지 힘들게 들어와야 하나 싶었다. 최근의 여행지가 부각되는 과정이 대체로 그렇듯, 이곳 역시 인스타그램용 사진 스폿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꽃이 많고, 산책로를 따라 구경하는 정원이 어디 한두 군데인가 말이다. 그런데 조금 걸어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속으로 ‘좋다!’는 생각이 절로 일었다.


오래된 돌담과 연못을 그대로 살렸고, 다양한 초본과 억새를 이용해 정원을 꾸민 감각이 보통을 넘어선다. 모두 9개의 작은 정원이 마치 방처럼 나누어져 각각의 개성을 드러내는 식이다. 튤립을 비롯해 수선화, 라벤더, 꽃창포, 양귀비가 만발해 있고, 그 곁으로 이름 모를 야생화까지 한데 모였다. 꽃은 그 자체로 아름답다. 같은 종의 꽃이 모여 앉으면 군락 자체가 또 다른 꽃이 되고, 서로 다른 종이 섞여 있으면 어떤 예술작품을 가지고 와도 비할 수 없을 그림이 된다. 더구나 온갖 꽃이 각자 자기만의 매력을 드러내려 치열하게 경쟁하는 봄이다. 봄의 한가운데다. 꽃밭에 서서 그 봄을 눈으로 담고 가슴으로 머금는다. 봄을 그리 보내기에 이 비밀의 정원은 최적의 장소다.


JTG 0065-img-02.jpg



너는 무슨 꽃이니?


여행지가 좋은지 나쁜지는 아이들의 반응을 보면 안다. 아이들의 반응은 즉각적이고 본능적이다. 정원의 문턱을 넘어서면서부터 감탄의 말을 줄줄이 이어가는 걸 보면 분명 이곳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어필하겠다고 생각했다. 가장 먼저 아이들의 시선을 잡아 끈 것은 튤립이었다.


“이렇게 생긴 튤립이 있었나?”

“검은색 튤립은 처음이야.”


그래, 아빠도 처음 본다. 검은색 튤립은. 뭐랄까, 깊은 무광의 검정색을 보여주는 것만 같다. 어른의 눈에도 신기한데 너희는 어떻겠니. 그런가 하면 옆에는 흰 바탕에 분홍색 점이 수없이 박힌 튤립도 있다. 이 모두가 네덜란드에서 개량한 것일까. 세상에는 대체 얼마나 많은 종류의 튤립이 존재하는 걸까. 튤립이 금보다 비싼 시대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일견 수긍이 간다.


JTG 0065-img-03.jpg  JTG 0065-img-04.jpg


입구 쪽의 계류정원을 지나면 위로 하늘연못정원이 있다. 세상에 섬이정원의 존재를 알린 인스타그램 사진들의 배경이 된 곳이다. 연못 아래로 반영을 이룬 하늘과 그 뒤로 보이는 바다. 그리고 연못가에 선 사람의 모습. 저마다 각기 다른 포즈로 연못에 반영을 만들면서 이곳을 즐긴다. 하늘연못이라는 단어를 보면 꼭 한 번 들렀다 가길 추천한다. 그냥 지나치기 딱 좋은 위치이기 때문에 다소 주의를 기울여서 이정표를 살필 필요가 있다.


JTG 0065-img-05.jpg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은 대체로 모네정원을 찾아다닌다. 이곳을 조성한 차명호 대표가 모네를 사랑하고 동경해서 모네의 이름을 기어코 붙인 자리다. 그는 이 정원을 완성하기까지 무려 10년에 걸쳐 200여 종의 나무와 꽃을 손수 가꿨다고 한다. 그렇게 완성한 정원을 혼자 즐기지 않고 대중에게 개방한 것. 그중에서도 모네정원은 절정에 해당하는 위치에 자리했다. 마치 프로방스 지방의 어느 작은 시골마을에 와 있는 듯한 풍광이 일품이다. 그 곁의 돌담정원은 또 어떤가. 남해 특유의 돌담에 하얗고 파란 색감을 덧입혀 이국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아이들이 가장 열광하는 곳이기도 하다.


JTG 0065-img-06.jpg  JTG 0065-img-07.jpg



비로소 한 그릇에 담은 남해의 맛


정원이 그리 크지 않아 전부 둘러볼 때까지 넉넉하게 한 시간 정도면 충분하다. 쉬다 걷기를 반복하며 느긋하게 머물러도 두 시간 정도면 수없이 많은 사진을 남길 수 있다. 한 사람의 노력이 얼마나 아름다운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정원이 바뀔 때마다 감탄하고 또 감탄한다. 남해의 유명한 다른 여행지에서 제법 거리가 있어 크게 마음먹고 와야 하지만, 그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섬이정원을 충분히 만끽했다면, 이번에는 남해의 맛을 한 그릇에 담은 곳을 갈 차례다. 섬이정원에서 천천히 30분 정도 달리면 남해읍이다. 남해읍의 한 귀퉁이 골목에 젊은 셰프가 운영하는 ‘절믄나매’가 있다. 남해가 고향인 김진수 셰프는 수년간 요식업계에서 일하고 배우며 익힌 것들을 고향으로 돌아와 풀어놓고 있다. 메뉴는 모두 남해의 로컬푸드가 주인공이다. 남해에서 나온 유자와 시금치를 한데 담아 샐러드로 내고, 푸른 바다에서 건져올린 전복은 내장까지 모두 이용해서 농축된 그 맛을 리조또나 파스타로 완성한다.


JTG 0065-img-08.jpg


몇 년 전부터 요리사들은 무엇이 올바른 요리의 길인가를 두고 길게 고민하고 치열하게 실험하며 흐름을 만들어왔다.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 로컬푸드와 제철 식재료라는 키워드로 압축된다. 원래 바다는 육지에 비해 계절이 두 달 정도 늦다. 우리 앞에 올라온 채소가 4월이 제철인 것이라면 바다에서 잡아 올린 것은 아직 2월의 환경에서 자란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니까 4월에도 바다는 아직 겨울이다. 4월의 육지 산물과 2월의 바다 산물을 어떤 식으로 잘 매치할 것인가가 최고의 요리로 완성하는 키워드가 된다. 김진수 셰프가 만드는 요리는 그 공식에 충실하게, 각각의 재료가 가진 진미를 충실히 살리는 정공법으로 만들어진다.


전복내장파스타가 상위로 올라왔을 때, 그 맛을 보고 남해에서도 이토록 수준 높은 요리를 먹을 수 있다는 만족감에 기분이 좋아졌다. 한겨울의 냉기를 이겨낸 쫄깃한 전복의 살과 농밀한 바다의 맛을 온전히 가두고 있던 내장의 맛은 구태여 다른 소스가 필요치 않았다. 좋은 올리브유에 잘 삶은 파스타면을 넣고 적당히 익혀주기만 하면 그만이다. 여기에 남해의 마늘은 풍미를 최고조로 끌어 올리는 일등공신이다. 맛, 향, 식감 무엇 하나 부족함이 없다. 게눈 감추듯 한 접시가 사라졌다. 아이들 앞에 놓인 다른 접시도 마찬가지다. 이를 두고 맛이 없다면 대체 어떤 음식이 맛있을 수 있을까. 남해의 맛이 접시 안에 오롯하게 그대로 담긴 그런 맛이었다. 남해 출신의 젊은 셰프의 도전과 그가 빚어낸 맛에 박수를. 그리고 부디 오래오래 이곳에서 그의 손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해 주길 바라고 또 바란다.


JTG 0065-img-09.jpg



JTG 0065-title.jpg


전복은 ‘바다의 산삼’이라고도 부른다. 복날에 찾는 대표적인 보양식이기도 하다. 그만큼 건강에 좋은 식재료다. 무엇보다 오르니틴 (ornithine)이라는 염기성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간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거나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전복 100g에 총 3,000mg의 아르기닌 (arginine)이 함유되어 있을 만큼 간에 좋다. 풍부한 비타민 B1과 아연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전복이 먹는 미역과 다시마에는 아이오딘 (iod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전복의 내장은 혈전을 용해하거나 체중 조절 및 독성을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