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경력]
- KTX 매거진 기자
- 공감인베스터 팀장, 공감미디어홀딩스 기획팀장
- 2017 서울국제불교박람회 언론홍보 총괄 및 촬영팀장
- 월간 트래비·여행신문 객원기자
- 월간 불광 잡지팀 취재 및 편집기자
- 동방대학원대학교 전략기획실 연구원
- 법보신문 편집국 취재·편집기자

[기타 활동]
- 포항KBS ‘동해안 오늘’ 고정 패널 출연
- MBC ‘노중훈의 여행의 맛’ 패널 출연
- MBC ‘이 사람이 사는 세상’ 패널 출연
- KTX 매거진, 론리플래닛, 더트래블러, 웅진싱크빅북클럽 등 칼럼 기고
- 계간 문화공감, KOFIH 전담 객원 포토그래퍼
- 미붓아카데미 ‘21세기, 불교를 철학하다’ 진행 및 홍보

[수상 내역]
- 한국불교기자대상 ‘한국 불기 2550년 틀렸다’ 특별상 수상 (2006년)
- 제16회 불교언론문화상 대상 (법보신문 기획취재팀) 수상 (2009년)

[저서]
- 2016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 2018 『더 오래가게』

정태겸
정태겸

불교 전문기자 출신 여행작가라는 독특한 이력을 가졌다. 여행잡지 트래비, 트래블러 등 다양한 매체에 사진과 글을 기고하며 여행작가로 활동했으며, KTX 매거진 기자로 재직했다. 저서로 『중국여행-여행작가가 본 중국 대륙』, 『더 오래가게』 등이 있다.

프로필 바로가기

남원 서어나무숲과 어탕국수

 

JTG 0071-main.jpg



장마라면서 좀처럼 비가 오지 않고 찜통 같은 더위만 이어진다. 이럴 때는 전북 남원으로 가는 것도 좋겠다. 지리산 자락 해발 500미터에 자리한 마을. 그곳에 오로지 서어나무로만 이루어진 숲이 있다.



스님의 비방으로 만들어진 숲


행정마을이라고 부르는 이 일대는 사람이 매우 드문 지역이었다. 행정마을뿐 아니라 근처의 엄계마을까지 이 일대에 촌락이 만들어진 것은 외지에서 들어온 이의 몫이었다. 세상을 등지고 지리산 자락 깊은 곳까지 들어온 그는 땅을 일구었고 하나둘 사람이 모여들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그때만 해도 이곳에 서어나무숲은 없었다.


이 숲이 만들어진 것은 불과 180년이다. 그러니까 180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 행정리에 마을이 생겼고, 숲도 조성된 것이다. 당시 한창 마을이 자리 잡기 시작하던 그때, 근처를 지나던 스님이 찾아왔다. 스님은 “들판 가운데는 마을의 터로 좋지 못한데 왜 하필이면 이곳에 터를 잡으려 하느냐?”라고 물었다. 그리고는 사람들에게 이곳에 마을을 만들지 말라며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아무도 그의 말을 듣지 않았다.


사람들의 생각이 변하기 시작한 건 오래 걸리지 않았다. 마을에 역병이 돌면서 사람들이 죽어 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그 무렵 다른 스님이 마을을 찾아왔다. 그는 “마을 북쪽에 성을 쌓으면 액운을 막을 수 있다. 더는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성을 쌓을 수 없다면 나무라도 심어서 숲을 만들라.”라고 신신당부했다. 당시 스님이 알려준 비방으로 만들어진 숲이 지금의 서어나무숲이다.


JTG 0071-img-01.jpg


신기하게도 숲이 생기자 마을의 전염병도 사라졌다. 심지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당시 빨치산이 지리산 일대에서 암약할 때도 이 마을에서는 부당하게 목숨을 잃은 이가 단 한 명도 없었다. 물론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만 맹신할 것은 아니다. 정확한 진실은 알 수 없다. 그럼에도 마을의 숲은 어디를 가나 이런 일화가 하나쯤 깃들어 있다. 그래서 찾아다니는 재미가 있다. 마을의 연원부터 숲에 얽힌 이야기가 마치 할머니에게 듣는 옛날이야기처럼 구수하다.


행정마을의 서어나무숲을 찾아갈 적기는 한창 더위가 맹위를 떨치는 한여름이다. 장마라면서 비도 안 오고 찜통 같은 폭염에 지치는 요 며칠은 자꾸만 서어나무숲을 생각나게 한다. 그 숲에 가만히 앉아 있으면 한기가 느껴질 만큼 시원하다. 뒷덜미가 서늘할 만큼의 냉기마저 느껴진다.


JTG 0071-img-02.jpg


물론 서어나무가 그런 냉기를 내뿜는 건 아니다. 나무는 그저 나무일 뿐.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하나를 읊어보자면, 이 숲의 서어나무는 사실 서어나무가 아니라는 것이다. 실상은 개서어나무다.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는 이파리 끝이 다르게 생겼다. 잎끝이 길고 털이 없으면 서어나무, 잎끝이 짧고 털이 있으면 개서어나무다.


JTG 0071-img-03.jpg



여름에도 15도를 유지하는 휴식처


이 숲이 이토록 서늘한 것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있을 수 있다. 가장 많은 이의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설명은 이 마을의 지리적 위치 때문이라는 풀이다. 이곳은 지리산의 해발 500미터에 자리한 분지 지형이다. 고도가 제법 높아서 산 아래에 비해 기온이 낮다. 거기에 더해 서어나무는 잎이 넓은 활엽수. 강렬한 태양을 막아주기에 숲에 들어가 있으면 훨씬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늘 안쪽은 여름 내내 평균 15도 정도로 온도가 유지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서어나무 그늘이 워낙 시원하다 보니 한여름이면 논밭에서 일하던 마을 주민에게 숲은 최고의 휴식처가 된다. 그늘에 앉아 땀을 식히며 새참을 나눠 먹고 꿀 같은 낮잠을 즐기기도 한다. 마을 곁으로 지리산 둘레길 1코스가 지나가고 있어서 요즘은 길을 걷던 이들이 숲에서 쉬었다 가기도 한다.


JTG 0071-img-04.jpg


숲의 바깥에서 보면 서어나무 숲은 유독 이 마을에서 도드라져 보인다. 마치 평평한 대지 위에 불룩 솟아 있는 언덕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수령 200년 이상의 굵직한 서어나무 100그루가 모여 있으니 존재감 하나는 무엇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다. 숲의 크기가 그렇게 큰 것은 아니다. 면적은 1,600제곱미터 (약 500평) 남짓. 그 안쪽에 빙 돌아가며 데크를 깔아 놓아서 짧은 산책을 즐기도록 해 두었다. 서어나무는 근육질나무라고도 부르는데, 왜 그렇게 부르는지는 좀처럼 동의가 안 된다. 그것보다는 자작나무를 연상케 하는 회색빛 몸체가 더 눈에 들어왔다. 알고 보니 서어나무는 자작나무과. 같은 핏줄이라는 걸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다.


JTG 0071-img-05.jpg JTG 0071-img-06.jpg


임권택 감독의 <춘향뎐>을 본 사람이라면 혹시 이 숲을 기억할지도 모르겠다. 한국만의 영상미가 돋보였던 그 영화에서 춘향이가 그네를 타는 모습이 바로 이 숲에서 찍은 장면이다. 이 영화로 서어나무숲은 전국에 그 존재를 알릴 수 있었고, 남원에서도 가장 외진 자리에 앉은 이 마을에 관광객이 몰리는 계기가 됐다.


JTG 0071-img-07.jpg



걸쭉한 감칠맛이 일품인 어탕국수


남원은 전주와 더불어 전북을 대표하는 관광도시다. 이몽룡과 성춘향의 이야기가 깃들어 있는 곳이기도 하고, 지리산을 이웃한 데다 맛있는 음식이 많다. 그 많은 남원의 음식 중에서도 근래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가 추어탕이다. 추어탕은 서울식과 남원식을 대별해서 이야기할 정도고, 이제는 남원식으로 얼큰하게 끓이는 게 전국적으로 대세가 됐다.


그럼에도 지리산 자락의 남원을 갈 때면 빠지지 않고 들르는 집이 있다. ‘두꺼비집’이라는 상호의 이 식당은 추어탕이 아니라 어탕국수로 유명한 집이다. 구인월교 바로 앞에 있어서 찾아가기도 쉽다. 워낙 오래전부터 여행 좀 다녔다는 이들 사이에서는 인월면의 빼놓을 수 없는 먹거리로 이름을 날렸던 곳이기도 하다.


가게 외양이나 내부는 허름하다. 갈수록 초췌해져 가는 인월면 일대를 집약해서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식사 때만 되면 식당 안이 버글버글하다. 메뉴는 어탕, 어탕국수, 붕어찜, 메기찜, 메기매운탕 따위가 있는데 여기에 온 사람은 으레 당연한 듯이 어탕국수를 찾는다. 그만큼 이 집의 얼굴과도 같은 존재다.


JTG 0071-img-08.jpg


어탕국수는 붕어를 비롯한 온갖 민물고기를 갈아서 끓인다. 보글보글 끓어오르는 음식이 눈앞에 놓이면 보기에는 어탕국수가 아니라 추어탕을 보는 것만 같다. 국물부터 떠서 입에 넣으면 구수한 감칠맛이 입안을 온통 물들여 버린다. 하지만 여기서 빼놓으면 안 될 게 있다. 제피다. 알싸한 향을 내는 제피를 조금 넣어주면 국물맛이 화하게 바뀐다. 처음에는 다소 낯설 수 있지만, 적응하고 나면 제피 없이는 추어탕이고 어탕국수고 허전할 따름이다.


JTG 0071-img-09.jpg


제피와 산초는 고추가 이 땅에 들어오기 전까지 매운맛을 책임지던 조미료다. 다만 고추의 매운맛에 익숙한 우리가 제피의 알싸한 매운맛이 익숙하지 않을 뿐이다. 제피의 맛은 국물에 녹아들어 먹으면 먹을수록 입에 착 감겨온다. 국수를 건져 먹고 나면 어느새 밥까지 말아 먹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여행길에 든든하게 속을 채웠다는 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쁨이다. 지리산 자락 인월면의 물 맑은 땅에서 민물고기로 만든 어탕국수를 한 그릇 맛보았으니 다시 길을 떠날 차례다. 배가 부르면 무엇도 두려울 게 없다. 한 발 다시 앞으로 내딛는 게 달라진다.



JTG 0071-title.jpg


제피 또는 초피라고도 부른다. 산초와 생김새가 비슷하고 향도 유사해서 구별이 어렵다. 산초는 열매껍질로 기름을 짜고 제피는 열매껍질을 가루로 빻아 향신료로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마라탕이나 훠궈에 쓰는 대표적인 향신료 두 가지가 바로 산초와 제피다. 제피의 리모넨 (limonene) 성분은 몸의 체온을 올려 면역력을 향상시킨다. 혈액순환을 촉진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만들고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게라니올 (geranial) 성분은 소화를 촉진해 소화 불량이나 설사, 복통을 완화해 준다. 수족냉증으로 손발이 차서 고생하는 사람에게도 좋은 약초이며 통증을 다스리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살균과 항균 작용으로 체내 폐렴균을 없애고 회충을 죽이는 구충제 역할도 한다.



© 정태겸 기자의 길 위에서 찾은 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