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학술정보센터 (4)건 |
학회/학술 일정 |
[센터]
생약 약리작용 검토 및 탑재- 육종용, 창출, 하고초, 향부자, 갈화, 황금 |
[센터]
약리작용 등록-육종용26 작약165 하고초32 향부자46 (269개) |
전체보기 한의약융합데이터센터 (89)건 | ||||
근거중심한의약 DB | ||||
[체계적 문헌고찰] J Ethnopharmacol. 2022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in treating amenorrhea caused by antipsychotic drugs: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 3개월 이상으로 비교적 길게 나타났다. 많이 사용된 한약재는 당귀, 천궁, 도인, 홍화, 감초, 복령, 백출, 향부자, 시호, 숙지황, 백작약의 순서로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에서 한약의 효과를 상당히 수용 가능한 정도 (quite...
|
||||
[체계적 문헌고찰] Medicine (Baltimore). 2020
Danggui-Shaoyao-San for dementia: A PRISMA-complian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활성 억제를 통해 기억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 농도 유지 기전으로 산사육, 석송, 은행엽, 수선화, 향부자, 대황, 황백, 사인, 목향, 두견, 파극천,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방지 기전으로 천축황, 목과,...
|
||||
약물상호작용 DB | ||||
[한약-식이보충제 상호작용]
In rabbits, devil's claw (harpagoside constituent) caused mild positive inotropic effects in lower doses and marked negative inotropic effects in higher doses. The hapagide component only resulted in negative inotropy [
...
토끼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오두 (하파고시드 성분)는 저용량에서 경미한 심근 수축효과를 초래하였고 고용량에서는 심근 이완 효과가 나타났다. 하파지드 (hapagide) 성분은 오로지 심근 이완 효과를 야기하였으며 [11],...
|
||||
[한약-양약 상호작용]
In animal study, an intragastric perfusion of aqueous Coriandrum sativum extract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id secretion in anesthetized albino rats, which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tropine treatment [23
...
... [23]. 코리앤더 역시 손상된 위장에서 산 분비를 증가시켰다. 동물 연구에서, 벨프룻과 코리앤더, 향부자, 베티버를 함유한 아유르베딕 제제는 프레드니솔론과 비교했을 때 유도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하여 현저하게...
|
||||
생약 up-to-date | ||||
전체보기 지식솔루션센터 (5)건 |
생활 속 한의 |
세계 속의 의료인 |
전체보기 사이언스센터 (2)건 |
한의약 과학 한마당 |
한의학 뉴스 |
부자 캐어 쪄 말리는 ‘포부자’ 전 과정 지켜봐
민족의학신문 2014-08-21
국내 한의사들도 양질 약재 쓰려는 의지 가졌으면
|
우보한의원, 천연물 백반증 치료제 특허획득
헬스코리아뉴스 2013-12-04
한약재 ‘백선피’, ‘향부자’, ‘당귀’를 주요 처방으로
|
융합 뉴스 |
식약처, 아코니틴 검출 제품 판급및 회수
싸이언스엠디뉴스 2014-01-15
부자·초오 등 식물에 함유된 성분
|
제약공장을 지키는 아버지와 아들,
데일리팜 2014-01-03
'뼈웅인' 칭송받는 대웅제약 정기두·경윤 부자
|
학회/학술 일정 |
[센터]
생약 약리작용 검토 및 탑재- 육종용, 창출, 하고초, 향부자, 갈화, 황금 |
[센터]
약리작용 등록-육종용26 작약165 하고초32 향부자46 (269개) |
근거중심한의약 DB |
[체계적 문헌고찰] J Ethnopharmacol. 2022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in treating amenorrhea caused by antipsychotic drugs: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 3개월 이상으로 비교적 길게 나타났다. 많이 사용된 한약재는 당귀, 천궁, 도인, 홍화, 감초, 복령, 백출, 향부자, 시호, 숙지황, 백작약의 순서로 나타났다.
비록 본 연구에서 한약의 효과를 상당히 수용 가능한 정도 (quite...
|
[체계적 문헌고찰] Medicine (Baltimore). 2020
Danggui-Shaoyao-San for dementia: A PRISMA-compliant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활성 억제를 통해 기억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 농도 유지 기전으로 산사육, 석송, 은행엽, 수선화, 향부자, 대황, 황백, 사인, 목향, 두견, 파극천, 아밀로이드 베타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방지 기전으로 천축황, 목과,...
|
약물상호작용 DB | ||||
[한약-식이보충제 상호작용]
In rabbits, devil's claw (harpagoside constituent) caused mild positive inotropic effects in lower doses and marked negative inotropic effects in higher doses. The hapagide component only resulted in negative inotropy [11], and therefore may diminish or potentiate the effects of other inotropic agents.
토끼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오두 (하파고시드 성분)는 저용량에서 경미한 심근 수축효과를 초래하였고 고용량에서는 심근 이완 효과가 나타났다. 하파지드 (hapagide) 성분은 오로지 심근 이완 효과를 야기하였으며 [11],...
|
||||
[한약-양약 상호작용]
In animal study, an intragastric perfusion of aqueous Coriandrum sativum extract cau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id secretion in anesthetized albino rats, which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atropine treatment [23]. Coriander also increased acid secretion in injured stomachs. In animal study, an Ayurvedic formulation containing Aegle marmeloes, Coriandrum sativum, Cyperus rotundus, and Vetiveria zinzanioide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nduced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a comparable manner to that of prednisolone [24].
... [23]. 코리앤더 역시 손상된 위장에서 산 분비를 증가시켰다. 동물 연구에서, 벨프룻과 코리앤더, 향부자, 베티버를 함유한 아유르베딕 제제는 프레드니솔론과 비교했을 때 유도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하여 현저하게...
|
생약 up-to-date |
생활 속 한의 |
세계 속의 의료인 |
의료인의 서재 |
한의약 과학 한마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