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연구정보활용사업
Home > KMCRIC 소개 > 사업 소개-
사업 목적
기초연구 분야의 연구정보를 수집·가공·재생산하여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이용자 간 교류·소통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기초연구 활성화 도모
-
역할
구분
분야별 전문연구정보센터
역할
- 학문 분야별 수요자 중심의 연구정보 생산·검증·제공
- 이용자 간 교류·소통의 창구연구형태
기초연구 기반 구축
-
추진 근거 및 경위
추진 근거
-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기초연구사업의 추진) 추진 경위 - 1994년: 전문연구정보센터 사업 기획
- 1995년: 전문연구정보센터 사업 시작(12개 신규 센터 선정)
- 2006년: 국가지정 전문연구정보센터로 명칭 변경
- 2008년: 전국 12개 대학 소재 국가지정 전문연구정보센터(15개 신규 센터 선정)
- 2009년: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 신규 지정(고려대학교)
- 2013년: 전국 7개 대학 소재 국가지정 전문연구정보센터(7개 분야별 센터 선정)
- 2015년: 전문연구정보 중앙센터 협약 체결(한국연구재단)
- 2018년: 전국 6개 대학 소재 국가지정 전문연구정보센터(6개 분야별 센터 선정)
- 2020년: 전국 7개 대학 소재 국가지정 전문연구정보센터(7개 분야별 센터 선정)
-
추진 체계
중앙센터(한국연구재단) - 연구정보센터가 양질의 연구정보 생산·검증·제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관리적·기술적 지원, 총괄 역할 분야별 센터 - 학문 분야별 수요자 중심의 연구정보 생산‧검증‧제공, 이용자 간 교류·소통의 창구 역할
-
기초연구 분야 & 분야별 센터
학문단
CRB 분야
기초과학
물리/수학,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분자생명/기초생명/기반생명
의약학
의학/치의학/간호학, 한의학, 약학
공학
기계/로봇, 소재/화학공학, 건설/교통
ICT·융합
컴퓨터/소프트웨어/전자/통신, 에너지/자원/환경
-
기대 효과
- 연구정보 공유 및 재생산,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공동 활용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