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정책 우선순위, 과학적 코로나 대처, 국제 과학기술 RnD 협력 확대 기대

미국 대선에서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승리가 확실시되면서 4년간의 재임기간 ‘과학’을 정책의 주요 화두로 내세울 것으로 전망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과학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물론 파리기후변화협약 복귀와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기후위기에 대응한 ‘그린뉴딜’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과학을 정책 우선순위에 두지 않은 것을 정도를 넘어 오히려 경시했다는 평을 듣는다. 코로나19도 독감 수준이라며 미흡하게 대처했을뿐 아니라 지구촌의 리더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확대에 제동을 걸기 위한 파리기후협약에서도 탈퇴했다.


5일 과학계에 따르면 바이든 후보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진단 검사 대폭 강화와 접촉 추적, 치료제·백신 개발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과학을 앞세울 전망이다. 미국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나와 각각 930만명과 23만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


바이든 후보는 집권하면 코로나19 팬데믹을 잡기 위해 주지사들과 협의해 마스크 착용 의무화에 나설 예정이다. 과학적으로 마스크만한 생활백신이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진단·추적 강화에도 나서 진단키트 생산을 크게 늘리고 승차 검사(드라이브 스루) 기관을 2배로 확대하며 최신 검사 방법 개발에도 적극 투자하기로 했다. 백신 생산과 유통 계획에도 250억 달러(약 28조 4000억원)를 지원하되 결정 과정은 과학계에 위임하기로 했다. 지난 7월 트럼프 행정부가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의 이익을 대변한다”며 탈퇴했던 것과 달리 WHO 재가입에도 나설 계획이다.


네이처는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은 과학을 우선순위로 삼지 않았다”며 “과학기관들에 대한 막대한 예산 삭감과 과학고문을 19개월 만에 선임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3월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환경보호청(EPA) 등 많은 과학기관에 대한 재정 삭감을 요구했다. 심지어 ‘소독제를 몸 안에 주입하는 방법은 없느냐’는 등 비과학적인 언사를 남발하고 과학계의 조언에 대해서도 뭉개기 일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