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인의 서재
Home > 정보교류센터 > 의료인의 서재
주목할 책
카테고리
-
별것 아닌 의학 용어 - 인문학과 어원으로 알아보는 의학 지식 영진.com(영진닷컴) | 2023-09-19의학은 어렵지만 의학 용어는 알 수 있다. 적어도 부품의 이름은 알아야 카센터에서의 수리를 이해할 수 있듯이, 신체도 그렇다. 정해진 패턴이 있는 의학 용어를 인문학과 어원을 통해 쉽게 배워 우리의 몸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의사의 처방을 더 잘 믿을 수 ...
-
질병은 우리 몸에서 어떻게 시작될까 - 현대의학의 한계를 넘어 통합의학적 시각으로 분석한 질병의 메커니즘 전나무숲 | 2023-09-18현대의학에서 정상으로 진단하지만, 모든 질병의 전조 증상이기도 한 원인 모를 불편 (미병)의 정체는 도대체 무엇일까? 이 미병은 어떻게 해야 개선될 수 있을까? 저자는 환자들을 진료하면서 신체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미병의 초기 단계에서 자신의 심신 상태를 파악해 그 불...
-
당신의 언어 나이는 몇 살입니까? - 말과 글의 노화를 막기 위한 언어병리학자의 조언 남해의봄날 | 2023-09-15어린아이가 말을 배우듯, 나이 들어서도 다시 언어 연습이 필요하다. 언어병리학자인 저자는 노화와 언어의 상관관계를 뇌과학 측면에서 설명하고, 노년기 언어의 특징과 질환을 증상별로 소개한다. 또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고 언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언어 게임과 일상...
-
신장 | 그림으로 읽는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는 이야기 성안당 | 2023-09-13신장 (콩팥)은 기능이 떨어져도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둔한 장기이다. 신장을 ‘침묵의 장기’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신장은 몸에서 나오는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 염분 등 전해질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혈압 조절, 뼈 강화 및 혈...
-
꼭 알아야 할 야생 산약초 약재 도감 푸른행복 | 2023-09-08저자가 오랜 기간 공부해 온 본초학(本草學)을 기초로, 여러 서적을 조사하여 참고하고, 식물원, 약초원 및 약초 재배지를 답사하며 담은 사진들을 함께 수록하였다. 본문에는 식물명의 유래를 비롯하여 한약명, 생육 특성, 성분, 약리 작용, 한의학적 효능, 약용법과 더불어...
-
펜타닐 - 기적의 진통제는 어쩌다 죽음의 마약이 되었나 소우주 | 2023-09-08펜타닐은 원래 합법적인 실험실에서 의료용으로 개발되어 말기 암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약물은 헤로인의 50배에 달할 정도로 효과가 강력하고 제조 및 유통이 용이해 많은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불법으로 거래되면서 매년 7만 명...
-
통증질환 환문명답 아침사과 | 2023-09-06환자들은 병원에서 많은 질문을 하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는 제한된 시간과 여건으로 인해 그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의사들도 많은 환자들을 진료해야 하기 때문에, 자세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과 현실적인 어려움을 두 가지 고민...
-
나이 들어도 늙지 않기를 권하다 - 죽기 전까지 몸과 정신의 활력을 유지하는 법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09-052019년 WHO에서 발표한 한국인의 기대 수명 (83.3세)과 건강 수명 (73.1세) 사이에는 약 10년의 차이가 있다. 절대 짧지 않은 이 수치는, 신체나 정신의 질병으로 인해 원활한 일상생활이 어려워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한 기간을 의미한다. 오래 사는 것이 우리...
-
잠이 고장 난 사람들 - 불면증부터 기면병까지, 신경과학으로 본 수면의 비밀 시공사 | 2023-09-05현대인의 수면 질이 나쁘다는 건 모두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사람은 대개 아침에 일어나 밤에 잠든다. 서캐디언 리듬이란 생체시계가 돌아가도록 인류가 진화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인의 생체시계는 들쭉날쭉하다. 늦어지거나 빨라지고, 심지어 멈추기도 한다. 즉, 잠이...
-
한의중국어강독 인터북스 | 2023-09-02한의과대학 교과 과정을 보면 전국 12개 한의과대학 중 약 7개 정도 대학에서만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막상 한의학을 공부하기 위한 중국어강독 책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실제 1999년 ‘한의학중국어강독’이라는 책이 출판됐다가 이미 절판이 된 책을 복사해 제본...